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돌희용(猪突豨勇)
멧돼지처럼 달리고 용맹스럽다는 뜻으로, 앞뒤를 생각하지 않고 용맹스럽게 돌진한다는 의미에서 앞뒤를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날뛴다는 의미이다.
猪 : 돼지 저(犭/9)
突 : 갑자기 돌(穴/4)
豨 : 큰돼지 희(豕/7)
勇 : 날랠 용(力/7)
출전 : 한서(漢書) 卷024 식화지(食貨志) 第4下
커다란 덩치를 가진 멧돼지가 긴 주둥이에 날카로운 송곳니를 앞세우고 돌진하면 혼비백산한다.
식용으로 가장 많이 기르는 돼지는 돈(豚)이고, 저(猪)와 희(豨)는 모두 산돼지, 즉 멧돼지를 가리킨다. 돌(突)은 개(犬)가 구멍(穴)에서 갑자기 뛰쳐 나오는 모습이다.
멧돼지는 어떤 동물이든 등을 보이면 무모하게 공격하는 습성이 있다고 하는데, 이같이 사납게 앞으로 내닫는 것이 저돌(猪突)이다. 희용(豨勇)은 멧돼지처럼 무서움을 모르고 덤비는 용기다.
일을 처리하는데 앞뒤 재지 않고 막무가내로 무소처럼 앞으로만 나간다면 그르치기 쉽다. 하지만 방향이 정해졌을 때 밀고 나가는 추진력이 없어서도 탈이다.
병사들을 이끄는 장수라면 임전무퇴(臨戰無退)를 앞세우나, 상황을 잘 살펴 적진에 돌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부정적으로만 사용될 것 같은 이 말이 처음에는 용맹스런 군대에 붙인 이름이었다.
중국 전한(前漢)과 후한(後漢) 사이에 신(新)나라가 있다. 신나라는 외척이었던 왕망(王莽)이 평제(平帝)를 독살한 뒤 2살 된 어린 임금을 세워 섭정이 되고 국정을 좌우했다.
그는 유행하던 오행참위설을 이용하여 민심을 얻고 개혁정책을 펼치기도 했지만, 당시 몽골고원과 만리장성 지대를 중심으로 활약한 유목기마민족 흉노(匈奴)의 침범으로 골치를 썩였다.
이를 막기 위해 왕망은 묘안을 냈다. 전국의 죄인과 노예를 모아 군대를 조직하고 멧돼지가 돌진하듯 용기 있는 부대라 했다.
반고(班固)의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의 하편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흉노의 침략이 심해 왕망은 천하의 죄수와 노예를 모아 ‘저돌희용’이라 이름 붙였다.”
匈奴侵寇甚, 莽大募天下囚徒, 人奴, 名曰豬突豨勇.
무모하게 달려드는 멧돼지가 걸핏하면 도심으로 내려와 시민들을 놀라게 하고 있다. 등을 보이지 않고 도망하거나 함부로 공격하면 더 위험하다고 하니 멧돼지와 마주쳤을 때 행동요령을 숙지하는 것도 좋겠다.
🔘 중국 송(宋)나라의 명장이자 충신인 악비(岳飛)는 돼지의 정기를 타고났다고 한다.
그가 아직 무명이던 시절, 서옹이란 유명한 관상가가 그를 보고 “돼지의 정령이 그대에게 들어 있구나. 대개 돼지는 앞뒤를 살피지 않고 돌진하는 성질이 강하니 마무리를 제대로 하는 것이 어렵기 마련이다. 그대도 훗날 뜻을 이루면 재빨리 그 지위에서 물러나야 생명을 보존할 수 있다.”고 충고한다.
그러나 호방한 악비는 서옹의 말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괘념치 않다가 재상 진회(秦檜)에 의해 살해당하고 만다.
🔘 멧돼지는 냄새도 개보다 잘 맡는다.
땅 밑에 있는 지렁이까지 찾아서 먹을 수 있는 것은 발달된 후각 때문이다. 캐비어, 포아그라와 함께 세계 3대 진미로 꼽히는 송로버섯이 나는 곳이 프랑스의 페리고루산이다. 이 버섯을 찾는 데도 멧돼지의 후각이 이용된다.
멧돼지는 잡식성이어서 나무뿌리에서 토끼와 물고기에 이르기까지 못 먹는 게 없다. 뱀도 잘 먹는데 독사에 물려도 죽지 않고 회복하는 일이 많다.
게다가 상당한 술꾼이다. 이걸 이용해 멧돼지 사냥꾼들이 쓰는 수법이 ‘막걸리 사냥법’이 있다고 한다. 멧돼지가 다니는 길목에다 술독을 놓는데 술독에는 멧돼지가 좋아하는 막걸리와 유리조각을 넣어 둔다.
술독을 발견한 멧돼지는 유리 조각을 피해 천천히 막걸리를 마시다가 술에 취해 도망치지 못하거나 갈지자 행보를 한다. 이때가 멧돼지를 잡는 기회이다.
그러나 멧돼지는 사납고 저돌적인데다 힘도 세고 산비탈에서도 시속 50km로 달리는 주력이 있으니까 방심은 금물이다.
⏹ 저돌적(猪突的)
멧돼지처럼 앞만 보고 돌진하는 형세라는 뜻이다. 돼지 저(猪)는 뜻을 나타내는 돼지 시(豕)와 놈 자(者)를 음차(音借)해 만든 한자다. 돌(突)도 '저'자 못지않게 험한 모양을 의미한다.
구멍(穴; 구멍 혈) 밑에 개를 앉혀 놓음으로써 집을 지키는 험악한 개를 상상하게 된다. 집에 들어가려는 이는 개와 마주할 수밖에 없다.
저돌적이라는 말은 사나운 기세의 두 동물을 배치함으로써 의미를 배가했다. 돼지를 나타내는 한자는 돼지 시(豕), 돈(豚), 저(猪), 해(亥) 등이 있다.
멧돼지가 가축화된 시기는 약 4800년에서 3600년 전으로 추정된다. 돼지를 표현하는 한자는 이 시기에 가축화되는 맷돼지의 모습에서 상형(象形)한 것으로 보인다.
시(豕)와 해(亥) 자에서 처음에 돼지를 그려 문자로 사용했던 흔적을 쉽게 볼 수 있다. 멧돼지가 떼로 몰려다니는 성질에서 '시(豕)' 자를 갖고 만든 한자가 적지 않다.
군대(軍隊), 부대(部隊) 등에 쓰이는 떼 대(隊)는 '돼지가 좌우로 나뉘어 떼를 형성해 언덕을 가다'(豕; 돼지 시, 八; 여덟 팔, 阜; 언덕 부)라는 의미다.
돼지 시가 들어간 또 다른 흥미 있는 한자는 극(劇)이다. 극은 범 호(虎)가 위에 있고 멧돼지가 밑에 있으면서 호랑이와 돼지의 어금니를 나타내는 칼 도(刀)가 가세한 글자로 무시무시한 상황을 의미하는 심할 '극'이 된다.
야생 멧돼지는 성질이 난폭해 호랑이와도 대적한다고 한다. 대문을 지키는 개는 사납다. 개와 돼지가 뭉쳐 대적하면 당하지 못할 동물이 없었다. 올해 목표를 향해 저돌적으로 돌진하면 못 이룰 것이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 猪(돼지 저, 암퇘지 차)는 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개사슴록변(犭=犬; 개)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者(자, 저)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猪(저, 차)는 ①돼지, 돼지의 새끼 ②웅덩이 ③물이 괴다(냄새 따위가 우묵한 곳에 모이다) 그리고 ⓐ암퇘지(차)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돼지 해(亥), 돼지 시(豕), 돼지 돈(豚)이다. 용례로는 돼지의 기름을 저지(猪脂), 암퇘지의 뱃속에 들어 있는 새끼를 저태(猪胎), 돼지와 사슴을 저록(猪鹿), 돼지떡으로 지저분하여 먹을 수 없는 음식을 저병(猪餠), 돼지의 지방에서 뽑아 낸 기름을 저유(猪油), 돼지의 살코기를 저표(猪臕), 돼지의 가죽을 저피(猪皮), 돼지의 쓸개에 생기는 황을 저황(猪黃), 돼지의 털을 저모(猪毛), 돼지의 피를 저혈(猪血), 멧돼지의 입을 저구(猪臼), 멧돼지처럼 앞뒤를 헤아리지 않고 불쑥 돌진함을 저돌(猪突), 어미 돼지를 모저(母猪), 털 빛이 온통 흰 돼지를 백저(白猪), 납일에 잡은 산돼지를 납저(臘猪), 멧돼지를 아저(野猪), 멧돼지를 산저(山猪), 고기로 먹을 어린 돼지를 아저(兒猪), 오래 두어도 썩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내장을 빼고 튀해서 얼린 돼지고기를 동저(凍猪), 돼지의 털로 맨 큰 붓을 저모필(猪毛筆), 돼지의 털로 만든 솔을 저모성(猪毛省), 돼지의 불알을 저석자(猪石子), 돼지의 가죽으로 만든 갑옷을 저피갑(猪皮甲), 돼지 꼬리에서 받아낸 피를 저미혈(猪尾血), 돼지의 염통의 피를 저심혈(猪心血), 순대를 삶지 아니하고 쪄서 익힌 음식을 저장증(猪腸蒸), 돼지 목구명 옆에 들어 있는 구슬 모양으로 된 물질을 저엽자(猪靨子), 돼지의 뼈를 잘게 토막 쳐서 간장에 조린 음식을 저골초(猪骨炒), 별도로 기른 돼지를 별양저(別養猪), 일정한 수를 늘 갖추어 두고 기르는 돼지를 상양저(常養猪), 멧돼지의 털을 산저모(山猪毛), 멧돼지의 가죽을 산저피(山猪皮), 멧돼지의 피를 산저혈(山猪血), 멧돼지 뱃속에 생기어 뭉킨 누른 물질을 산저황(山猪黃),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를 염저육(鹽猪肉), 관가 돼지 배 앓는다는 속담의 한역으로 자기와 아무 관계없는 사람이 당하는 고통을 관저복통(官猪腹痛), 하나는 용이 되고 또 하나는 돼지가 된다는 뜻으로 학문의 유무에 따라 어질고 어리석음의 차이가 아주 심하게 된다는 일룡일저(一龍一猪) 등에 쓰인다.
▶️ 突(갑자기 돌)은 ❶회의문자로 宊(돌)의 속자(俗字)이다. 穴(혈)과 犬(견; 개)로 이루어졌다. 개가 구멍에서 뛰어 나온다는 뜻이 전(轉)하여 힘차게 내밀다, 갑자기의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突자는 '갑자기'나 '쑥 나오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突자는 穴(구멍 혈)자와 犬(개 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동굴과 개를 함께 그린 것이 왜 '갑자기'라는 뜻을 갖게 된 것일까? 동굴은 깊고 어두운 곳이기 때문에 무엇이 있는지 가늠하기 어렵다. 그래서 突자는 어두운 동굴에서 개가 갑자기 툭 튀어나오는 예상치 못한 상황이라는 의미에서 '갑자기'를 뜻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突(돌)은 성(姓)의 하나로 ①갑자기 ②갑작스럽다 ③내밀다 ④쑥 나오다 ⑤부딪치다 ⑥구멍을 파서 뚫다 ⑦굴뚝 ⑧대머리 ⑨사나운 말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갑자기 졸(猝), 갑자기 홀(忽)이다. 용례로는 어떤 곳이나 상태에 기세 있게 뛰어드는 것을 돌입(突入), 무찔러 깨뜨림이나 뚫어 깨뜨림을 돌파(突破), 갑자기 쑥 나옴이나 툭 튀어나옴을 돌출(突出), 갑작스러움이나 갑자기를 돌연(突然), 갑자기 거세게 일어나는 바람을 돌풍(突風), 갑자기 일어남을 돌기(突起), 거침없이 곧장 나아감을 돌진(突進), 일이 뜻밖에 일어남을 돌발(突發), 적진을 향하여 거침없이 나아가 침을 돌격(突擊), 갑자기 변함을 돌변(突變), 툭 불거진 모퉁이나 끝을 돌각(突角), 세차게 돌진하여 지나감을 돌과(突過), 치솟음이나 쭈뼛하게 섬을 돌립(突立), 펄쩍 뛰어 남을 돌비(突飛), 돌진하여 싸움을 돌전(突戰), 글을 거침없이 외움을 돌송(突誦), 쌍방의 의견이 맞지 아니하여 서로 맞섬을 충돌(衝突), 올차서 꺼리는 마음이 없음을 당돌(唐突), 세차게 부딪침을 격돌(激突), 방에 고래를 켜고 구들장을 놓고 흙을 발라 바닥을 만들고 불에 때어 덥게 만드는 장치를 온돌(溫突), 주인의 허락 없이 남의 집안에 쑥 들어감을 일컫는 말을 내정돌입(內庭突入), 이리저리 닥치는대로 부딪침을 일컫는 말을 좌충우돌(左衝右突), 평지에 산이 우뚝 솟음으로 변변치 못한 집안에서 뛰어난 인물이 나옴을 비유하는 말을 평지돌출(平地突出), 굴뚝을 꼬불꼬불하게 만들고 아궁이 근처의 나무를 다른 곳으로 옮긴다는 뜻으로 화근을 미리 방지하라는 말을 곡돌사신(曲突徙薪) 등에 쓰인다.
▶️ 豨(큰돼지 희)는 형성문자로 狶(희)는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돼지 시(豕; 돼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希(희)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그래서 豨(희)는 ①돼지, 멧돼지 ②돼지가 달리는 모양 ③돼지가 달리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산돼지처럼 용맹함 또는 그러한 군사를 희용(豨勇), 진득찰을 약재로 이르는 말(외과와 부종에 약재로 씀)을 희첨(豨簽), 멧돼지처럼 앞뒤를 생각하지 않고 용맹스럽게 골진한다는 뜻으로 앞뒤를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날뜀을 저돌희용(豬突豨勇) 등에 쓰인다.
▶️ 勇(날랠 용)은 ❶형성문자로 勈(용)은 본자(本字), 恿(용)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힘 력(力; 팔의 모양, 힘써 일을 하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甬(용; 管 속을 뚫고 나가는 일)으로 이루어졌다. 힘(力)을 돋우어 날래다는 뜻을 합(合)하여 용감하다를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勇자는 '날래다'나 '용감하다', '강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勇자는 甬(길 용)자와 力(힘 력)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甬자는 고리가 달린 '종'을 그린 것이다. 쇠로 만들어진 종은 무게가 상당했을 것이다. 勇자는 이렇게 종을 그린 甬자에 力자가 결합한 것으로 무거운 쇠 종을 들 수 있는 정도의 힘과 용기, 결단력을 뜻한다. 勇자는 그러한 의미에서 '날래다'나 '용감하다', '강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勇(용)은 (1)용기(勇氣) (2)일시(一時)에 몰아서 내는 강(强)한 힘 등의 뜻으로 ①날래다 ②용감하다 ③과감하다 ④결단력(決斷力)이 있다 ⑤강하다 ⑥용기(勇氣)가 있다 ⑦다툼 ⑧용사(勇士), 병사(兵士)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겁박할 표(剽), 감히 감(敢), 날랠 효(驍)이다. 용례로는 씩씩하고 겁이 없으며 기운참을 용감(勇敢), 날쌔고 굳셈을 용강(勇剛), 용감하고 건실함을 용건(勇健), 용기 있게 결단함을 용단(勇斷), 어떠한 위험이라도 무릅쓰고 선행을 감행하는 덕을 용덕(勇德), 씩씩한 힘 또는 뛰어난 역량을 용력(勇力), 용자로서의 명성을 용명(勇名),용감한 군사를 용병(勇兵), 용감한 사나이를 용부(勇夫), 용맹스러운 사람을 용사(勇士), 용감한 자태를 용자(勇姿), 날래고 씩씩함을 용장(勇壯), 용맹스러운 장수를 용장(勇將), 용감하게 싸움을 용전(勇戰), 날래고 사나움을 용한(勇悍), 의협심이 있어 남자다움을 용협(勇俠), 용기 있게 결단함을 용결(勇決), 씩씩하고 용감한 기운을 용기(勇氣), 날래고 사나움을 용맹(勇猛), 조금도 꺼리지 아니하고 용기 있게 물러나감을 용퇴(勇退), 사리를 분간하지 않고 함부로 날뛰는 용기를 만용(蠻勇), 강하고 용감함을 강용(强勇), 굳세고 용감함을 강용(剛勇), 큰 용기로 큰 일을 당하여 분발하는 용기를 대용(大勇), 날래고 용맹함을 효용(驍勇), 용기를 북돋음을 고용(賈勇), 앞뒤를 헤아리지 않고 냅다 찌르는 기세로 내닫는 용기를 저용(豬勇), 무예에 뛰어나고 용감함을 무용(武勇), 한 사람을 능히 대적할 만한 정도의 용맹을 소용(小勇), 사람의 지혜로는 생각할 수 없는 용기를 신용(神勇), 어떤 일을 용감하게 끝낸 뒤에 아직 넘치는 용기를 어용(餘勇), 영특하고 용감함을 영용(英勇), 용감하기 짝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용감무쌍(勇敢無雙), 용맹스럽게 힘써 나아감을 일컫는 말을 용맹정진(勇猛精進), 거리낌없이 힘차고 용감하게 나아감을 일컫는 말을 용왕매진(勇往邁進), 용감하고 강한 장수에게는 약하고 비겁한 병사는 없음을 일컫는 말을 용장약졸(勇將弱卒), 관직을 그만두고 속세를 떠나서 생활함을 이르는 말을 용퇴고답(勇退高踏), 하찮은 남자의 용기라는 뜻으로 소인이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용기를 이르는 말을 필부지용(匹夫之勇), 혼자서 능히 몇 사람을 당해 낼 만한 용기를 일컫는 말을 겸인지용(兼人之勇), 멧돼지처럼 앞뒤를 생각하지 않고 용맹스럽게 골진한다는 뜻으로 앞뒤를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날뜀을 일컫는 말을 저돌희용(豬突豨勇), 벼슬자리를 단연 버리고 물러나는 것이 급류를 건넘과 같이 용감함을 이르는 말을 급류용퇴(急流勇退), 어부는 물 속에서는 무서워하지 않는 데서 오랜 체험에서 얻은 용기를 이르는 말을 어부지용(漁夫之勇)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