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2회 일반포교사 자격고시 제1교시 문제
1. 사찰의 의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
① 사찰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닦는 수행처이자 전법(傳法) 도량이다.
② 사찰은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라기보다는 개인의 해탈을 강조하는 곳이다.
③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며 어리석은 마음을 깨우고 참된 삶의 길을 배우는 곳이다.
④ 부처님께 예경과 헌공을 올리며 중생의 고난과 아픔을 씻고 행복을 성취하는 곳이다.
2. 사찰의 전각은 안에 모셔진 불상에 따라 그 이름이 다르다.
다음 중 건물과 모셔진 부처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4
① 대웅전(大雄殿)은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신 법당으로 절의 중심이 되는 건물인데,
법력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집이라는 뜻이다.
② 적멸보궁(寂滅寶宮)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고 불단만 있는데
이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 있으므로 형상을 따로 모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③ 대적광전(大寂光殿)의 본존은 비로자나불로서 연화장 세계의 교주이시며,
연화장 세계는 진리의 빛이 가득한 대적정의 세계이므로 대적광전이라 부른다.
④ 원통전(圓通殿)은 극락세계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이며, 아미타불은 수행이 한량없기에
무량수전이라고도 하고 미타전이라고도 한다.
3. 법당 안은 상단, 중단, 하단의 삼단 구조로 되어 있는데, 각 단에 모셔진 분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4
① 상단 - 위패,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부처님과 보살상
② 상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중단 - 부처님과 보살상, 하단 - 위패
③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위패, 하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④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위패
4. 불교의식에 쓰이는 불전사물(佛殿四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① 법고는 쇠가죽으로 만들며, 짐승세계의 중생들을 깨우치기 위하여 울린다.
② 운판은 대나무로 만들며, 공중에 날아다니는 중생의 영혼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③ 목어는 나무로 만들어, 물에 사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④ 범종은 청동으로 만들며, 천상과 지옥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친다.
5. 인도 사회를 특징짓고 있는 계급제도인 사성계급(四姓階級) 중 제사와 같은 종교의례를 전문적으로 맡은계급은? 1
① 바라문 계급 ② 크샤트리아 계급 ③ 바이샤 계급 ④ 수드라 계급
6. 부처님이 탄생할 무렵 인도의 시대적 상황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4
① 농업 생산이 늘어나고 인구가 집중되면서 곳곳에 도시가 발달하기 시작했다.
② 정치적으로 군소부족이 통합되어 강대한 국가 체제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③ 경제적으로 상업과 수공업이 활발해져 자본가들도 새로운 실력자가 되었다.
④ 기존의 사회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베다를 받드는 바라문교가 출현하였다.
7. 부처님이 탄생할 당시 새롭게 등장한 사상가들인 사문(sramana, 沙門)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3
① 처음부터 출가하여 유행생활을 하였다.
② 베다(veda)라는 성전의 권위를 부정하였다.
③ 만물이 브라만 신으로부터 나왔다고 주장하였다.
④ 만물과 인간은 실재하는 요소로 구성된다고 주장하였다.
8.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에 대한 우화나 설화를 기록한 경전은? 2
① 화엄경(華嚴經) ② 본생경(本生經) ③ 아미타경(阿彌陀經) ④ 금강경(金剛經)
9. 다음중 설명이 틀린 것은? 4
① 부처님의 아버지는 숫도다나 왕(정반왕)이다.
② 석가모니란 사까족 출신의 성인이란 뜻이다.
③ 싯닷타란 모든 것을 이룬다라는 의미이다.
④ 어린 시절 태자를 양육시킨 사람은 야쇼다라이다.
10.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모이신 마야 왕비의 태몽에 등장한 불교의 대표적인 상징 동물은? 2
① 용 ② 코끼리 ③ 사자 ④ 호랑이
11. 천상천하 유아독존(天上天下 唯我獨尊)이라는 부처님 탄생게의 의미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3
① 오직 나만이 존귀하기 때문에 공경하여 받들어야 한다.
②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 초월적은 신의 자리에 도달했다.
③ 불성을 지닌 모든 인간과 생명은 그 자체로 모두 존귀하다.
④ 나는 부처로서 이 세상을 다스리러 온 유일한 존재이다.
12. 2600여년 전, 히말라야 기슭의 까삘라국 사까족의 왕자로 태어난 석가모니 부처님의 탄생지는? 1
① 룸비니 동산 ② 녹야원 ③ 꾸시나라 ④ 붓다가야
13. 불교교단에서 최초의 비구와 비구니가 바르게 연결된 것은? 4
① 박가와 - 케마 왕비
② 알라라 깔라마 - 야소다라
③ 웃다카라마뿟다 - 야사의 어머니
④ 안냐따꼰단냐(아약교진여) - 마하빠자빠띠
14. 사성제(四聖諦) 실천구조는 의사가 환자의 병을 치료하는 원리에 비유할 수 있다.
그 이유가 올바르지 않는 것은? 4
① 고 - 앓고 있는 병의 증상
② 집 - 발병의 원인
③ 멸 - 병이 완치된 건강한 상태
④ 도 - 목숨이 끊어진 상태
15. 싯닷타 태자의 6년 고행 후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2
① 길고도 혹독한 고행에 대한 회의를 품게 되었다.
② 신비하고도 초인간적인 힘을 가지게 된 것에 만족하였다.
③ 고행을 통해서는 진정한 열반에 이를 수 없음을 깨달았다.
④ 깨달음에 도움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고행을 포기하였다.
16. 네란자라 강가에서 고행자 싯닷타 태자에게 우유죽을 공양한 사람은? 3
① 빔비사라왕 ② 급고독장자
③ 수자따 여인 ④ 대장장이 쭌다
17. 싯닷타 태자가 깨달음을 이루기 직전 택한 새로운 수행법으로 옳은 것은? 4
① 중도의 수행
② 고행 위주의 수행
③ 쾌락 위주의 수행
④ 선정 위주의 수행
18. 부처님의 전도선언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① 많은 사람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길을 떠나라.
② 혼자 가지 말고 두 사람이 같은 길을 가라.
③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은 법을 설하라.
④ 원만하고 완전하며 청정한 행동을 보여주어라.
19. 부처님 당시에 최초로 삼보에 귀의한 재가신자는? 4
① 유마거사 ② 빔비사라왕 ③ 수닷타 장자 ④ 야사의 부모
20. 마가다국의 빔비사라왕이 자신의 마을 벨루바나 동산을 기증하여 지은 인도 최초의 사찰은? 1
① 죽림정사 ② 기원정사 ③ 동원정사 ④ 소림정사
21. 부처님의 제자님인 사리뿟따와 마하목갈라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① 당시 회의론인 산자야의 제자 250명을 데리고 집단으로 개종했다.
② 부처님은 두 사람을 중생들의 부모와 같은 존재라고 칭찬하였다.
③ 두 사람 모두 부처님보다 앞서 열반하였다.
④ 후세에 부처님의 가르침과 계율을 모으는 결집을 주도하였다.
22. 부처님의 십대 제자들에 대한 특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2
① 마하깟사빠 - 지계제일 ② 부루나 - 설법제일
③ 사리뿟다 - 신통제일 ④ 마하목갈라나 - 지혜제일
23. 다음은 <장로게경>에 나오는 게송이다.
여기서 나는 누구인가? 1
불국토가 있는 한, 대모니를 제외하고, 두타의 덕이라는 점에서 나보다 우수하고
나와 대응할 자는 없다.
① 마하깟사빠 ② 사리뿟다
③ 마하목갈라나 ④ 라훌라
24. 아무리 극악한 죄인이라 할지라도 누구나 부처의 성품을 지니고 있는 귀한 목숨이라는 사실을 입증해 준 사례의 경전 속 인물은? 3
① 급고독장자 ② 니디 (니이다이)
③ 앙굴리마라 ④ 쭐라판타카
25. 다음 말씀은 부처님께서 언제 설하신 것인가? 4
이 세상에서 스스로를 섬(등불)으로 삼고 스스로를 의지하라.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라.
법을 섬(등불)으로 삼고 법에 의지하되 다른 것에 의지하지 말라.
① 탄생하셨을 때 ② 성도하셨을 때
③ 처음 설법하실 때 ④ 열반에 드실 때
26.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 장면으로 나눈 팔상성도의 내용이다.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1
㉠ 비람강생상 ㉡ 설산수도상 ㉢ 녹원전법상 ㉣ 유성출가상
㉤ 수하항마상 ㉥ 사문유관상 ㉦ 도솔래의상 ㉧ 쌍림열반상
① ㉦-㉠-㉥-㉣-㉡-㉤-㉢-㉧
② ㉦-㉠-㉣-㉥-㉢-㉡-㉤-㉧
③ ㉠-㉦-㉥-㉣-㉤-㉡-㉢-㉧
④ ㉠-㉦-㉣-㉥-㉡-㉢-㉤-㉧
27. 부처님의 특징적인 모습을 일컫는 말로 바르게 묶어진 것은? 3
① 32상 40종호 ② 38상 40종호
③ 32상 80종호 ④ 38상 40종호
28. 도솔천에 보살로 머물고 계시면서 석가모니 다음의 미래에 오실 부처님은? 2
① 구나함모니불 ② 미륵불
③ 가섭불 ④ 비사부불
29. 다음 인물 중 부처님의 친족이며 부처님의 십대제자 중 다문제일로 열반을 직접 목도한 인물은? 1
① 아난다 ② 수보리
③ 라훌라 ④ 데와닷따
30. 부처님꼐서 열반에 드시기 전 1년 전, 라자가하에 머무는 비구들에게 승가가 파멸하지 않는 일곱가지 법을 설하셨다. 거리가 먼 것은? 4
① 자주 회의를 열며, 회의에는 많은 사람들이 참석한다.
② 부모에게 효도하고 스승과 어른을 공경하고 순종한다.
③ 앞 사람이 정한 규칙과 법률을 깨뜯리지 않고 중시한다.
④ 남을 앞세우고 자신은 뒤로 물러서며 명예와 이익을 탐한다.
31. 흔히 부처님을 '여래'라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
① 여래란 tatha+agata로 진리의 세계로부터 오신 분이라는 뜻이다.
② 여래란 tatha+agata로 진리의 세계로 가신 분이라는 뜻이다.
③ 성도 후 부처님을 지칭한 말이다.
④ 경전에서 부처님은 항상 '나(aham)'라는 용어 대신에 여래라는 단어만 사용하였다.
32. 다음은 초기경전에 나오는 부처님의 감동적인 말씀이다.
이 말씀에 대한 설명 중 적절치 않는 것은? 2
"제자들이여 그대들은 심지어 여래인 나까지도 잘 관찰하여 여래가 참으로 완전한 깨달음을 성취했는지 성취하지 못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① 개개인의 노력과 자각이 중요하다.
② 부처님의 깨달음은 완전하지 못하다.
③ 불교는 권위주의를 거부한다.
④ 불교는 교조주의를 배척한다.
33. 다음 중 칠불통계게가 아닌 것은? 4
① 제악막작
② 자정기의
③ 시제불교
④ 무주상보시
34. 다음 이 설명하는 내용은 부처님의 생애 중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가? 2
"내 이제 감로의 문을 여나니 귀 있는 자는 들어라! 낡은 믿음을 버리고!
① 비람강생상 ② 녹원전법상 ③ 수하항마상 ④ 유성출가상
35. 부처님의 주요 생애를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4
① 싯닷타 태자가 태어난 날은 기원전 624년, 음력 4월 8일이다.
② 싯닷타 태자가 출가한 날은 29세 되던 해, 음력 2월 8일이다.
③ 깨달음을 이루신 날은 35세 되던 해, 음력 12월 8일이다.
④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날은 80세 되던 해, 음력 7월 15일이다.
36. 불상의 착의법(着衣法) 가운데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며 법의(法衣)를 입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 편단우견 또는 우견편단 )
37. 다음은 부처님께서 입적하신 후 칠엽굴에서 있었던 제1결집의 광경을 설명한 것이다.
빈 칸에 들어갈 단어를 순서대로 쓰시오.
마하갓사빠가 한쪽 법상에 올라가 앉았다.
"대중 여러분,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법과 율, 이 두가지 가운데 무엇을 결집하겠습니까?"
( ㉠ )은 교단의 생명입니다. 이것이 있어야 교단이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먼저 결집해주십시오."
- 중략 -
법상에 오른 ( ㉡ )는 마하갓사빠의 질문에 따라 이것을 암송하였다.
㉠ ( 계율 )
㉡ ( 우바리 또는 우파리 )
38. 인도에서는 3개월에서 4개월 동안 비가 지속되는 우기에 불교도가 외출할 때 자신도 모르게
초목이나 작은 벌레를 밟아 죽여 금지된 살생을 범하게 되고 또한 행걸(行乞)에도 적합치가 않아
한곳에 정착해 생활하며 외출과 유행을 삼가고 수행에 전념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러한 제도를 일컫는 말을 쓰시오. ( 안거 )
39. 초전법륜에서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네가지 성스런 진리라 일컬어지는 가르침을 각각 쓰시오.
( 고.집.멸.도 또는 고성제 집성제 멸성제 도성제 )
40. 불교의 경전의 복잡한 내용을 심오한 가르침을 알기 쉽게 그림으로 변환시켜 사람들에게 감화를 주기 위해 그린 불화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 변상도 )
제22회 일반포교사 자격고시 제2교시 문제
1. 불교의 특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4
① 고통의 직시
② 나를 찾는 길
③ 진리의 중요성
④ 무조건 믿음
2. 삼독을 다스리는 수행과 신앙생활관계를 바르게 짝지은 것은? 4
① 탐욕 - 선정
② 성냄 - 계율
③ 갈애 - 지혜
④ 어리석음 - 지혜
3. 오계 중 옛날 자비심이 지극한 왕이 매에게 쫓겨 온 비둘기를 숨기고 대신 자신의 살점을 떼어 준 우화와 관련있는 신도계는 무엇인가? 1
① 살생하지 말라
② 주지 않는 남의 물건을 훔치지 말라
③ 사음하지 말라
④ 거짓말을 하지 말라
4. 아래 내용과 관련 있는 수행공부는? 3
사람은 언제나 자신을 낮추고 남을 높이는 마음으로 살아야 한다.
수행하는 사람일수록 더더욱 그렇다.
불교에서 말하는 무아, 무상, 연기, 공은 지혜를 일컫는데 모두 이것과 관련된다.
나를 낮추고 남을 공경하는 마음공부가 제일이다.
① 참회심 ② 회향심 ③ 하심 ④ 초발심
5. 석가모니 부처님 생애 가운데 석가모니 부처님 가계도의 내용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2
① 아버지 - 숫도다나(정반왕)
② 어머니 - 대에도 고타미
③ 아내 - 야소다라
④ 아들 - 라훌라
6. 싯다르타는 출가 이전 동서남북의 사문을 살펴 인생의 고통과 수행모습에 대해 알게 되었다.
이 사문유관과 관련하여 사람과 사방에 맞게 짝지어진 것은? 2
① 동쪽 - 시체
② 남쪽 - 병든 이
③ 서쪽 - 수행사문
④ 북쪽 - 늙은 이
7. 다음의 부처님 말씀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은? 3
"비구들이여, 나는 신과 인간의 굴레에서 해방되었다.
그대들 역시 신과 인간의 굴레에서 해방되었다.
이제 법을 전하러 길을 떠나라.
많은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
많은 사람들의 행복을 위해,
세상을 불쌍히 여겨 길을 떠나라.
마을에서 마을로,두 사람이 같은 길을 가지 말고 혼자서 가라.
비구들이여,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끝도 좋은 법,
조리와 표현이 잘 갖추어진 법을 설하라.
원만하고 완전하며 청정한 행동을 보여주라.
세상에는 때가 덜 묻은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법을 듣지 못하면 퇴보하겠지만 들으면 분명 진리를 깨달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나도 법을 전하러 우루웰라의 세나니마을로 갈 것이다."
① 초전법륜 ② 마지막 유훈 ③ 전도선언 ④ 중도선언
8. 진리를 깨우치는 데는 머리의 좋고 나쁨이 중요하지 않으며, 진리를 받아들이는 마음과 실천수행의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려주는 교화 이야기와 관련된 존자는? 2
① 아난다 ② 쭐라빤타카 ③ 라훌라 ④ 니디(니이디이)
9. 여래십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3
① 응공 : 아라한과 같은 말로써 존경받고 공양받을 자격이 있는 이라는 뜻
② 정변지 : 음역으로는 삼먁삼불타라 하며 바르고 완전하게 깨친 분이라는 뜻
③ 명행족 : 삼명과 삼업을 원만히 다 갖추신 분이라는 뜻
④ 세간해 : 세간의 바다처럼 모든 것을 다 받아들이는 분이라는 뜻
10. 교리내용의 요소가 잘못된 것은? 1
① 18계 - 안이비설신의, 색성향미촉법,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말라식
② 삼법인 -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
③ 사성제 - 고집멸도
④ 정견, 정사유, 정어, 정업, 정명, 정정진, 정념, 정정
11. 다음은 무엇과 관련된 교설인가? 2
출가 수행자는 두 가지 극단을 피하여야 한다.
이것은 통찰력을 주며, 지혜를 주며, 평화를 주며, 깨달음을 이끌고, 열반으로 이끈다.
① 연기법 ② 중도 ③ 사성제 ④ 인과의 법칙
12. 삼선도와 삼악도를 맞게 짝지어진 것은?3
① 삼선도 - 지옥, 아귀, 축생 ; 삼악도 - 천상, 인간, 아수라
② 삼선도 - 천상, 인간, 축생 ; 삼악도 - 지옥, 아귀, 아수라
③ 삼선도 - 천상, 인간, 아수라 ; 삼악도 - 지옥, 아귀, 축생
④ 삼선도 - 지옥, 아귀, 아수라 ; 삼악도 - 천상, 인간, 축생
13. 부처님 입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제1결집을 개최하여 교단 분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결집한 내용이 맞는 것은?3
① 경만 결집하였다.
② 율만 결집하였다.
③ 경과 율만 결집하였다.
④ 경율론 모두 결집하였다.
14. 법의 실체는 삼세에 걸쳐서 순간순간 실유한다. 그러나 순간순간 실유하지만 동시에 무상한 모습을 띠고 있다. 이 삼세실유(三世實有), 법체향유(法體恒有)를 주장한 불교시대의 이름은?1
① 부파불교 ② 초기불교 ③ 대승불교 ④ 선불교
15. 21세기 중엽 까니쉬까(kaniska)왕 시대의 시인 아쉬바고사(馬鳴)가 지은 것으로 도솔천에서 하강한 이래 입멸하기까지의 부처님의 전 생애를 묘사한 아름다운 시로 구성된 경전의 이름은?4
① 자타카(본생경) ② 구사론 ③ 대반열반경 ④ 불소행찬
16. 보살사상, 반야바라밀, 공사상, 유식사상과 관련된 불교시대는?2
① 부파불교 ② 대승불교 ③ 초기불교 ④ 후기밀교
17. 경전에 나타난 정토세계의 이름이 맞지 않는 것은? 4
① 아미타불의 서방정토
② 미륵보살의 도솔천정토
③ 약사여래의 유리광정토
④ 대일여래의 동방정토
18. 대승보살의 삶과 관련된 내용에 맞지 않는 것은? 3
① 보살의 서원은 사홍서원인 본원과 아미타 48원 등 별원이 있다.
② 관세음보살은 중생들을 고통으로부터 지켜주는 대자대비의 보살이다.
③ 지장보살은 석가모니의 보처로 왼편에 모셔져 있고 지혜를 상징하며 칼과 청련화를 들고 있다.
④ 보현보살은 모든 부처님을 예경과 여래찬양 등의 십대원의 발원자이다.
19. 대승경전의 내용과 맞지 않는 것은? 2
① 대승경전 중 가장 오래된 것은 반야경 계통의 경전이다.
② 모든 중생들이 병에 걸려 있으며, 중생이 나으면 내 병도 나을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경전은 무량수경이다.
③ 일불성, 구원실성, 불탑신앙과 경전신앙, 상불경보살 이야기는 법화경의 내용이다.
④ 선재동자가 53선지식을 찾아다니며 설법을 듣고 미륵불을 만나 법계를 증득한다는 내용은 화엄경 입법계품의 내용이다.
20. 각 전각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4
① 미래의 부처님을 모신 전각을 자씨전이라고 한다.
② 팔상도를 봉안한 곳을 팔상전이라 하며, 법주사의 팔상전이 유명하다.
③ 아라한과를 성취한 성자들인 나한을 모신 곳을 응진전이라고도 한다.
④ 중생의 병고를 치유해 주는 부처님을 모신 법당을 영산전이라고 한다.
21. 불탑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3
① 탑은 산스크리트어로 스뚜빠 또는 빨리어로 뚜빠라고 한다.
② 불탑의 기원은 부처님 입멸 당시의 경전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③ 우리나라에서의 목탑, 중국에서의 석탑, 일본에서의 전탑이 발달했다.
④ 여덟나라의 국왕들이 부처님의 사리를 8등분해 자신들의 나라로 가지고 가서 탑을 세웠다.
22. 관세음보살에 대한 설명과 관련이 없는 것을 선택하시오. 2
①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이다.
② 명부전에 봉안된다.
③ 손에는 연꽃이나 정병(淨甁)을 들고 있다.
④ 11면 또는 천수천안의 모습도 있다.
23. 불상의수인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을 선택하시오. 4
①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은 석가모니불의 깨달음을 상징한다.
② 선정인(禪定印)은 수행을 상징한다.
③ 전법륜인(轉法輪印)은 석가여래의 첫 설법을 상징한다.
④ 시무외인(施無畏印)은 중생이 원하는 바를 상징한다.
24. 불단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
① 수미단이라고 한다.
② 넓은 의미로는 불교의식이 이루어지는 단을 통틀어 말한다.
③ 고대 인도에서 햇빛이나 비를 막기 위한 가리개에서 출발한다.
④ 영천의 백흥암 극락전 불단이 유명하다.
25. 존상과 불화가 잘못된 것은? 3
① 석가여래 - 영산회상도
② 아미타여래 - 극락회상도
③ 비로자나여래 - 관경변상도
④ 미륵여래 - 미륵하생경변상도
26. 사리장엄구와 관련 없는 설명은? 3
① 사리만 넣지 않고 겹겹으로 차림새를 갖추어 모신다.
② 믿음의 상징이자 신앙심의 표상이다.
③ 불상과 탑, 경전과 경문, 향을 비롯한 귀금속 등은 넣지 않는다.
④ 공예품으로 뛰어난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다.
27. 탱화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4
① 탱화는 비단이나 삼베에 불보살의 모습이나 경전 내용을 그려 벽에 걸 수 있게 만든 그림이다.
② 상단 탱화는 전각의 상단, 즉 불보살상의 뒷면에 거는 탱화이다.
③ 중단 탱화는 신중단에 모시는 탱화로서 주로 신중이나 호법신 등을 그린다.
④ 탱화는 사찰 전각의 벽에 그려 넣는 그림을 말한다.
28. 우리나라의 가람 배치에 관한 설명 가운데 틀린 것을 고르시오. 3
① 우리나라는 중국으로부터 불교가 전래됨에 따라 중국식의 건축양식과 가람 배치 방식을 따르게 되었다.
② 고구려의 가람 배치는 지금까지의 발굴 조사에 의하면 팔각탑을 중심으로 동.서.북면의 세 곳에 법당이
배치된 일탑상당식(一塔三堂式)의 가람 배치를 이루었다.
③ 통일신라시대에는 탑이 법당 앞에서 짝을 이루어 양쪽에 세워지는 이른바 쌍탑 가람이
생겨나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곳은 익산 미륵사 절터이다.
④ 백제와 신라에서는 고구려의 가람 배치와 달리 남북 일직선상의 앞쪽으로부터 중문.탑.금당(법당).강당
순으로 일탑일당식 가람 배치를 이루고 있다.
29. 보살상에 대한 설명 가운데 잘못된 것을 고르시오. 1
① 보살상은 불교와 불법을 호위하며 사천왕상처럼 무장한 모습을 하고 있다.
② 보살상은 깨달음을 얻었지만 아직 중생제도를 위해 부처님되기를 잠시 보류한 이를 표현한 것이다.
③ 보살상은 머리에는 화려한 보관을 쓰고, 몸에는 장신구와 하늘거리는 천의를 걸치고 있다.
④ 보살상의 종류에는 관음보살, 지장보살, 문수보살, 보현보살 등이 있다.
30. 석가여래의 전기를 여덟 장면으로 압축 묘사한 그림을 말하며, 도솔래의상(兜率來儀相) ->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 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 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 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으로 표현된다. 이 그림은? 4
① 영산회상도 ② 아타내영도 ③ 관경변상도 ④ 팔상도
31. 다음은 원효스님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3
① 정토신앙을 통해 불교를 대중화하였다.
② 현실의 고통을 불교의 내세신앙으로 연결시켜 위로하였다.
③ 당나라에 유학한 승려이다.
④ 불교의 각 종파간 대립을 화쟁하여 불교의 조화, 융합을 꾀하였다.
32. 고려시대 승려가 승속을 구별하지 않고, 남녀를 가리지 않고, 귀천의 차별없이 다같이 평등하게 잔치를 베풀어 물품을 나누어주던 법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2
① 팔관회 ② 무차대회 ③ 수륙재 ④ 연등회
33. 다음은 대한불교조계종 종헌에 규정된 수행기관이 아닌 것은? 2
① 율원 ② 명상원 ③ 선원 ④ 염불원
34. 대한불교조계종 종헌에 규정된 신도회 관련 조항이 아닌 것은? 4
① 중앙에는 포교원장 관할 하에 중앙신도회를 둔다.
② 사찰에는 당해 사찰의 신도회, 교구에는 교구신도회를 둔다.
③ 신도회와 각종 신도단체의 구성과 운영, 신도단체의 등록, 기타 사항은 이를 종법으로 정한다.
④ 신도는 종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신도단체를 구성하여 사찰, 교구, 종단에 단체등록을 할 수 있다.
35. 대한불교조계종은 소속 사찰 관리와 운영을 공영화하기 위해 사찰운영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사찰운영위원회와 관련된 내용 중 맞는 것은? 4
① 운영위원회의 구성은 소임을 맡은 승려로만 구성된다.
② 운영위원회의 위촉은 교구본사 주지가 한다.
③ 운영위원 중 신도는 타 사찰 소속 신도여도 상관이 없다.
④ 운영위원은 신행생활에 모범이 되어야 하며 사찰의 유지발전에 기여해야 한다.
36. 현 포교원장 지홍스님은 2016년 8월 기자회견 등을 통해 "한국불교의 신행풍토를 쇄신하기 위해" 이 운동을 강력히 추진하겠다고 선언하였다. 이 운동의 이름과 표어는 무엇인가?
( 신행혁신운동 - 붓다로 살자 )
37. 중국의 조사선을 대별하면 임제종의 ( )법, 조동종의 묵조선법, 법안종의 염불선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 선은 공안을 화두로 삼는 선이며, 대혜종고 선사가 체계화한 수행법으로 우리나라에 널리 실천되고 있으며, 조사선의 핵심을 가장 잘 간직하고 있다. 또한 대한불교조계종에서는 ( )을 핵심 수행법으로 삼고 있으며, 여타의 수행법을 섭수 통합하고 있는 선 이름을 무엇인가?
(간화선 )
38. 법당 밖에서 불교의식을 행할 때 걸어놓는 예배용 그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괘불
39. 이것은 부처님 당시부터 출가 수행자들이 공양할 때 쓰던 밥그릇으로 각자 자기가 먹을 수 있을 양에 따라 공양하는 그릇이라 하여 응량기(應量器)라고도 한다. 이것은 무엇인가?
발우
40. 대한불교조계종 종헌에 명시된 종지(宗旨)와 관련하여 아래 빈칸에 맞는 말을 채우시오.
제 2 조 본종은 석가세존의 자각각타 각행원만한(근본교리)를 봉체하며직지인심, 견성성불, (전법도생)함을 종지(宗旨)로 한다.
출처 :제행무상 원문보기▶ 글쓴이 : 고집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