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투자 파생/주식시황 김용구
시황저격 텔레그램: https://t.me/withSNIPER
[시황저격] 2020 KOSPI/KOSDAQ 사이즈 지수 리밸런싱 투자전략
https://bit.ly/30eRuls
* 오는 3월 선물옵션 동시만기일(12일) 종가 기준으로 KRX 대/중/소형 사이즈 지수 정기변경 작업이 실시.
KOSPI/KOSDAQ 사이즈 지수는 상장기업을 시가총액 순서에 따라 대/중/소형 3가지 형태로 분류하는 지수로서,
1) 대형주 지수는 양 BM 각각 시가총액 1위부터 100위까지를,
2) 중형주 지수는 KOSPI의 경운 시가총액 101위부터 300위까지를, KOSDAQ은 101위부터 400위까지를,
3) 그 이하부턴 각기 소형주 지수로 구분.
3월 초순께 있을 리밸런싱 대상종목 확정발표 수순을 고려할 경우, 통상 설 연휴 직후가 관련 패시브 이벤트를 겨냥한 사전포석격 종목대안 확보에 나설 적기
* 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KOSPI 사이즈 지수 정기변경 관련 과거 사례 분석에 따를 경우,
1) 시기적으론 정기변경일(D일) 직전 20 거래일 시점부터 유의미한 주가 및 수급 반향이 본격화됐고,
2) 이는 정기변경일을 넘어 이후(D+15 거래일) 시점까지 지속되며,
3) 대형주 지수 신규/변경 편입보단 소형주 → 중형주 지수 승격, 중형주 지수 신규, 대형주 → 중형주 지수 변경 등 KOSPI 중형주 지수 편입효과가 보다 우월했음이 확인.
KOSDAQ은 시장 대표성이 강한 KOSDAQ 대형주 지수 종목변경 영향이 여타 사이즈군 리밸런싱 성과를 압도
* 투자전략 견지에선 KOSPI 중형주 지수와 KOSDAQ 대형주 지수 정기변경과 관련한 액티브/패시브 펀드 측면 관심제고 여지에 주목할 필요.
각 지수 시총순위 상위군 내 실적 펀더멘탈(12개월 예상 영업이익 컨센서스)과 기관 수급 모멘텀(시총대비 기관 순매수 강도)을 가미해 그 효과를 배가시켜 본다면,
1) KOSPI 중형주 지수에선 (小 → 中)케이씨텍/아이마켓코리아, (中 신규)제이콘텐트리,
2) KOSDAQ 대형주 지수에선 (中 → 大)덕산네오룩스/서진시스템/NHN한국사이버결제 등이 3월 KOSPI/KOSDAQ 사이즈 지수 정기변경 관련 유의미한 이벤트 플레이 전략대안으로 기능할 것으로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