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 직위, 직책, 직급 쉽게 이해하기
이력서를 쓸때나 신입사원의 경우 직위, 직급, 직책 등의 용어가 헤깔 릴 수 있다.
이에 <직위, 직급, 직책>이 어떻게 다르고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예를 들어 확인하고자 한다.
회사마다 조직마다 쓰는 곳도 있고 그렇지 않은 곳도 있다는 점도 기억하길 바란다.
1. 사전적 정의 <네이버 사전 인용>
- 직위: 직무에 따라 규정되는 사회적·행정적 위치
- 직급: 직무의 등급. 일의 종류나 난이도, 책임도 따위가 상당히 비슷한 직위를 한데 묶은 최하위 구분이다.
동일한 직급에 속하는 직위에 대하여서는 임용 자격, 시험, 보수 따위의 인사 행정에 있어 동일한
취급을 할 수 있다.
- 직책: 직무상의 책임
위의 정의만 읽고 100%로 이해가 간다면 당신은 천재다.
2. 실제의 예시
- 직위: 쉽게 말하면 서열이다.
선임-주임-대리-과장-차장-부장-이사-상무-전무-부사장-사장-부회장-회장 으로 이어지는 서열
흔히 승진했다라고 말하면 직위가 상승했다라고 보면된다.
- 직급: 직위를 좀더 세부적으로 분류한 체계이다.
예를들어 과장 3호봉, 대리 4호봉 등이며, 공무원의 경우 9급 4호봉, 7급 5호봉 등이 있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직급은 직위와 함께 불리우는 것이 일반적이며, 공무원이 아닌 일반회사의 경우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일반 회사에서 " 네 과장 3호봉 홍길동 입니다." 라고 말하지 않는것을 보면 이해가 갈것이다.
- 직책: 책임과 권한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
파트장-팀장-실장-본부장-사업부장-CEO,CFO,COO 등을 직급이라고 부른다.
승진을 하다라도 직책은 그대로인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차장이 부장으로 승진하더라도 그대로 팀장인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위에 열거한 것을 풀어서 설명해 보자
홍길동은 차장 2호봉이며 인사부분 인력개발 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홍길동의 직위는 차장이고, 직급은 차장2호봉, 직책은 팀장이다.

3. 주의 할 점
- 경력자가 이력서를 작성할 경우 통상적으로 직위와 직책을 함께 쓰면된다.
예를 들어 영업2팀 팀장 (부장) 혹은 디자인 실장 (차장) 이라고 명기하면 된다.
- 동일 직책에 다른 직위를 가진 경우에는 유의할 사항이 있다.
같은 직책이더라도 상위 직위를 가지고 있으면 상위 직위로 불러 주는것이 그것이다.
예를들어 어느 회사가 대부분 차장이 팀장인 경우가 많다고 가정하자.
그럴때는 차장인 팀장에게는 대부분 "홍길동 팀장님"이라고 부르면 된다.
그러나 부장인 팀장에게는 "홍길동 부장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예의다.
이유는 간단하다 그렇게 불러주는 것이 사람이 기분이 좋기 때문이다.
- 상위 직책자 앞에서 하위 직책자의 이름을 언급하는 경우도 유의해야 한다.
내가 과장이고 내위에 팀장이 있다. 그리고 본부장에게 보고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자.
이럴때 본부장에게 "홍길동 팀장님이 오늘 몸이 아파서 못나오셨습니다." 라고 하는것은 잘못이다.
"홍길동 팀장이 오늘 몸이 안파서 못나왔습니다." 라고 말하는 것이 맞다.
비록 나보다 상위 직책자 더라도 더 높은 상위 직책자 앞에서는 존대를 빼는 것이 예의다.
군대에서 일병인 중대장에게 "홍길동 병장님이 하라고 했지 말입니다." 라고 말하면 혼이난다.
특히, 여자 신입사원의 경우는 다소 이해하기 힘들 수 있는데 반드시 기억 하는것이 좋다.
- 외국회사나 International Company의 경우 직위, 직책, 직급에 대한 구분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Clerk, Manager, Engineer, Accountant, Supervisor,Team Leader, Technical developer, Director,
Asia reginal manager 와 같이 업무에 대한 설명 중심으로 불리워 진다.
이유는 간단하다. 외국인은 직책을 부르지 않고 그냥 이름을 부르기 때문이다.
한국식으로 굳이 풀어서 설명하자면 직책만을 언급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물론 한국에서 유행하는 CFO, CDO, COO, CEO 와 같은 용어도 사용하며 이는 직책의 범위에 들어간다.
회사마다 혹은 조직의 특성에 따라 직위, 직급, 직책은 다소 다르게 이해되고 통용될 수 있다.
그러나 기본을 알고 기억하고 있다면 개념찬 직원이 되는것은 두말 할 나위 없는 사실이다.
http://kickthecompany.com/rss
첫댓글 직위: position
직급:
직위분류제
[ 職位分類制 , position classification system ]
계급제(rank classification system)와 대비시켜 볼 때, 계급제가 사람의 능력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이라면 직위분류제는 직무의 특성에 착안한 분류이다.
post, position 도 직책이고?
진짜 직책은 responsibilities pertaining to one's work[job]; one's du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