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북한 방문 관광객들, 이제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얻는다 | ||
---|---|---|---|
작성일 | 2014-06-12 | 작성자 | 김화윤 |
국가 | 미국 | ||
무역관 | 로스앤젤레스무역관 | ||
북한 방문 관광객들, 이제 스마트폰으로 정보를 얻는다 - 스마트폰용 북한 관광정보 앱 출시, 구글맵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가능 - - 북한 당국, 외화벌이를 위해 앞으로 정보공개 확대할 것으로 전망 -
□ 외국인 관광객, 이젠 북한에서도 스마트폰 사용 가능
○ 북한 방문 관광객 증가에 따른 북한소개 애플리케이션(App) 출시 - CNN에 따르면 불과 10년 전만 해도 북한을 방문하는 서방 관광객은 연간 1,000명 미만이었으나 이제는 연 5,000~6,000명 선으로 증가하였으며 이 중 25%가 미국인으로 추정됨. - 이처럼 북한에 대한 서방 관광객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런던 기반의 웹사이트인 유니클리 트래블(Uniquely Travel)은 최근 북한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함. -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유명 식당, 술집, 김일성 관광객 등 북한 내 350개의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 - 이 애플리케이션은 북한의 역사, 문화, 예의, 관광, 가격비교 등 유용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는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NK News의 설립자이자 수석 에디터인 채드 오 캐럴(Chad O'Carroll)이 참여하여 북한에 대한 생생한 정보를 수록하고자 노력함. -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연결이 제한적인 북한 내에서는 오프라인 모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편리하며 미국인 관광객을 타깃으로 하여 미국식 영어로 제작됨. - 애플리케이션의 가격은 99센트이며 아이폰과 안드로이드폰 버전으로 각각 제작됨.
2014년 5월 7일 출시된 북한 관광정보 애플리케이션
자료원: Northkoreatravel.com
○ 북한 내에서 구글맵 이용한 네비게이션 서비스 이용 가능 - 북한 전문 웹사이트인 노스 코리아 테크(North Korea Tech)에 따르면 최근 구글맵에서 북한 내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시작함. - 즉 인공위성을 이용해 길을 찾아주고 거리와 이동시간을 알려주는 네비게이션 기능이 북한 지역에서도 이용 가능해짐. - 예를 들어 이용자들은 평양에서 개성으로 이동 시 구글 네비게이션 이용이 가능함. 그러나 대중교통수단이나 국경 인접지역, 북한에서 국경을 지나 이동하는 경우의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음. - 노스 코리아 테크는 2013년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이 방북한 후 북한이 구글측의 구글맵 관련 서비스 아이디어를 수용한 것이라고 언급함. - 그러나 북한 주민의 인터넷 사용은 엄격히 제한되어 있으므로 해당 서비스는 일부 특권계층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관광객의 이용도 제한적일 것으로 보임.
평양 김일성 광장에서 개성 판문점까지 표시한 구글맵 네비게이션 정보
자료원: Northkoreatech.org
○ 북한당국, 관광객의 구글글래스 촬영 허용 - CNN은 최근 2014년 4월 18일부터 21일까지 북한을 방문한 민간인이 구글글래스로 촬영한 사진과 동영상을 공개함. - 촬영대상은 평양거리, 판문점, 평양지하철역 등이었으며 해당 사용자는 북한 당국자들이 구글글래스가 촬영기능이 있음을 알아보고 작동방법과 기능을 문의하고 조작해본 후 촬영을 허용했다고 언급함.
케니주(Kenny Zhu) 시민기자가 구글글래스로 촬영한 사진
자료원: CNN
□ 시사점
○ 월스트리트저널은 북한이 달러와 같은 외환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으며 서방 관광객들을 외화확보수단으로 인식하면서 관광객 유치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보도함.
○ 실제로 북한은 2014년 4월, 관광업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하는 평양관광대학을 설립하는 등 외화벌이를 위한 수단으로 관광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 북한의 외국 관광객 휴대폰 규제완화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구글맵 네비게이션 허용도 북한의 관광객 유치 노력 일환으로 볼 수 있음.
○ 구글맵을 사용하지는 않더라도 잠재관광객들은 구글맵을 통해 북한 내 주요지역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며, 또한 촬영이 가능한 구글글래스 반입 허용도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북한의 개방적 자세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임.
○ 이러한 동향을 통해 미국 내 북한 전문가들은 북한 당국이 향후 관련정보공개와 규제완화에 긍정적인 입장을 견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자료원: Northkoreatravel.com, Northkoreatech.org, CNN, WSJ, 로스앤젤레스 무역관 자료 종합 |
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