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교내 매점에서 201전화카드를 구입한다(10元 20元 30元 50元)
②카드 뒷면의 설명방법을 참고하여 번호를 누른다.
③수화기를 들고 2011을 누른다.
④중국어표준어 안내방송은 1번을 누른다. (講普通話請撥一)
⑤카드번호를 누르고 #을 누른다. (請輸入 的 ((-) )號按'井'號確認)
⑥비밀번호를 누르고 #을 누른다. (請輸入 的密碼)
⑦상대방 전화번호를 누른다. (請撥 要的電話號碼或縮位代碼)
국가별접속번호인 108827/108828/108821 중 하나를 누르고 #을 누른다.
뜨아~ 손가락에 쥐가 나려고 하죠? 慢慢來!
⑧**통신의 한국어방송이 나오면 카드번호와 비밀번호를 누른다.
⑨지역번호와 함께 집 전화번호를 누르고 사정없이 #을 누른다.
단, 지역번호 앞의 0은 뺀다.
예) 2(서울)-123-4567 53(대구)-123-4567 11(휴대폰)-123-4567
IC(공중전화)카드를 구입하여 전화할 때
①카드를 구입한다.(20元 30元 50元 100元)
②카드를 넣는다.
③집 전화번호가 123-4567일 경우
0082-2-123-4567(서울) 0082-53-123-4567(대구)
④100元짜리 카드를 구입한다 하더라도 그리 오래 통화하지는 못한다.
중국에서 직접 거는 국제전화는 상당히 비싸다.
공중전화를 이용하여 수신자 부담을 전화할 때(공짜전화)
-별도의 코인이나 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1. 공중전화기의 긴급전화 버튼을 누른다
2. 윗화면에 免費電話라는 글이 뜬다
3. 수신자 부담으로 전화할 접속번호를 누른다 108821 108828 108827 등등
4. 집 전화번호를 누르고 통화한다
5. 수신자전화요금은 받는 측으로 고지된다
한국에서 중국으로
①008/002/001-86-10(북경)-기숙사전화번호(보통 8자리)
(참고) 광주-20 , 상해-21, 천진-22, 심양-24, 남경-25, 대련-411, 청도-532, 하얼빈-451 등
②인터넷폰(0072700)-안내방송-86-10(북경)-기숙사전화번호# (통화감은 좀 떨어진다)
③선불카드(각 통신회사마다 판매)를 구입하여 이용한다 -후불보다 약간 저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