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와인의 종류
 
•     발효주 : 신선한 포도의 과즙을 발효시켜 얻어진 
             과실주 
 
  R 레드 와인(red wine) 
  R 화이트 와인(white wine)
  R 로제 와인(rosé wine)
  R 스위트 와인(sweet wine)
  R 스파클링 와인(sparkling wine)
 
 
•     증류주 : 증류(distilling)에 의해 만들어진 와인, 
             일명 burnt wine이라고도 함
 
   R 꼬냑 (cognac)
   R 아르마냑 (armagnac)
   R 그라파 (grappa) 
   R 브랜디 (brandy) 
 
 
•     포티파이트 와인(fortified wine) 
   발효과정에 알코올이나 오 드 비(eau de vie, 브랜디의 원액)를 넣어서 알코올 도수를 끌어올린 와인(통상 18~20%)
  
    R 뱅 두 나뛰렐 
        (VDN, vins doux naturels) 
    R 셰리(sherry) 
    R 포트 와인 (port wine) 
    R 마데이라 (madeira)
    R 마르살라 (marsala)
 
 
2.    와인의 스타일
 
•     질감에 의한 스타일
 R 라이트 와인 
 R 미디움 바디 와인
 R 풀 바디 와인
 
 
•     선호에 의한 스타일
 R 경험의 정도에 따른 와인의 선호
 R 연령층에 따른 와인의 선호
 
 
3.    와인의 색깔에 따른 분류
 
•     화이트 와인
 R 기초물질 : 산(acid)
 R 알코올 수준 : 평균12~13%(알코올 도수)
 R 빛깔 : 성숙의 진행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보임
      - 푸르스름한 빛깔(verdâtres) : 초기 숙성
      - 밀짚 빛깔(pailles) : 숙성의 진행
      - 황금 빛깔(dorés) : 완벽한 숙성
      - 호박색(ambrés) : 아주 오래된 숙성
 R 서빙 : 반드시 차게 해서 마신다 (6~11℃ 또는 8~12℃)
 R 음식과의 매칭 : 생선류, 갑각류, 일부 가금류
 
•     레드 와인
 R 기초물질 : 탄닌(tannin, 떫은 물질)
 R 알코올 수준 : 평균12~14%(알코올 도수)
 R 빛깔 : 성숙의 진행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보임
        - 보라 빛깔(violacés) : 초기 숙성
        - 체리 빛깔(cerise) : 숙성의 진행
        - 오렌지 빛깔(orangés) : 완벽한 숙성
        - 벽돌 빛깔(brique) : 아주 오래된 숙성 
 R 서빙 : 상온(약 18~20℃)의 수준, 다만 와인의 산지, 포도종에 따라 서빙 온도를  달리 함(2~4℃ 낮게).
 R 음식과의 매칭 : 붉은 빛깔의 육류
 
 
 
 
4.    와인의 맛을 결정하는 요인
 
•     포도의 품종
   널리 쓰이는 포도 품종 : 40 여종 
   까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시라, 말벡, 삐노 누아, 샤르도네, 리슬링, 
소비뇽 블랑 등
 
•     뗴루아(terroir)
   토양, 입지, 기후, 기상 등 
 
•     와인 메이킹 
   양조의 시설, 기술, 메이커의 비법 등
 
 
 
5.    포도의 종
<포도 종의 가계(家系)>
 
•     가계 
   인도 유럽 산의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      변종
    4,000여 종 
 
•     가장 널리 쓰이는 포도의 종(10종) 
   레드: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메를로(Merlot), 삐노 누아(Pinot Noir), 
            시라/쉬라즈(Syrah/Shiraz),        
            산지오베제(Sangiovese)
 
   화이트:   샤르도네(Chardonnay), 리슬링(Riesling),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뮈스까(Muscat), 세미용(Sémilon) 
 
 
 
6.    비교적 많이 쓰이는 포도의 종
 
레드 :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메를로(Merlot), 삐노 누아(Pinot Noir), 
   시라/쉬라즈(Syrah/Shiraz), 가메(Gamay), 
   그르나슈(Grenache), 말벡(Malbec), 
   산지오베제(Sangiovese), 뗌쁘라니요(Tempranillo),
   네비올로(Nebbiolo), 진판델(Zinfandel),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화이트 :
   샤르도네(Chardonnay), 리슬링(Riesling), 
   게뷔르츠트라미너(Gewürztraminer), 
   세미용(Sémilon),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뮈스까(Muscat), 삐노 그리(Pinot Gris) 
 
 
 
7.    와인의 서빙
 
•     코르크 마개를 딴 후 병 입구를 깨끗한 천으로 닦는다. 
•     잔 채우기는 반 잔의 원칙(moitié)을 지킨다. 다만, 잔의 크기나 하우스 와인의 경우 일정량의 가감이 따를 수 있다.
•     테이스팅의 경우, 잔 채우기는 글라스의 1/3이내.
•     병을 거꾸로 세울 정도로 알뜰히 따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sediment의 문제)
•     에어링(airing)을 하는 것이 좋다. (서빙 예정 시간에 앞서 미리 코르크를 따서 공기와 접촉) 
 
 
8.    와인의 보관
 
•     와인 보관 시 피해야 할 요소들 
  R 열 (heat)과 빛 (light) 
  R 습도의 결핍 (lack of humidity) 
  R 지속적인 운동 (constant movement)
•     와인 보관의 일반요령
  R 레드 와인은 상온(16℃~18℃), 화이트 와인은 저온
     (6℃~10℃ 또는 8℃~12℃). 
  R 햇빛과 자외선이 차단되고 습도가 있는 곳이 좋다. 
  R 와인 병은 수평으로 눕혀 코르크의 건조를 막는다. 
  R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이 좋다. 
 
 
 
 
9.    와인 마시기의 에티켓
 
•     식사 코스에 적합한 와인의 선택
  
  R 아페리티프 : 
아페리티프 와인 : sherry, champagne
 
  R main dish : 
테이블 와인 : red, white, rosé 등 
 
  R dessert course : 
  디저트 와인(cognac, armagnac, sweet wine 등) 
 
 
•     와인 선택
 
R 식사 동반자와 상의하여 선택
 R 때로는 sommelier의 도움을 얻는다. 
 R 지나치게 비싼 것은 사양
 R 하우스 와인을 선택하는 경우 : 
    여행 중, 특별히 선호하는 와인이 없을 경우, 
    양적인 부담이 큰 경우.
 R 여행 중 방문지 국가가 와인을 생산하는 경우   
    그 나라의 local wine을 선택 
 
 
 
 
 
 
10.      음식과 와인의 매칭
 
•     와인과 음식, 그 결합의 원칙 세 가지
 R  동질성 결합의 원칙
 같은 성질의 것은 같은 것으로 결합시키는 원칙. 
 센 것은 센 것으로, 넉넉한 것은 넉넉한 것으로, 
 농도가 진한 것은 진한 것으로 결합한다는 것.
 
 R  압도의 원칙
 산(酸)은 산(酸)으로 맞서게 하고 단맛은 단맛으로 다스리게 하는 이치.
 - 푸딩, 아이스크림, 초콜릿 등 단맛이 강한 디저트에는 
     이보다 더 진하고 감미를 보이는 디저트 와인으로 매칭.
 - 식초를 듬뿍 친 샐러드에는 산이 많은 드라이 화이트 와인을 
    매칭.
  
R  조화의 원칙
 소금에 절인 엔초비나 짠맛이 도는 블루 치즈에 단맛이 넘치는
 스위트 와인을 매칭시키면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받아들이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게 된다. 
 
 
11.      와인의 평가  
 
•     샴페인
  - 화려한 색상 
  - 중심부에서 미세한 기포가 끊임없이 올라오는 경우
 
•     레드 와인 
  - cherry & orange 색상
  - well balance인 경우
  - finish가 훌륭한 경우 
     : long finish, lasting finish, lingering finish
- deep & round 한 맛
 
•     화이트 와인 
  - golden color 
  - 맛이 fresh & crisp 한 경우
  - deep & round 한 맛 
 
 
12. 와인과 건강
 
•     와인에 함유된 건강물질
  R 폴리페놀 
    • 혈소판 응집예방
    • 혈전증의 위험감소
    • 활성산소 제어작용
 
  R 안토시아닌(Anthocyanin)
   • 항산화, 활성면역에 유익
 
  R 리스베라트롤(Resveratrol)
   • 혈소판 응집예방
•     와인의 일일 권장량 : 하루 2~3잔 
 
	 					
	
	 
첫댓글 애주가들을 위해서 올려 보았습니다.
와인 많이 마시면 골패요.
많이 마셔서 골패지 않는 술은 지구상에 없습니다.
과음을 하지 않아야 골이 패지 않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