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시아 전기차 시장 성장의 장애요소는 인프라 부족과 높은가격 -
- 저가 초소형 전기차와 중고 전기차, 전기버스 시장 확대 중 -
□ 시장 개요
러시아 시장에서 이해되는 전기차는 가솔린 연료 엔진을 장착한 하이브리드 형과 연료 엔진이 없이 충전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임.동 보고서는 순수 전기를 연료(EV)로 하는 두 번째 유형의 전기차 시장을 다루는 뉴스임. |
ㅇ 러시아 전기차 시장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0.08% 비중이나 2025년까지 0.16%로 증가 전망
- Baden-Württemberg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는 1188억 달러이며 2025년까지 5672억 달러 달성 전망
- 2018년 말 기준 세계 전기차량은 560만 대이며 2040년까지 5억3000만 대로 급증 전망
- EV-Volumes(스웨덴)사에 따르면, 러시아 영토 내 전기차는 약 3000대 정도임.
세계 전기차 시장 국가별 점유율 및 성장 추이
자료: Baden-Württemberg—ZSW 수소연구센터(http://renen.ru/the-world-fleet-of-electric-vehicles-in-2018-grew-by-64-to-5-6-million/)
ㅇ 2018년 기준 러시아 전기차량 증가율은 전년대비 51.6% 증가
- 러시아 전기차량 수 증가율은 높은 편이나 2018년 동안 등록된 전기차량은 144대 정도
- 2018년에 등록된 전기차 중 76대는 Nissan Leaf 모델로 중소형 차량이 대부분이며 Tesla Model 시리즈(ModelX, ModelS, Model3)는 52대, Jaguar I-Pace 8대, Renault Twizy 7대
ㅇ 러시아 전기차 시장 수요(등록 수 기준)가 가장 큰 곳은 모스크바시(42% 비중)와 극동 연해주(20%)이며 고급 전기차 기준으로도 비중이 가장 높음.
- 모스크바와 극동 연해주 다음으로 모스크바주가 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러시아 남부인 사마라 지역이 8%임.
- 하바롭스키, 크라스노다르, 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은 모두 균일하게 7%씩의 비중이며 기타 러시아 지역은 모두 20대 미만이 등록돼 있고 시베리아 지역은 혹독한 추위로 등록이 거의 전무함.
러시아 지역별 전기차 시장 비중
자료: 0ptSTAT 분석 기관
- 2018년 동안 판매된 중고 전기차량은 총 1560대로 전년대비 125% 증가
- 2018년 동안 판매된 중고 전기차량의 94%(1467대)는 Nissan Leaf
- 나머지 6%는 Mitsubishi I-MiEV(40대), Tesla ModelS(33대), BMWi3(12대), Lada Ellada(3대), Tesla ModelX(3대), Renault Twizy(2대)였음.
ㅇ 러시아 전기차량 개발 전략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략 2025’에 포함
- 러시아 전기차량 개발 전략 상으로는 2020년까지 전체 차량의 1~1.5% 비중을 차지한다는 목표이며 2025년까지는 4~5%가 목표임.
- 러시아의 주요 전기차량 정부 지원책 중 금전적 지원사항으로는 자동차세 면제를 들 수 있으며 이를 우선적으로 모스크바, 칼루가,상트페테르부르크 지역에서 시행 중임. 또한 300만 루블 이하 전기차는 사치세 면제, 무료 전기충전소 이용, 무료 주차 등이 지원됨.
- 인프라 지원은 Avtodor(국영)의 도시간 고속도로 전기차 충전소 70개 구축과 V2G* 기술 개발 정부 승인 등임.
주*: V2G : Vehicle-to-Grid 기술로 전기차배터리차(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등 충전식 친환경차를 전력망과 연결해 주차 중 남은 전력을 이용하는 개념임. 전기차가 이동식 ESS 장치 역할을 수행하는 것
- 정부 조달로는 모스크바시에서 2017년부터 연간 300대의 전기버스를 조달(구매)해 운행하는 것이며 2021년부터 교통버스는 전기버스만 조달키로 함.
러시아 전기차 정부 지원
정부 지원책 | 내용 |
물자지원 | |
제로 자동차세(Zero vehicle tax)(지역 차원) | 전기차 소유자는 러시아 연방 세 가지 항목에서의 자동차세 면제: 칼루가,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
사치세(Luxury tax) 공제(정부 차원) | 300만 루블 이상의 자동차를 소유한 러시아인은 "특별 소비세" 추가 부담금 납부 필요,전기차 제외 |
무료 전지 충전(지방자치 차원) | - 대부분의 러시아내 전지 충전소 무료 이용 가능 - 공기업에 의해 설립된 충전소: Rosseti, Mosenergo |
무료 주차(지방자치 차원) | 모스크바 및 상트페테르부르크 내 전기차 무료 주차 가능 |
인프라 개발 | |
충전소 건설(정부 지방자치 차원) | - 전기 충전소 개수 증가 위한 여러 정부 프로그램 시행중 - Avtodor 국영기업은 2020년까지 국제 고속도로뿐만 아니라 70개의 도시간 충전소 설립 필요 |
GOST for Refueling Stations(정부 차원) | 2017년, 전기차 충전 및 전지에 저장된 에너지를 전원으로 되돌리는 Vehicle-to-Grid기술 사용 가능 표준 승인 |
정부 조달 | |
전기 버스 구입(지방자치 차원) | 2017년 말부터 모스크바 당국은 연간 300대의 전기 버스 구입, 2021년부터 전기 버스만 구입 예정 |
□ 러시아 전기차 수요동향
ㅇ 러시아에서 유통되고 있는 전기차는 대부분 외국 브랜드이며 가격 세그먼트가 매우 큰 편
· 세계 시장에서 잘 알려진 제조국은 노르웨이, 독일, 영국, 중국 등이며 중국 제조 전기차량은 320만 대가 판매돼 선두 중
- 러시아에서 판매되고 있는 고급 전기차는 Tesla Model 시리즈로 가격대는 8만~25만 달러 수준
- 영국의 Jaguar I-Pace의 가격대도 Tesla Model 시리즈와 유사하게 8만 달러로 시작
-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전기차는 일본의 Nissan Leaf로 가격은 3만 달러 정도로 중간 가격대에 속하며 Hyundai Ioniq도 유사한 수준임.
- BMW i3와 Renault Kangoo Z.E은 4만~5만 달러 수준으로 중상위 가격대로 유통되며 SUV 전기차로 인기가 높음.
- Reanault Twizy는 1만 4500달러로 유통되는데 최대 속도가 100km를 넘지 못하고 초소형이기 때문에 도시형 전기차로 알려져 있음.
전기차(이름/국가) | 웹사이트 | 가격 (USD) | 내용 | 사진 |
BMW i3(독일) | 56,386 | - 2017년 1월부터 러시아 시장 유통 - 125kW 전동기 장착 - 8.1초 내 시속 100km 가속, 최대 시속150km(자동 제한) - 충전지속운행: 160~180km | ||
Renault Kangoo Z.E.(프랑스) | vehicles/range/kangoo-ze.html | 40,000 | - 44kW motor 장착 - 전지용량: 33kWh(270km 주행) 충전기간: 일반가정에서 12시간, 충전소에서 6시간 이내 | |
Renault Twizy(프랑스) | vehicles/range/twizy. html | 14,500 | - 2016년 1월부터 러시아 시장 유통 - 2인승 전기 도시 차량 - 최대 속도 : 100km - 3.5시간 내 일반 콘센트에서 완충 가능 | |
Jaguar I-Pace(영국) | index.html | 88,203 | - 2018년부터 러시아에서 해외직구(Electric crossover) 주문 가능 - 충전지속운행: 370~470km - 가정용 충전은 10시간 내 최대 80%까지 충전 가능 | |
Hyundai Ioniq(한국) |
ioniq | 32,000 | - 러시아 공식 딜러는 없음.(2018년 기준) - 전지용량: 28kWh(250km 주행) - 최고 시속 165km | |
Tesla Model X(미국) | 250,925 | - 러시아 내 공식딜러가 없으나 유통업체를 통해 구입(수입) 가능 - 3.1초 내 시속 100km 가속 - 전지용량: 100kWh(542km 주행) | ||
Tesla Model S(미국) | 136,870 | - 러시아 내 공식딜러가 없으나 유통업체를 통해 구입(수입) 가능 - 전지용량: 75kWh(490km 주행) | ||
Tesla Model 3(미국) | 80,600 | - Tesla 시리즈 중 최신형이자 최저가 - 한 번의 충전으로 최대 420km 주행 가능 | ||
Nissan Leaf(일본) | 30,415 | - 공식 딜러는 극소수이나 구입가능 - 주요 구매자는 중고차 선호, - 신차 구입 가능 - 한 번의 충전으로 240~270km 주행 가능 |
자료: https://hype.ru/@boevoy-homyak/vse-elektromobili-2018-goda-kotorye-mozhno-kupit-v-rossii-dkd4c587
ㅇ 러시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한국 전기차는 현대의 Ioniq과 기아의 Soul EV임.
- 현대 Ioniq는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국제산업전 이노프롬에서 처음 소개돼 러시아 시장에 알려짐.
- 기아의 Soul EV는 소형 SUV 전기차로 2014년부터 러시아에서 유통됐으며 공식 딜러가 아닌 전자 구매(http://electricmotorsclub.ru/купить-электромобиль/kia-soul-ev/)가 가능
ㅇ 러시아 자국산 전기차는 EL Lada와 Vesta EV임.
- EL Lada는 2011년 Lada Kalina사에서 러시아 최초로 생산한 전기차이며 한 번의 충전으로 150km 주행이 가능하고 일반 가정용 코드로 8~9시간 충전함. 판매가는 96만 루블(약 15,000달러)이었으나 2013년부터 판매가 중단됨.
- Vesta EV는 2015년 AvtoVAZ사가 생산하기 시작한 전기 승용차로 Classic(기본형), Comfort(일반형), Luxe(고급형)으로 나뉘어짐. 충전시간은 일반 220V로 9시간이나 전기충전소에서는 1.3시간만 소요되며 최대 속도는 150km임. 판매가는 300만 루블(약46,800달러)임.
EL Lada | Vesta EV |
자료: KOTRA 블라디보스톡 무역관
□ 러시아 전기차 수입동향
ㅇ 러시아의 전기모터 차량(HS 코드: 870380)의 수입은 2018년 동안 전년대비 569% 급증
· HS코드 상으로는 ‘전기모터 차량’으로 구분되어 있어 고급형에서 저가형까지 유형별 카테고리 범위가 넓은 편
- 주요 수입국은 중국이었으나 2018년부터 오스트리아, 프랑스, 스페인, 독일, 폴란드, 영국, 일본, 벨라루스 등으로 다변화됨.
- 수입통계상의 수입 전기차는 중고차량도 포함되며 급격히 수입이 증가하는 이유는 러시아 내 공식 딜러가 없고 개인차량의 주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임.
ㅇ 2018년부터 오스트리아의 대규모 신규 수입이 시작되었다는 점이 특이사항
- 오스트리아로부터 Smart fortwo 초소형 전기차와 중고 BMW i3이 수입되는 것으로 파악되며 Jagua I-Pace도 오스트리아에서 제조돼 수입되고 있음.
- 중국 수입 전기차량은 Zotye Z500 EV와 BYD e6이며 스페인으로부터는 중고 Tesla와 기아 Soul EV가, 폴란드로부터는 주로 기아 Soul EV와 현대 Ioniq이 수입되고 있음.
- 벨라루스로부터는 Tesla X가 수입되고 있는데 이는 러시아 내 해당 시리즈 공식딜러가 없기 때문임.
- 한국으로부터 직접 수입되는 전기차는 전무한 상황
| 전동기(Electric Motor) 차량(HS Code 870380) 수입동향 | |||||||
순위 | 교역국 | 금액 (USD) | 점유율(%) | 증감률(%)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2018/2017 | ||
| 총계 | - | 465,320 | 3,117,498 | n/a | 100.0 | 100.0 | 570 |
1 | 오스트리아 | - | - | 1,862,762 | n/a | 0.0 | 59.8 | 0 |
2 | 중국 | - | 421,955 | 523,175 | n/a | 90.7 | 16.8 | 24 |
3 | 프랑스 | - | - | 327,166 | n/a | 0.0 | 10.5 | 0 |
4 | 스페인 | - | - | 265,875 | n/a | 0.0 | 8.5 | 0 |
5 | 독일 | - | - | 65,166 | n/a | 0.0 | 2.1 | 0 |
6 | 폴란드 | - | 28,246 | 34,159 | n/a | 6.1 | 1.1 | 21 |
7 | 영국 | - | - | 15,552 | n/a | 0.0 | 0.5 | 0 |
8 | 이탈리아 | - | 14,678 | 12,172 | n/a | 3.2 | 0.4 | - 17 |
9 | 일본 | - | - | 9,947 | n/a | 0.0 | 0.3 | 0 |
10 | 벨라루스 | - | 440 | 1,524 | n/a | 0.1 | 0.1 | 246 |
자료원: GTA (https://www.gtis.com/gta/)
□ 현지기업 인터뷰
ㅇ 모스크바 Tesla 클럽 Igor Antarov 매니저에 따르면, 러시아 전기차 시장 성장의 가장 큰 장애는 인프라 부족
- 러시아 전기차 잠재 고객들은 대부분 일반 차량 대비 전기차의 가격을 명확히 인지하기 때문에 투자 대비 실용성을 따지다보니 차량 충전소 등의 인프라 부족이 구매를 포기하는 중요한 요소임.
- 모스크바 시내의 충전소는 100개 미만인 것으로 파악되며, 모스크바 충전차량비율(1개 충전소 당 전기차량 비율)은 유럽 대비 거의 두배
· 유럽 충전차량비율은 1개 충전소당 전기차 3대이며, 러시아는 7대 미만(차량수가 높을수록 충전소 부족율이 높은 것)
- 전기차 구매보조금 등 러시아 정부 지원책이 부족하다는 점에서도 전기차 시장성장의 걸림돌이라고 첨언
□ 유용정보
ㅇ 러시아 전기자동차 시장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인 전시회(박람회)는 MIMS와 Innoprom(예카티린부르크)임.
- MIMS는 운송기기 전문 박람회이며 이노프롬은 기계설비 중심 박람회이나 첨단 기기(IoT) 및 운송기기도 포함
전시회명 | MIMS 0ptmechanika Moscow 2019 |
품목 | 러시아 및 동유럽의 자동차 예비부품, 자동차 부품, 장비 및 차량 유지 보수 제품 |
개최 장소 | 러시아 모스크바 엑스포센터 |
날짜 | 2019년 8월 26~29일 |
주최 | ITEMF Expo |
웹사이트 | |
전시회명 | INNOPROM 2019 |
품목 | - 첨가물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 전력 엔지니어링 기술(Power Engineering Technologies) - 기계 건설 및 기계 공학용 구성 요소(Machine Building and Components for mechanical engineering) - 자동화 및 IoT |
개최 장소 |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 엑스포 대로 |
날짜 | 2019년 7월 8-11일 |
주최 | Formika expo |
웹사이트 | https://www.innoprom.com/ |
HS 코드 | 870380: 추진용 전동기만을 갖춘 차량 |
관세 | 15% |
소비세 | 0% |
부가가치세 | 20% (기준율) |
인증 | - EAEU 기술 규정(EAEU TR) "차륜 차량(wheeled vehicles) 안전성"(TR CU 018/2011) 준수 인증 - 2017년 1월 1일부로 차량 여권 발급 위한 차량 내 비상 호출 장치(GLONASS 시스템) 장착 필요 |
□시사점
ㅇ 러시아 전기차 시장의 급속한 성장을 이루지 못하는 장애물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볼수 있음.
- 첫째로 산업발전에 집중돼 있기 때문에 환경보다는 경제성을 우선시 하는 사회적 배경
- 두번째로 러시아 정부 주도적인 개발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민간기업들의 개발 참여 의지를 높일 수 있는 정부 지원책이 현재까지는 부족
ㅇ 상기와 같은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정부주도 전기차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전기차 현지생산이 목표임.
- 2016년까지 러시아 내 전기차 충전소는 전무하였으나 2018년까지 256개 충전소가 구축
- 현재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상황으로 보면, 모스크바 시 및 모스크바 주는 7대 차량 기준 1개 충전소가 구축된 것이며 극동 연해주는 26대 차량 기준 1개 충전소가 구축된 것임.
- 수입 전기차는 공식 딜러망 부족으로 개인별 주문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유통에 애로가 큰데다, 관세와 운송비, 부가세, GLONASS 시스템(GPS 유사기능) 장착비까지 포함되면 유럽 유통가격에서 65% 이상의 가격이 상승
ㅇ 러시아의 전기차 인지도가 낮으나 초소형 저가 전기차(도시 상업용)와 중고 전기차 등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
- 중국산 저가 전기차량의 수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러시아 전기차 시장의 변화를 엿볼 수 있음.
자료원: 러시아 전기차 관련 사이트(http://www.battery-industry.ru/2018/, https://efut.ru/a/135-tjagovye-akkumuljatory-dlja-jelektromobilej.html, https://www.dw.com/ru/, https://www.0ptcentre.ua/opyt/tehnologii/panasonic-nashel-sposob-udeshevleniya-elektromobilej-583423.html, https://itc.ua/news/, http://echemistry.ru/postavshhiki/himicheskie-istochniki-toka1.html), KOTRA 블라디보스톡 무역관 상품조사 및 인터뷰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