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 Comparison (비교)
A. 머리말
이번 시간에는 교재 190쪽 18과
Comparison 비교이다. 이 비교도 우리문법에서는 크게 발전하지 않은 분야인데 영어에서는 원급, 비교급, 최상급해서 아주 엄격하게 아주
구분하고 있고 그래서 이렇게 전체 20단원으로 구분된 단원에서 한 단원을 차지할 정도로 영어에서는 아주 관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이 되는
표현이다.
B. 본문강의
P. 190
I. 원급(Positive Degree)
1. 기본용법
The little
boy was as old as my son.
=The little boy was the same age as my boy.
(그
어린 소년은 내 아들과 동갑이었다.)
⇒ 흔히 as 형용사 as 혹은 as 부사 as로 쓰는 구문인데 먼저 예문을 보겠다. The
little boy was as old as my son. as 형용사 as구문이다. 이 문장을 부정문으로 만들 때는 앞에 not을 붙인다고
한다.
He is not so/as happy as he was.
(그는 전만큼 행복하지
않다.)
⇒ 원래는 as지만 보통 보면 as대신에 so를 써서 as happy as라고 하지 않고 not so happy as 이런 식으로
표현한다고 한다.
She is as tall as me.(구어체)
(그녀는 나만큼 크다.)
⇒ 이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me대신에 I가 되어야 되겠다. 즉, me 나라는 사람이 그녀와 비교가 되는 것이니까 원칙적으로 주격이 써져야 되는 것인데 그렇지만
구어에서는 이외에도 많이 보았다. 구어체에서는 I 주격대신에 목적격 me를 많이 쓴다라고 하는 점 그것이 여기도 적용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I love you as much as she/her.
(나는 그녀만큼 너를
사랑한다.)
⇒ 이런 경우 애매한데 구분을 해야 한다. 만약에 I love you as much as she. 문장이라면 나는 너를
사랑한다. 그런데 as much as she니까 그녀가-주격이다-너를 사랑하는 것만큼 나도 너를 사랑한다. 이런 뜻이 되고, 그렇지 않고
her가 써져서 I love you as much as her.라면 내가 너를 사랑하는데 내가 her 그녀를 사랑하는 것만큼 너를 사랑한다.라는
뜻이니까 아주 전혀 다른 뜻이 되어 버린다. 조심해야겠다.
P. 191
The girl is as clever as (she is) pretty. (동일
인물의 성질 비교)
(그 소녀는 예쁜 만큼 똑똑하다.)
⇒ 동일인물의 성질을 비교할 때 이렇게 쓴다는 것이다.
2. 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
앞에서 얘기한 것들이 원급의 기본적인 표현들이라면 항상 예외적인
표현들이 중요하다. 바로 원급을 사용해서 최상급적인 의미를 만들 때, 뒤에 보면 비교급을 써서 최상급의 의미를 만드는 것도 있는데
마찬가지이다.
She is as happy as (happy) can be. (더할 나위 없이)
(그녀는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하다.)
⇒ as~ as can be: 더할 나위 없이 ~하다. 최상급의 의미이다. ‘더할 나위 없이
행복하다.’
He is as great a dramatist as ever lived.
(그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극작가이다.)
cf. He is as poor as ever. (변함없이, 여전히)
(그는 여전히 가난하다.)
⇒ as
~ as ever : 동사가 뒤에 나올 경우에는 이렇게 as~ as ever 이런 식으로 최상급을 만들어
준다.
Once approached, the Koreans are as friendly as any
people.
(일단 가까워지면 한국인들은 다른 어떤 민족보다도 정답다.)
⇒ 이 문장은 다음 문장과 대비가 되는 것인데 Once
approached, the Koreans are as friendly as any people. 일단 가까워지고 나면 한국인들은 as ~ as
any 위하고 비슷하다. 다만 ever와 any의 차이인데 ever다음에는 위에서 말한대로 동사를 쓰고 any다음에는 이렇게 명사를 쓴다. 즉,
이 세상에 있는 어떤 사람들보다도 더 friendly 다정한 사람들이다. 이 friendly는 앞서의 부사와 관련지어서 friendly는
-ly가 붙었지만 품사는 부사가 아니고 형용사이다. 즉 이렇게 명사다음에 -ly를 붙이면 가령 lovely 사랑스러운 형용사가 된다거나
manly 남자다운, womanly 여자다운 등등의 말이 전부 -ly가 붙었지만 형용사로 쓰였다. 왜냐면 앞의 말이 명사니까. 아무튼 as~
as any는 최상급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Nothing is so important as honesty in our life. (부정주어
이용)
=Hones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our life.
(인생에 있어서 그 어떤 것도
정직만큼 중요하지 않다.)
⇒ 문법시험에서 많이 보는 문장들이다. nothing so as니까 기본적으로 원급의 부정이다. ~만큼 ...한
것은 없다. 그래서 최상급의 의미가 되는 것이다. 아주 간단한 최상급으로 고쳐주자면 이 문장은 Hones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our life. 정직이라는 것이 우리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부정적으로 쓰면 그런 식의 원급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3. 원급을 이용한 관용구
The gentleman was as cool as a
cucumber. (매우 침착한)
(신사는 매우 침착했다.)
⇒ cucumber라는 말은 원래 오이라는 말이다. 여름에 오이를 먹었을
때 시원한 느낌 그것 때문에 이런 말이 만들어지기도 했고 cool이라는 발음, 소리에 맞춰서 나온 것 같기도 한데 아무튼 as cool as a
cucumber하면 매우 침착한 이란 뜻이다.
My friend has twice as many books as I. (배수 표현)
(내
친구는 나보다 두 배의 책을 가지고 있다.)
⇒ 배수를 표현할 때. 두 배로 할 때는 twice, 세 배가 되면 three times 이런
식으로 표현을 하는데 바로 그럴 때 as ~ as 앞에다가 twice, three times, four times 이런 식으로 쓴다는 것이다.
다만 기억할 것은 꼭 이렇게 우리 같으면 몇 배라고 하자면 누구보다도 많다는 뜻이니까 비교급을 쓰겠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렇게 하지 않고 꼭
원급에다가 앞에 twice, three times 이런 식으로 붙여준 다는 것이다.
He sat as far away from the others as possible. (가능한
한)
=He sat as far away from the others as he could.
(그는 다른 사람들과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앉았다.)
⇒ as~ as possible 많이 본 표현이다. 가능한 한. as~ as he could, as~ as one
can. possible을 one can으로 바꿔 쓰기도 한다는 점 기억이 날 것이다.
Without her glasses she was as good as blind. (~와
다름없는)
(안경이 없으면 그녀는 장님과 다름없었다.)
⇒ as good as 이것도 꼭 기억을 해두어야겠다. 왜냐면 이때 쓰인
good이 좋다는 뜻이 아니고 ~과 다름없다는 뜻인데 그것도 좋은 경우보다는 대체로 좋지 않은 경우에 이런 말을 잘 쓴다. 그것이 정 반대의
뜻으로 쓰이는데 가끔 이렇게 역설적으로도 쓰인다.
Women, as well as men, have a fundamental right to work.
(~ 뿐만 아니라)
(남자들뿐만 아니라 여자들에게도 일할 기본적인 권리가 있다.)
⇒ as well as하면 ‘~뿐만 아니라‘인데
조심해야 될 것은 그 뒤에 있는 말 as well as men 남자들뿐만 아니라/ women have a fundamental right to
work 여성도 일을 할 수 있는 기본권을 가지고 있다.
We were all right as/so long as we kept our heads down.
(=while; if only)
(우리는 자중하는 한 안전했다.)
⇒ 거의 비슷하게 쓰인다. as long as와 so long
as는. 뜻은 while ‘~ 하는 동안에‘라는 뜻이 되기도 하고 어떤 때는 if only 만약 ~하기만 한다면. 즉, 우리가 kept our
heads down 직역을 하자면 고개를 숙이고 있다가 될 테고 비유적으로 보자면 자세를 낮추다, 자중하다, 조심하다의 뜻이
되겠다.
P. 192
I'll go with you as far as Suwon. (~까지)
(나는
수원까지 너와 같이 갈 것이다.)
⇒ as far as 문자 그대로 ~만큼 far 멀리라는 말이다. 문자 그대도 거리를
나타낸다.
This is all nonsense as far as I am concerned. (=as for
me)
(나에 관한 한 이것은 말도 안 된다.)
⇒ 나에 관한한. 이건 아예 관용적으로 익혀두면 되겠다. as far as I am
concerned 나에 관한 한. as far as this problem is concerned 이 문제에 관한 한. 이때 as far as를
쓴다.
We had only one paper as/so far as I remember, one
three-hour essay.
(내가 기억하는 한 우리에게는 단 하나의 보고서, 즉 3시간 분량의 에세이만 있었다.)
⇒ as
far as/ so far as I remember 내가 기억하는 한.
As often as not she brought home a chicken. (=fairly
often)
(그녀는 꽤 종종 집에 닭을 가져왔다.)
⇒ as often as not 이건 ‘아주 종종’이라는 뜻이다.
He knows nothing about it as likely as not.
(=probably)
(그는 아마도 그것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를 것이다.)
⇒ as likely as not은 probably
‘아마도‘로 새기면 되겠다.
II. 비교급 (Comparative Degree)
1. 비교급
비교급은 형용사다음에
-er를 붙여서 쓰고 그 다음에 than을 쓴다는 것이다.
Mr Kim is taller than Mr Lee.
(김씨는 이씨보다
키가 크다.)
⇒ taller than.
Mr Kim is ten centimeters taller than Mr Lee.
(김씨는
이씨보다 10센티미터 더 크다.)
⇒ 누구보다 얼마 더 크다라고 할 때는 이런 식으로 ten centimeters를 이렇게 앞에 써주면
되겠다.
Mr Lee is less tall than Mr Kim.
=Mr Lee is not so
tall as Mr Kim.
(이씨는 김씨보다 작다.)
⇒ Mr Kim is ten centimeters taller than Mr
Lee. taller than 누구보다 크다. 굳이 문법적으로 구태여 말을 만들자면 ‘우등비교’가 되겠는데 Mr Lee is less tall
than Mr Kim.는 less tall이니까 열등비교가 되겠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not so tall as가 되겠다. 누구만큼 크지
않다.
She is more lovely than beautiful. (동일인물의 성질 비교)
(그녀는
아름답다기보다는 사랑스럽다.)
⇒ 동일인물의 성질을 비교할 때는 이렇게 비교급을 쓴다. 그래서 beautiful하기보다는 lovely한
편이다.
We became more and more friendly to Mr Carter
(점진비교)
(우리는 카터씨와 점점 친해졌다.)
⇒ more and more 이건 점진비교라고 한다. 점점 ~ 하다.
P. 193
The bill met with the opposi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절대비교)
(그 법안은 젊은 세대의 반대에 부딪혔다.)
cf. the younger Pitt,
the higher classes
⇒ opposition은 반대라는 말이다. 이것은 뒤에 than이 없이 쓰이는 절대비교라고 한다.
절대비교는 그 자체로, the younger generation, older generation, higher class 상류계층 이런 식으로
가능하겠다.
2. 기억해야할 비교급
He had never read further than chapter
VII.
(그는 7장보다 더 읽지 못했다.)
cf. older(나이) / elder(순서), later(시간) /
latter(순서)
farther(거리) / further(정도)
cf. latest(최근, 최신) / last(마지막)
⇒
further는 far의 비교급인데 farther도 있지만 further도 있다. farther는 거리를 가리키지만 further는 정도를
가리킨다. older, elder & later, latter 등등도 그런 차이가 있다. 다만 older와 elder를 보면 우리가
문법적으로 이렇게 써져있고, 나이가 많은 건 older이고 한 집안에서 첫째, 둘째의 그 순서를 따질 때는 elder를 쓴다고 하지만 실제로
현대영어에서 보자면 그 구문이 그렇게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는 것 같다. elder brother라고 우리가 꼭 해야 되는지 알지만 older
brother 이런 표현도 충분히 본다. latest 최근, 최신, last 마지막 이런 똑같은 최상급이지만 의미상의 차이가 있다.
She is five years senior to me. (라틴어 비교)
=She is my
senior by five years.
=She is five years my senior.
(그녀는 나보다 5년
연상이다.)
⇒ 이것을 다르게 바꿔주자면 She is my senior by five years. 이렇게 five years를 뒤로 빼서
쓴다. 혹은 다르게 She is five years my senior. 이런 식의 표현도 가능하다.
cf. superior(우등) / inferior(열등), senior(연장자) /
junior(연소자), major(주요한) / minor(부차적인), anterior(전) / posterior(후), interior(안) /
exterior(밖), prior, prefer A to B
⇒ 이런 라틴어 비교급에는 than 대신에 to를 쓴다.
3. 비교급의 강조
I'm treated so much better than Judy was.
(=far better)
(나는 과거의 주디보다 훨씬 잘 대접받고 있다.)
⇒ better앞에 much를 넣어서 강조해줬다. 비교급을
강조할 때 일차적으로 앞에 much를 넣어서, far better와 거의 같은 뜻이 되겠다.
This one is by far the better of the two.
(이것이 둘 중에서
훨씬 더 좋다.)
⇒ 그 둘 중에서 더 좋다 the better인데 by far를 넣어서 강조한 것이다.
He loves his enemies, much more his friends. (=still
more, 긍정의 강조)
(그는 적을 사랑하고, 그의 친구들은 더더욱 사랑한다.)
⇒ 하물며 ~은 말할 것도 없다.라고 할때 쓰는
표현이 much more 혹은 still more 긍정문에서 쓰인다.
No one would borrow such a book,
still less would one buy it. (=much less, 부정의강조)
(아무도 그런 책은 빌리지도 않고, 사지는 더더욱
않을 것이다.)
⇒ 긍정문일 때는 앞에서처럼 much more, still more를 쓰고 부정문에서는 much less, still
less를 쓴다. 다만 하나 더 기억할 것이 앞에서 부정부사가 나오면 문장이 도치된다고 했다. 여기도 보듯이 still less would
one buy it에서 보듯이 would가 조동사니까 바로 도치가 되었다. 원래는 one would가 되어야겠지만.
P. 194
4. The+비교급
이것도 비교급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데 원칙적으로는
비교급 앞에 the를 붙이지 않는다. 그렇지만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에는 비교급 앞에 the를 붙인다.
She is the cleverer
of the two.
(그녀가 둘 중에서 더 똑똑하다.)
⇒ 뒤에 of the two라는 표현이 올 때는 the를 붙여 the
cleverer of the two 이렇게 표현한다.
A good tale is none the worse for being twice
told.
(좋은 이야기는 두 번 들어도 나쁘지 않다.)
⇒ for 즉 이유, 원인이라는 말이 있는 문장이 뒤에 올 때는
worse라는 비교급 앞에 the를 붙인다. 그래서 두 번 들어도 나쁘지 않다. the worse of
I love her all the more because she has faults.
(나는
그녀의 결점 때문에 그녀를 더더욱 사랑한다.)
⇒ ~ 하기 때문에 더욱 ~ 하다. 그래서 the more for, the more
because 이런 표현이 가능하다.
Though he was poor, he was none the less
happy.(=nevertheless)
(가난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행복했다.)
⇒ 이건 아예 관용적으로 익혀두면 되겠다.
none the less는 nevertheless와 같은 말로 ‘그럼에도 불구하고’라는 뜻이다.
The more I hear about him, the less I like him.(~하면
할수록)
(그에 대해서 들으면 들을수록 점점 더 그가 싫어진다.)
⇒ 이건 많이 본 표현이다. the more~ the more
비교급, 비교급이다.
5.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honesty in our life.
= Hones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our
life.
= Hones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our life.
(우리 삶에서 정직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 이건 우리가 앞서서 원급을 이용한 최상급의 표현을 보았다. 이것도 똑같은 것이다. Nothing is so
important as라고 했는데 이걸 비교급으로 바꾼다면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이렇게 되겠다. 그래서 이걸
고쳐보면 앞서 본대로 마지막 무장처럼 Hones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 이렇게 되는데 두 번째 문장처럼
Honest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 이런 표현도 가능하겠다. 우리인생에서 anything
else 그 밖의 어떤 것보다 more important 더 중요하다. 그렇게 하면 역시 최상급 적 의미가 되겠다. 다만 첫 문장과 두 번째
문장이 차이가 있다면 첫 번째 것은 부정으로 최상급을 나타냈고 물론 비교급이지만, 두 번째 문장은 긍정으로 최상급의 의미를 나타냈다는 차이가
있다.
6. 비교급을 이용한 관용구
관용적인 표현들이 많다. 하나하나, 대체로 전부 예외적인
경우들이니까 잘 기억을 해야겠다.
More than three persons were against him. (~이상의)
(세
명이상의 사람이 그를 반대했다.)
⇒ more than ~ 이상의. 이건 문장 자체로 보아도 쉽게 이해될 뜻인데 실제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표현이다. more than 5years 5년 이상, 5년 넘게. 다만 우리말로 직역을 해놓으면 굉장히, 우린 ‘이상’이라는 말을
일상에서 쉽게 쓰지 않는다. 그래서 조금 번역해 놓으면 이상하지만 영어문장에서는 굉장히 많이 보는 표현이다.
He thought that women were no more than
commodities.(=only)
(그는 여자를 단지 상품으로만 생각했다.)
cf. nothing more than, little
more than
⇒ 이것도 no more than을 붙여서, 관용적으로 외워두어야 한다, only 겨우라는 뜻이다. nothing
more than, little more than도 no자리에 부정의 의미를 가진 nothing이나 little을 써도 뜻은 그대로 같다.
She spent not more than 1,000 dollars.(=at most)
(그녀는
많아야 1,000달러 정도만 썼다.)
⇒ 다만 조심해야 될 것은 위에는 no more than인데 여기서는 not more than이다.
no more than은 관용적인 표현으로 only라는 뜻으로 익혀두면 된다. 하지만 not more than은 그 정도로 익혀둘 필요는 없고
사실은 이건 관용적이라기보다는 그냥 more than이라는 비교급을 not로 부정했다고 보면 된다. 즉, 그녀는 1,000달러보다 많은 돈을
쓰지 않았다. 1,000달러보다 많지 않은 돈을 썼다니까 많아봤자, 괄호 속의 at most의 표현이 되는 것이다. 즉 이 경우에는
1,000달러라는 돈을 많다고 생각지 않는 것이다. 많아봤자 1,000달라니까.
He could no more write without tobacco than without
air.
=He could not write without tobacco any more than without air.
(공기 없이
글을 쓸 수 없는 것처럼 그는 담배 없이는 글을 쓸 수 없었다.)
⇒ 이 표현은 굉장히 어려운 표현인데 no more ~ than 이렇게
되어있다. 이것은 조심해야 될 것이 than 이하의 without air뒤에 많은 것이 생략되어있다. 특히 조심해야 될 것이 than이하에
부정이 있다는 점이다. 우리가 해석을 할 때 부정으로 해석해야한다는 그 점을 조심해야한다. 해석되어있는 것을 보면, 공기 없이 글을 쓸 수 없는
것처럼 그는 담배 없이는 글을 쓸 수 없었다. 예문치곤 별로 좋지 않지만 아무튼 without air 공기 없이 글을 쓰지 못 한다고 번역이
되어있다. 그런 것처럼 could no more write without tobacco 이런 식의 표현이 나왔다는 것이다. 그래서 than이하를
부정문으로 해석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되겠고 또 no more than이 붙어있지 않고 no more 중간에 다른 말이 들어가고 than이
떨어져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바꾸어 쓴다면 He could not해서 no를 not로 바꾸고 뒤의 나머지를 다 바꿔서 any more
than. 이런 식으로 해서 He could not write without tobacco any more than without air.
문장이 복잡해졌다. 몇 번씩 반복해서 외워두는 것이 좋겠다.
No fewer than 200 persons were killed. (=as many
as)
(200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살해되었다.)
⇒ no fewer than 앞서도 얘기했지만 비교급 앞에 not이 나오면 별로
걱정을 안 해도 되지만 여기서처럼 no가 나오면 조심해야한다. no fewer than이라면 이건 as many as라는 말이다. 대체로 no
비교급 than하면 아예 원급으로 바꾸어서 생각하면 편하다. 왜냐면 이건 직역을 해서 우리말로 옮기기 힘들기 때문이다. ‘~만큼 되는‘ 이런
뜻이다. 다만 기억해야 될 것은 few라는 말이 없다, 적다라는 의미이니까 이것의 반대의미의 원급으로, 그러니까 few의 반대말은 many가
되겠다. no less than에서 less의 반대말은 much가 되니까 much as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그래서 no fewer
than하면 as many as가 되고 no less than하면 as much as가 되겠다. 그래서 No fewer than 200
persons하면 200명이나 되는, 200명 만큼이나 되는 사람들이.
It cost him no less than his whole fortune. (=as much
as)
(그것은 그의 전 재산이 들었다.)
cf. nothing less than
⇒ no less than은 as much
as ~나 되는, ~ 만큼 많은. nothing less than도 no와 같은 nothing을 썼으니까 거의 같은 뜻이
되겠다.
He was no less a person than the President. (다름
아닌)
(그는 다름 아닌 대통령이었다.)
⇒ 여기처럼 no less than이 거의 같은 구문이지만 앞에서도 얘기했듯이 항상 그
중간이 떨어져 있느냐 붙어있느냐가 중요하겠다. 구분을 잘 해야겠다. He was no less a person than the
President.하면 다른 person이 아닌 바로 president였다는 뜻이다. 쉽게 다르게 바꾸면 He was a person no
other than the president.
They were no better than beasts. (~이나 다름없는)
(그들은 짐승이나
다름없었다.)
cf. little better than
⇒ no better than도 little better than과 거의 같은
뜻이겠다.
After this, he will walk no more. (=not...any
more)
(이후로 그는 더 이상 걷지 않을 것이다.)
⇒ no 비교급. 이것도 많이 본 표현이다. ‘더 이상 ~하지 않다.‘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겠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no를 not any로 바꿔서, 앞에서도 보았던 것이다. no는 항상 not any로 바꿔질 수
있다. 다만, 조심해야 될 것은 no를 not any로 바꾸면 not과 any가 붙어있지 않고 여기서처럼 항상 떨어져야한다.
My friend is no longer alive. (=not...any longer)
(내
친구는 더 이상 살아 있지 않다.)
⇒ no longer도 not any longer로 바꿔진다. My friend is no longer
alive.같으면 My friend is not alive any longer. 이런 식으로 바꾸어 쓸 수 있을
것이다.
More often than not this kind of patient recovers.
(=generally)
(이런 환자는 대개 회복된다.)
⇒ More often than not 대개 라는
뜻이다.
She seemed more or less familiar with the subject.
(다소나마)
(그녀는 다소나마 그 주제에 익숙해진 것 같았다.)
⇒ more or less 다소간,
다소나마
Thomson more or less believed that we were lying about it.
(대체로)
(톰슨은 대체로 우리가 그것에 관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믿었다.)
⇒ more or less 이건 비슷한 것 같지만 조금
다르다. ‘대체로‘라는 뜻으로 쓰인다.
You know better than to ask me such a question.
=You
are not so foolish as to ask me such a question.
(너는 내게 그런 질문을 할 정도로 어리석지
않다.)
⇒ know better than to 이것도 관용적으로 익혀두어야 한다. 직역을 하자면 ‘그런 질문을 묻는 것보다 너는 더 잘
알고 있다.’라는 말인데 그런 질문을 할 정도로 어리석지 않다. 그리고 다소간은 면박을 주는 투로 얘기하는 것이다. 그런 얘기는 하지 말았어야지
왜 그런 어리석은 말을 하나 이런 뉘앙스이다.
You had better not have done so.
(너는 그렇게 하지 않았던 게
낫다.)
⇒ had better하면 ~하는 게 더 낫다라는 관용적인 표현인데 조심해야 될 것은 had better를 거의 조동사쯤으로
생각을 해서 그 다음에 동사원형을 쓴다는 것이다. You had better have done so. 인데 조동사에 준하는 거니까 부정을 하려면
not를 그 다음에 붙여야겠다. 그래서 had better not have done so.가 되겠다. You'd better go. 가는 게
좋겠다. 반면에 가지 않는 게 좋겠다라고 한다면 You had better not go.가 되겠다. 여기에 to 부정사를 쓴다거나 하면 안
되겠다.
The better part of valor is discretion. (=The greater
part of)
(용기의 태반은 신중함이다.)
⇒ 용기라는 것이 함부로 나서서 뭐 하는 것이 아니고 참고, 곰곰이 생각하는 것이
용기다라는 말인데 속담이다. better part of는 the great part of이다. 용기의 대부분은 discretion
신중함이다.
P. 196
III. 최상급(Superlative
Degree)
1. 최상급
Tom is the tallest (boy) of all the
boys.
(톰은 모든 소년들 중에서 가장 키가 크다.)
Tom is the tallest (one) in his class.
(톰은 학급에서 가장 키가
크다.)
⇒ 최상급은 the하고 형용사 뒤에 -est를 붙인다. 다만 기억할 것은 그 뒤에 전체를 나타내는 범위, 단위, 범주를 뭘
쓰느냐하는 것인데 여기서처럼 of all the boys처럼 of all을 쓰기도하고 아래의 in his class처럼 in을 쓰기도
한다.
The richest man in the world cannot buy
everything.
=Even the richest...
(아무리 부자라도 모든 것을 살 수는 없다.)
⇒ 이 문장은 아예
even이라는 말로 바꿔 쓸 만큼 뜻이 바뀐다. Even the richest man~ 과 같은 것이다. 아무리 부자라도~ 그러니까 even이
없이도 그런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앞 뒤문장을 잘 봐서 해석을 해야겠다.
It was by far the greatest discovery in
history.(강조)
(그것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견이었다.)
cf. much, far, far and away
⇒ 여기도
마찬가지로 비교급에서도 우리가 강조의 표현을 보았는데 최상급에서도 by far 혹은 밑에 있듯이 much, far나 far and away등을
앞에 놓아서 최상급을 수식해줄 수 있다라는 것을 기억해주기 바란다.
2. The의 생략
최상급에서 우리는 항상 the를 쓴다고 알고 있다. 최상급 앞에 the를
써서 최상급을 나타내준다고 하는데 생략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Tom was happiest when he was young. (서술적
용법)
(톰은 어렸을 때 가장 행복했었다.)
⇒ 첫 번째 서술적 용법일 경우. 그래서 happiest라는 말이 뒤의 어떤 말을
수식하지 않는다. 서술적으로 쓰였다. 그래서 the happiest가 아니고 happiest이다.
This lake is deepest here. (동일물의 비교)
(이 호수는 여기가 가장
깊다.)
⇒ 이것도 서술적으로 쓰였는데 그 중에서도 동일물을 즉, lake의 여기와 여기를 즉, 다른 것과 비교하는 것이 아니고 그렇게
비교할 때는 이런 식으로 the를 쓰지 않을 수 있다.
cf. This lake is the deepest in our country.
(이 호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깊다.)
⇒ 이럴 때는 좀 경우가 다르다. 앞, 뒤에 the deepest one정도의 대명사가 생략되었다고 보고, 그런
경우에는 앞에 the를 써주어야 한다.
Most fame is fleeting (대부분의)
(명성이란 허망한 것이다.)
⇒
most는 a most, most, the most 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the most는 사실 큰 의미가 없다. 최상급 앞에
the를 붙여 써놓은 최상급으로 보면 되겠다. 그냥 most를 쓰면 여기서처럼 대부분의라는 뜻이다. most fame is fleeting.
명성이라는 것은 대체로 fleeting 덧없는 것이다.
It was a most beautiful morning. (=very)
(매우 아름다운
아침이었다.)
⇒ a most라고 하면 이것은 very의 뜻이다.
My daughter plays the piano best of all her
classmates.(부사의 최상급)
(내 딸은 학급 친구들 중에서 가장 피아노를 잘 친다.)
⇒ 부사로 쓰였을 때 이건 자기 동급생
급우들 중에서 가장 피아노를 가장 잘 친다. 부사의 최상급이다. 이럴 땐 역시 the best하지 않고 best를 쓴다.
P. 197
3. 최상급을 이용한 관용구
You're the last person I'd
want to talk to about this. (실현 불가능)
(이것에 관해서 너는 가장 얘기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다.)
⇒
너야말로 이 문제에 대해서 내가 이야기하고 싶은 the last person 마지막 사람이다. 그래서 너는 절대로 얘기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다.라는 뜻으로 쓰였다. 부정적인 의미이다. 물론 여기는 이렇게 예를 써 놓았지만 문장에 따라서는 경우가 달라질 수가 있다. 즉, 여기서
앞, 뒤 문장을 봐서 문자 그대로 마지막 사람이다, 마지막 ~이다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니까 이건 항상 이런 것이 아니고 문장에 따라
달라지니까 조심하기 바란다.
I must have slept at least twelve hours.(적어도)
(나는 적어도
12시간을 잤음에 틀림없다.)
⇒ at least 적어도.
I'm not in the least concerned about his betrayal.(=not
at all)
(나는 그의 배신에 대해서 조금도 걱정하지 않는다.)
⇒ not in the least 역시 관용적으로 not at
all 많이 들어본 표현이다. 절대로 ~가 아니다, 전혀 ~가 아니다. 라는 뜻이다.
Make the most/best of your
opportunities. (최대한으로 활용하다)
(너에게 주어진 기회를 최대한으로 활용하라.)
⇒ make the most of
혹은 make the best of 역시 ~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다라는 뜻이다.
He got the best/better of his enemy. (이기다)
(그는 적을
이겼다.)
⇒ get the best of 혹은 get the better of하면 ~를 이기다라는 뜻이다. 이런 것들이 최상급을 이용한
관용구가 된다.
이번 시간에도 본문의 양이 많아서 연습문제를 풀 시간이 없다. 해설과 정답이 꼼꼼히 있으니까, 이
연습문제도 다 시험문제에 포함시켰으니까 여러분들이 자습을 해주기 바란다.
양이 많지만 중요한 것들만 다 모아놨으니까 꼭 시험보기 전에
연습문제를 다 풀어주기 바란다.
이번 시간 여기서 마치겠다.
<제 18강 강의
끝>
? ? ? ? ? <2001년>
28. 밑줄 친 단어와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은?
He loves
his enemies, much more his friends.
①
still ②
less ③
any ④
as
<해설> ‘그는 적을 사랑하고 있다. 하물며 친구들이야 말할 나위 없다.’ 긍정문에서 ‘하물며~ 하다’라고 할 때는
much more나 still more를 사용하여 강조한다. 부정문일 때는 less를 사용하여 much less나 still less로
표현한다. 정답> ①
33. ( ) 속에 가장 적합한 전치사는?
The beautiful
lady is your senior ( ) five years.
①
by ②
with ③
of ④
to
<해설> ‘그 아름다운 부인은 당신보다 다섯 살 위이다. 비교의 표현에서 그 차이를 표현할 때는 전치사 by를 사용한다.
이때의 by는 ’정도, 비율‘을 나타내는 by라고 할 수 있다. cf. She is taller than he by five
centimeters. (그녀는 그보다 5센티미터 더 크다.) 정답> ①
<2000년도>
32. 다음 괄호에 공통으로 어울리는 단어는?
Once
approached, the Koreans are as friendly as ( ) people.
He
has gone, and will not be seen ( ) more.
①
no ②
ever ③
any ④
all
<해설> ‘일단 가까워지면 한국인들은 어느 민족 못지않게 친절하다.’ <as~as any>는 원급을 이용하여
최상급의 의미를 표현하는 관용적 용법. 비교 대상이 명사일 때는 여기처럼 any를 사용하고 동사일 때는 ever를 사용한다. 아래 문장은 not
~ any more구문이다. 정답> ③
<1999년도>
32. 두 문장이 같은 뜻이 되도록 할 때 괄호에 가장 적합한
말은?
The young man is five years senior to me.
= The young man is my senior
( ) five years.
①
by ②
with ③
only ④
of
<해설> 나이를 비교하는 비교급에서 ‘몇 살 더 많다’라고 할 때는 전치사 by를 사용한다. 정답>
①
33. 비교를 나타내는 관용구를 활용한 다음 문장에서 괄호에 가장 적합한 말은?
The
gentleman was as busy as a(n)
(
).
① bat ②
ant ③
bee ④
bird
<해설> ‘~ 만큼 부지런하다’라고 할 때는 as busy as a bee라는 관용구를 사용한다. 서양인들도 개미가
부지런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데, 구태여 벌을 이 경구에 사용하는 것은 아마도 busy와의 운율적 효과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정답>
③
<1998년도>
31. 다음 문장을 우리말로 가장 올바르게 옮긴 것은?
The
gentleman could not so much as spell his name.
① 그 신사는 자기 이름만 쓸 수 없었다.
② 그
신사는 자기 이름은 쓸 수 있었다.
③ 그 신사는 자기 이름조차 쓸 수 없었다.
④ 그 신사는 자기 이름은 물론 쓸 수
없었다.
정답> ③
32. 다음 괄호에 가장 어울리는 단어는?
She sat as far away from the
others as she could.
= She sat as far away from the others as
( ).
① could ②
possible ③ ever ④
any
정답> ②
<1997년도>
32. 밑줄 친 부분을 우리말로 가장 바르게 옮긴 것은?
At
that time he was penniless, so he was as good as a beggar.
① 거지만큼
착한 ②
거지만큼 사심 없는
③ 거지나
다름없는 ④ 거지처럼
공짜로
<해설> ‘그 때 그는 돈이 한 푼도 없어서 거지나 다름없었다.’ as good as는 좋다는 뜻이 아니고 ~와
다름없다는 뜻이므로 잘 구별해야 한다. 정답> ③
<1996년도>
28. 다음 괄호 속에 어울리는 관사는?
When young,
Mr. Kim was called ( ) Edison of Korea.
①
the ②
a ③
an ④ 필요 없음
<해설> 고유명사 앞에는
원칙적으로 관사를 쓰지 않으나 여기서는 ‘한국의 에디슨’이란 뜻의 보통명사로 전화되었으므로 an을 쓰는 것이 옳다. 정답> ③
29. 다음 중 밑줄 친 명사의 사용이 바르게 된 것은?
① Do you think the
end justifies the mean?
② They sell various whisky at that supermarket.
③
He gave me several piece of information on the exportation.
④ The village
fair comes around every five days.
<해설> ① the end: 목적, the means 수단, ②
various whiskies 여러 가지 종류의 위스키. 물질명사는 원칙적으로 복수형이 불가능하나 ‘종류’를 가리킬 때는 쓸 수 있다. ③
Several pieces of information 몇 가지 정보 every는 대게 단수 취급을 하나 이 경우는 복수형으로도 쓴다. every
five days 닷새에 한번. 정답> ④
31. 밑줄 친 말과 바꾸어 쓸 수 있는 것은?
No fewer than 200 persons
were killed in the car accident.
① As little as ② As
many as ③ As much
as ④ As few as
<해설> no 비교급 than은 반대 의미의
원급으로 바꾸어 해석하면 뜻이 쉽게 통한다. 따라서 no fewer than은 as many as ~만큼이나 많은의 뜻이다.
정답> ②
<1995년도>
30. 다음 괄호 속에 가장 알맞은 말은?
His car was
running at the highest speed ( ).
①
ever ② imaginary ③
expectable ④ possible
<해설> <그의 자동차는 가능한 한 가장 빠른 속도로 달리기
시작하였다.> at the highest speed possible 가능한 한 가장 빠른 속도로. 이 경우의 possible은
imaginable로 바꾸어 쓸 수도 있다. 정답> ④
33. 밑줄 친 부분을 우리말로 가장 잘 옮긴 것은?
At that time he was
penniless, so he was as good as a beggar.
① 거지처럼
정직한 ② 거지나 다름없는 ③
거지처럼 겸손한 ④ 거지처럼 구걸하는
<해설> ‘그 때 그는
돈이 한 푼도 없어서 거지나 다름없었다.’ as good as는 ‘...처럼 좋은’ 이 아니라 ‘...나 다름없는’으 뜻이므로
조심해야한다. 정답> 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