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121개국 2만 9000개 점포에서 160만여명의 종업원이 종사하고, 미국 주도하는 세계화의 상징이자 최대의 성과물로 단연 언급되는 기업이 있다. 1955년 밀크셰이크 기기 외판원인크로크에 의해 서립돼 매일 전세계에서 5개의 점포가 설립돼 매일 전세계에서 5개의 점포가 신설되며 패스트푸드 산업의 제왕으로 우뚝 선 맥도날드이다. 이러한 맥도날드도 패스트푸드 산업의 구조적인 침체 속에서 2000년 창사 이래 최초로 적자를 기록하는 등 최대의 위기를 경험했다 전세계에 불어 닥친 웰빙 바람으로 패스트푸드 산업은 연 평균 20% 이상의 고성장에서 5%에도 못미치는 침체에 빠졌을때 일부에서 사양길에 접어든 맥도날드의 몰락을 예견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산업 전체가 위기에 빠져 있는 상황에서도 맥도날드는 2006년 사상 최고의 실적으로 재도약에 성공했고 많은 이들로부터 그 저력에 대해 주목받고 있다.
맥도날드의 위기극복에는 짐스커너 회장의 강력한 리더십이 있었다 스키너 회장은 무엇보다 규모에 대한 미련을 버리는데 앞장섰다. 스키너 회장은 기존 확장전략의 폐기를 선언함과 동시에 외형성장에 매몰된 기업체질을 수정하기 위해 대대적인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2003년 'Plan to Win" 을 슬로건으로 글로벌 지역본부의 약 50%를 폐쇄했으며 슈퍼마켓 호텔등 비관련 사업에 대해 가차없이 매각을 단행했다. 그뿐만 아니라 "신규매장 수" 항목을 없애고 "고객만족도" 에 최고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등 "고객중심의 경영체제"구축을 위한 시스템을 과감히 개혁해 나갔다.
한편 "요리혁신팀" 이란 전사 차원의 신사업전단조직을 통해 상품 개발의 돌파구를 마련했다.
요리혁신팀은 60초 이내에 완성해야 하는 패스트푸드업의 특성을 고려해 1800여 가지 요리를 직접 실험했으며 그 결과 설립 1년 후인 2005년 식사대용으로만 간주되던 패스트푸트에 대한 고정관념을 타파하고 간식시장을 창출한 스낵랩 이탈하던 여성고객을 재유인하는데 성곡한 이태리식 원두커피 " 맥 카페" 등의 히트 상품을 지속출시하며 성장엔진을 재점화하는데 성공했다
또한 해외에서 웰빙 바람과 함께 팽배해 가던 反맥도날드 정서를 극복하는 노력도 게을리 하지 않았다.
포장지에 영양분 함량표를 그림으로 자세히 표시하고 모든조리에서 트랜스지방을 퇴출하면서 소비자의 호응을 확보해 나갔다. 게다가 40%에 달하던 직영점을 15%로 감축하고 모든 식품재료는 현지에서 구매하는 등 매장의 철저한 현지화를 추진했다.
흔히 아무리 성공을 거든 기업일지라도 영위하는 사업이 사양산업일 경우 해당 산업에서는 더 이상 고성장을 기대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패스트푸드 산업의 침체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현명하게 극복한 맥도날드 짐 스키너회장의 리더십의 혁신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07년 8월 30일 목요일 제 680호 포스코 신문 김성표(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나의 생각)
세계사람들중 맥도날드를 모르는 사람은 몇명이나 될까?
그리고 맥도날드에서 햄버거를 안먹어본사람은 얼마나 될까?
그만큼 맥도날드는 엄청난 큰 회사이다
보통 그런 큰 회사가 침체에 빠졌을때는 다시 성장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런데 짐 스키너 회장은 과감히 확장전략 을 폐기하고 고객중심 신제품 개발하는데 주력을 다했다
거의 모든 직원들이 말렸으나 그는 특별한 리더십으로 고객중심의 경영체제가 성공하였다.
리더는 때로는 과감하게 뭔가 추진해 나가야된다고 생각된다.
자기의 회사나 그룹이 침체나 하락되고 있다고해도 자신의 리더십으로 변화를 주어 다시 성장할 수 있도록
만들어가야된다고 생각된다.
책에서 짐스키너가 했던말
성공하는 리더를 위한 고품격 유머 - 이상준 -저자
"우리 회사 식당 수는 몇 만개라서 끼니마다 한 가게씩 돌아다녀도 몇 십 년이 걸린다내 "
세계경영자 명언집 -존 우즈- 저자
"실패했다고 해서인생이 끝나는게 아니다. 포기해야 끝나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