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寒雨.?∼?) 조선 여류시인ㆍ기생. 16세기 선조(宣祖) 때 평양 기생으로, 당대의 문사들과 교유하였으며, 특히 당대의 문사(文士) 임제(林悌: 1549-1587)가 작가의 이름을 차가운 비로 비유하여 은근히 유혹하는 시조 <북창(北窓)이 맑다커늘>을 지어 작가에게 건네자, 이에 응수하는 시조 <어이 얼어 자리> 1수를 지어 응수하였다. 이 두 시조는 화답시(和答詩)이면서 모두 찬 비(寒雨), 얼다(凍: 교배하다)와 같이 중의적 수법을 활용하고 있다. 조선 선조 때 임제(林悌) 이름난 기생 한우를 보고 임제가,
북창(北窓)이 맑다커를 우장 없이 길을 나니, 산에는 눈이 오고, 들에는 찬 비 온다. 오늘은 찬 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
라고 읊자 한우(寒雨)는 이에 화답(和答)하여,
어이 얼어 자리 무슨 일 얼어 자리. 원앙침(鴛鴦枕) 비취금(翡翠衾)을 어디 두고 얼어 자리. 오늘은 찬 비 맞았으니, 녹아 잘까 하노라.
라고 하였다. 임제(林悌)가 ‘한우’라는 기생 이름에 빗대어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자겠다고 하자, 한우는 찬비에 자신을 빗대어 원앙침 비취금 속에 녹아 자라고 한 것이다. 서로 빗대어 말하는 수법이 재미있으며, 남녀간의 수작임에도 불구하고 정(情)이 야하거나 속(俗)되지 않고, 애정의 갈구(渴求)가 시로서 충분히 승화되고 있다. 한우를 찬비에 빗대어 읊은 임제의 중의적(重義的)수법에 의한 '구애'도 일품이거니와, 거기에 같은 중의적 수법으로 화답한 한우의 시상 또한 뛰어나다고 하겠다. <해동가요>의 기록에 의하면 임제는 “자(字)는 자순(子順)이며, 호는 백호(白湖)로 금성(錦城) 사람이다. 선조 조에 등제하여 벼슬이 예조정랑에 이르렀으며, 시문과 거문고, 노래에 모두 뛰어난 호방한 선비였다. 명기(名妓)인 한우를 보고 이 노래를 지어 한우와 동침했다.”고 한다. ‘한우(寒雨)’라는 이름을 빗대어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얼어 잘까 하노라’하고 은근히 한우의 마음을 떠본 것이다. 임제의 은근한 추파에 한우는 ‘어찌하여 얼어 자려 하십니까, 무슨 일로 얼어 자려 하십니까, 오늘은 찬비(한우 자신)를 만났으니 따뜻하게 몸을 녹이며 자고 가십시오.’라고 화답한 것이다. 벼슬도 마다한 호방한 선비의 풍류와 멋, 그리고 이에 응하는 기녀의 총명과 재치가 한껏 돋보이는 작품이다. [출처] 한우(寒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