콩두와 닭유로 보는 한자
고대한국학으로 보는 시간적 오행론인 수금목화에 대한 보충 설명과 공간적 오행론인 춘하추동에 대한 논리와 일주일이 만들어진 원리를 천부경의 우주론과 천부표로 풀어보는 한자 자체의 문자적 의미와 한자에 붙는 우리말의 풀이를 통해 논리적 전개를 하려고 계획했으나 다른일 때문에 머리가 복잡해 오늘은 간단하게 닭유자에 대한 한자풀이를 하는 것으로 대신하려 합니다.
닭유= (ㅠ)+(ㅁ)+(ㅡ)
(ㅠ)는 속으로의 운동의 방향성이나 속에서의 변화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ㅜ)가 개별적 대상에 대한 의미라면 (ㅠ)는 다수의 대상에 대한 의미라 보면 된다.
따라서 다수 또는 모두의 의미로 (ㅠ)를 보면 되고 (ㅁ)은 생명의 몸이나 자연계, 생태계 등을 의미하고 (ㅡ)은 정신적으로는 씨알점(-)으로 출발해 현상계의 중심으로 자리잡아 변화를 주도하는 영혼의 우주정신을 의미하고 물질적으로는 상하의 기준, 겉과 속의 경계, 삼차원으로 나타난 존재들의 차원의 극 ㅡ< 수직적 십진수의 극 >ㅡ 등을 의미
따라서 닭유라는 한자는 생태계의 극 속으로 또는 생명의 몸 속으로 스며드는 무엇을 의미하니 (ㅠ)+(ㅁ)은 만물의 생명력이나 활동력이 감추어져가는 상태, 하루가 저물어가는 저녁을 의미하게 되고 (ㅡ)은 영혼의 정신 또는 왕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순하게 동물을 가르키는 문자로 본다면 닭유라는 한자는 하루의 일과가 끝나가는 저녁에 나타나는 왕을 의미하는 문자로 밤에 활동하는 동물의 왕은 호랑이니 호랑이를 나타내는 문자라 본다.
이와 관련된 우리말로는 "묘하다" "신묘하다" 할 때의 우리말 "묘"가 있는데 서녁서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봄이나 아침과 관련돠어 만들어진 말이고 문자라 본다.
따라서 닭유자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만들어진 문자가 콩두라는 한자라 본다.
파자하면 콩두= (ㅡ)+(ㅁ)+(ㅛ)로 (ㅛ)와 (ㅠ)의 기호적 차이만 있을 뿐 같은 맥락에서 만들어진 문자라 본다.
옥편에서는 제기, 이름, 제수, 제물, 잔대, 잔 받침, 양, 무게 등의 단위등을 뜻하고 자원으로는 굽이 높은 제기의 모양을 본 뜬 문자라 하는데 주로 제사와 관련된 말이 많이 나온다는 것은 신과 관련된 문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는 것으로 메주 쑤는 콩과는 관련이 없는 문자라고 본다.
그러므로 봄이되어 만물이 소생하는 신묘한 신의 섭리를 나타내는 문자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물을 나타내는 문자로 한정한다 해도 천부경의 우주론과 천부표에 부합하려면 닭유자는 지지의 열 번 째 자리로 가서 "호랑이 유"로 읽어야 하고 콩두는 지지의 세 번 째 자리에 가서 "닭두"로 읽어야 한다고 본다.
이쯤 되면 고대한국학과 진시황 계열로 성립한 동양학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았으리라 보며 미안하나 더 이상 논리전개가 어려우니 가벼운 인사정도의 글로 이만 그칠까 한다.
첫댓글 잠깐 짬이나서 들렀는데 닭두라는 표현보다는 봉황과 관련된 문자로 보는 것이 콩두라는 한자의 의미가 고대한국학에 부합하는 자연스런 풀이라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