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종부터 수확까지의 사진입니다 파종기는 한국산 황금파종기이고 인력과 기계를 병행했습니다? 봄4월15일경부터 파종해서75일훕.터 수확했구요 재배면적은 45헥타 수확량은 16톤정도입니다 이 작형은 우기 수확이라는 취약점이 있습니다 대규모 재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가장 노동력을 요구하는것이 단을 묶는일입니다 예전의 벼수확 바인더가 있으나 이것도 10헥타정도의면적에나 가능합니다 여기는 거의다 중고기계이다 보니 고장에 고치고 를 반복하지요 베는것은 예초기에 갈퀴를 제작해서 부착하면 한쪽으로 가지런히 눕힐수 있지요 예초기날은 일제 40날 원형 톱날이 좋구요 없으면 중국제라도 써야지요 앞으로 해결해야할 문제는 수확의 기계화입니다 베고 단묶는 작업을 동시에 하루5헥타정도 작업가능한 기계가 필요하지요 수확작업을 건기에 할수 있는 작형 개발이 필요하고 품종도다수확 백색품종도 생각중입니다
@woojt100 일당은 얼마나 주나요? 그리고 일할사람들은 쉽게 구할수 있나요?
@허수아비비비 일다은4불 일주일마자 지급하고요
아직은 쉽게 구 합니다
@woojt100 킬로2600원..일당5200원.....한국으로수출할수있나요
저도 예전에 참깨 재배한적 있습니다. 어떤 종자를 사용하셧는지 궁금하군요 ^^
캄보디아 종자입니다
옅은 갈색이구요
한국 참깨도 해볼작정입니다
캄보디아 종자로 350kg 하셨으면 잘 하신것 입니다. 소립종에 탈립이 심해서 수확 후 들판이 참깨싹이 콩나물 시루처럼 파릇파릇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들판에 길바닥에 떨어진것 합치면 2,3톤은 될듯하네요
건기 참깨와 우기 참깨 가격차이가 심합니다, 건기 재배 고려해 보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수분 공급이 문제입니다만 관정 하나면 45헥타 돌리는것은 일도 아닐것같은데요^^
건기 농사를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관정보다는 농장가운데 마르지 않는 하천을 이용하려 합니다
@woojt100 우기에 마르지않는 하천 건기 들어서면 건천으로 변활 확률 높습니다, 지역에 오래 거주한 원주민에게 그 하천의 건기 수위를 확인 해 두는것이 좋을것 같군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어느 지역 농사
잘 보았습니다..^^
멋지네요... 잘 봤습니다...^^
16톤,,, 음, 잘보고 감니다.
좋은 정보 감사..^^*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캄보디아 참깨 제가 아는 지인도 꼭 사들고 갑니다...ㅎㅎ
성공하시고 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보기 좋습니다..^^
잘 보았습니다..^^
좋은 글과 자료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감동입니다..한국농업개발공사와 함께하면 위험도없고 좋은 사업이 됩니다!!
깨를 대량재배하면 분명답이나옵니다!!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