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10 세계은행, '24년 세계경제 2.4% 성장(시장환율 기준) 전망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8SYNWcsLqhFeHP0UadSX0KoK.node50?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67112&menuNo=4010100
세계은행, ‘24년 세계경제 2.4% 성장(시장환율 기준) 전망 |
세계은행(World Bank)은 1.9.(화) 9:30(미국 워싱턴 디시 기준, 한국시각 1.9.(화) 23:30)에 「세계경제전망(Global Economic Prospects)」을 발표하였습니다.
* 세계은행은 매년 2회(1월, 6월), 「세계경제전망」을 발간, 한국 성장률 전망은 별도로 발표하지 않음
세계경제전망의 주요내용 및 전망치는 별첨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별첨자료는 보도편의를 위해 세계은행의 보고서를 일부 요약·정리한 자료입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세계은행 세계경제전망(WB Global Economic Prospects, www.worldbank.org/gep)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담당 부서 | 개발금융국 | 책임자 | 과 장 | 이상규 | (044-215-8710) |
| 개발금융총괄과 | 담당자 | 사무관 | 신태섭 | (sts3031@korea.kr) |
| | 사무관 | 이수호 | (suholee90@korea.kr) |
별첨 1 | | 세계은행의 세계경제전망(‘24.1월) 주요내용 |
1 (세계경제전망)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시장환율기준)는 2.4%*(선진국 1.2%, 개도국 3.9%)로, ‘23.6월 전망과 동일하게 유지
* WB은 IMF·OECD와 달리 시장환율기준을 통한 자체분석기법 활용하여 전망
ㅇ 세계경제 성장률은 전세계적인 긴축적 통화정책 등의 영향으로 ’22~‘24년간 3년 연속 둔화, ’25년에는 회복세 소폭 개선 전망
* 세계경제 성장률(%) : (’21)6.2 (‘22)3.0 (’23)2.6 (‘24)2.4 (’25)2.7
ㅇ 물가안정에 따른 통화정책 완화 가능성은 긍정적이나, 지정학적 긴장, 무역규제 강화, 中경기둔화 등 하방요인이 아직 지배적
※ 주요 국제기구 성장률 전망 비교<구매력평가(Purchasing-power-parity) 기준>
|
2 (지역별 전망) 美·中 경기둔화에도 개도국 대부분 성장세 유지
※ WB은 성장률 전망시 개도국 중심 경제상황 분석·전망 → 韓은 대상 제외
(단위: %, %p) | 세계 | 미국 | 중국 | 유로존 | 동아태 | 유럽 중앙아 | 중남미 | 중동 북아프 | 남아시아 | 사하라 이남 |
‘23년 | 2.6 | 2.5 | 5.2 | 0.4 | 5.1 | 2.7 | 2.2 | 1.9 | 5.7 | 2.9 |
‘24년 (’23년比) | 2.4 (△0.2) | 1.6 (△0.9) | 4.5 (△0.7) | 0.7 (+0.3) | 4.5 (△0.6) | 2.4 (△0.3) | 2.3 (+0.1) | 3.5 (+1.6) | 5.6 (△0.1) | 3.8 (+0.9) |
ㅇ (선진국) 美경기둔화로 전체 성장률 하락(’23년 1.5→’24년 1.2)
- (미국) 그간 소비에 따른 초과저축 축소, 높은 금리, 고용 둔화 등으로 소비·투자가 약화되며 성장률 하락(’23년 2.5→’24년 1.6)
- (유로존) 긴축적 통화정책 지속되며 약한 성장세(’23년 0.4→’24년 0.7)
ㅇ (신흥·개도국) 中경기둔화로 전체 성장률 하락(’23년 4.0→’24년 3.9)
* WB는 개도국의 팬데믹 이후 경제회복 속도가 글로벌 금융위기 시보다 늦다고 평가
- (동아태) 중국外 지역 성장률은 개선될 전망이나, 中 성장세 둔화로 동아태 성장률은 전년비 하락(’23년 5.1→’24년 4.5)
▪ (中) 불확실성 증대와 심리 악화로 인한 소비 감소, 자산 부문 취약성 지속 등으로 성장률 하락(’23년 5.2→’24년 4.5)
▪ (이외) 견조한 민간소비로 성장률 상승(’23년 4.4→’24년 4.7)
- (유럽ㆍ중앙아) 러‧우 전쟁 영향으로 지역 전체 성장률은 하락(’23년 2.7→’24년 2.4), 러‧우外 성장률은 상승(’23년 2.7→’24년 3.1)
- (중남미) 물가안정화에 따른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 국제관광 회복세(캐리비안 등) 등으로 성장률 상승(’23년 2.2→’24년 2.3)
- (중동․북아프리카) 중동분쟁이 더 이상 격화되지 않는다면,
석유 생산 증대로 성장률 상승(’23년 1.9→’24년 3.5)
- (남아시아) 견고한 국내 수요와 인도의 높은 성장세(‘24년 6.4%) 등으로 가장 높은 지역성장률 유지(’23년 5.7→’24년 5.6)
- (사하라 이남) 금융여건 개선 등으로 성장(’23년 2.9→’24년 3.8)
3 (정책제언) 신흥·개도국 중심으로 잠재성장률 하락 우려가 있으며 투자촉진, 생산성 향상 등을 위한 과감한 구조개혁 추진 필요
◇ 투자 촉진에 영향을 준 한국의 주요 정책 사례 연구 (☞ 별첨3, 별도챕터로 구성) * 동 정책들을 통해 한국은 과거 年 9.2% 투자 증가 (1차’85~’96년, 2차’99~’07년<단순평균>) ➊ (거시경제 안정) 재정건전성 확보, 중앙은행 독립성 강화, 변동환율제 도입 등 ➋ (구조개혁) 수입규제 완화, 독점 규제, 자본시장 자유화, 기업 지배구조 개선 등 |
별첨 2 | | 2024년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 전망치 |
(단위 : %, %p)
| 2021 | 2022 | 2023e | 2024f | 2025f | ‘23.6월 전망 대비 조정폭 |
2024f | 2025f |
▪경제성장률 (시장환율 기준) |
(세 계) | 6.2 | 3.0 | 2.6 | 2.4 | 2.7 | 0.0 | △0.3 |
ㅇ 선진국 | 5.5 | 2.5 | 1.5 | 1.2 | 1.6 | 0.0 | △0.6 |
- 미국 | 5.8 | 1.9 | 2.5 | 1.6 | 1.7 | 0.8 | △0.6 |
- 유로지역 | 5.9 | 3.4 | 0.4 | 0.7 | 1.6 | △0.6 | △0.7 |
- 일본 | 2.6 | 1.0 | 1.8 | 0.9 | 0.8 | 0.2 | 0.2 |
ㅇ 신흥시장ㆍ개도국 | 7.0 | 3.7 | 4.0 | 3.9 | 4.0 | 0.0 | 0.0 |
(동아시아·태평양) | 7.5 | 3.4 | 5.1 | 4.5 | 4.4 | △0.1 | △0.1 |
- 중국 | 8.4 | 3.0 | 5.2 | 4.5 | 4.3 | △0.1 | △0.1 |
(유럽·중앙아시아) | 7.1 | 1.2 | 2.7 | 2.4 | 2.7 | △0.3 | 0.0 |
- 러시아 | 5.6 | △2.1 | 2.6 | 1.3 | 0.9 | 0.1 | 0.1 |
(중남미) | 7.2 | 3.9 | 2.2 | 2.3 | 2.5 | 0.3 | △0.1 |
- 브라질 | 5.0 | 2.9 | 3.1 | 1.5 | 2.2 | 0.1 | △0.2 |
(중동·북아프리카) | 3.8 | 5.8 | 1.9 | 3.5 | 3.5 | 0.2 | 0.5 |
- 사우디 | 3.9 | 8.7 | △0.5 | 4.1 | 4.2 | 0.8 | 1.7 |
(남아시아) | 8.3 | 5.9 | 5.7 | 5.6 | 5.9 | 0.5 | △0.5 |
- 인도 | 9.1 | 7.2 | 6.3 | 6.4 | 6.5 | 0.0 | 0.0 |
(사하라이남) | 4.4 | 3.7 | 2.9 | 3.8 | 4.1 | △0.1 | 0.1 |
- 남아공 | 4.7 | 1.9 | 0.7 | 1.3 | 1.5 | △0.2 | △0.1 |
▪국제무역량 (전년 대비) | 11.1 | 5.6 | 0.2 | 2.3 | 3.1 | △0.5 | 0.1 |
▪국제유가 (배럴당 $) | 70.4 | 99.8 | 83.1 | 81.0 | 78.0 | △1.0 | △6.4 |
별첨 3 | | 투자 촉진 관련 주요 사례연구 (별도 챕터로 구성) |
※ WB은 과거 투자 촉진에 성공한 주요 10개국 사례를 별도 연구·분석 <韓, 인도, 튀르키예, 말련, 폴란드, 우루과이, 콜롬비아, 칠레, 모로코, 우간다> ㅇ 분석기간(1980~2022년) 중 투자 증가율(전년비)이 높았던 투자 촉진기간을 분류하고, 동 기간 전후로 투자 촉진에 긍정적 영향을 준 국가별 주요 정책을 소개 |
□ (한국) 거시경제 안정화와 구조개혁 등을 통해 투자 촉진
* 투자 촉진 기간 : 1차’85~’96년, 2차’99~’07년, 연평균 9.2% 투자 증가
ㅇ (1차) 균형잡힌 재정정책을 통한 물가 안정화, 공정거래법 제정 등 시장경쟁 확대, 수입규제 완화 등 거시경제 안정화 추진
ㅇ (2차) 거시경제 안정화에 더해 자본시장 자유화, 기업지배구조 개선, 중앙은행 독립성 강화, 변동환율제 도입 등 개혁조치 병행
□ (인도) 구조개혁 등을 통해 무역‧투자 등 민간경제 활성화
* 투자 촉진 기간 : ’94~’99년, 연평균 +10.0% 투자 증가
ㅇ 무역장벽 제거, 자본이동 및 금융분야 규제완화, 국영 독점
부문 축소 등 구조개혁 추진
□ (튀르키예) 거시경제 안정화, 구조개혁 등을 통해 투자 환경 개선
* 투자 촉진 기간 : ’03~’08년, 연평균 +14.3% 투자 증가
ㅇ 재정건전성을 위한 규율(fiscal discipline) 마련, 중앙은행 독립성 강화 등을 통한 물가·금리 안정화 등 투자 촉진 기반 마련
ㅇ 민영화, 기업환경 개선, 노동시장 유연화, 금융부문 개혁 등
구조개혁을 통해 해외직접투자(FDI) 유입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