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목 : 두충나무
장소 : 용정산림공원

두충나무 2020. 09. 01 용정산림공원

두충나무 2016. 09. 12 현도초등학교
2. 분류학적 정보
종명 : 두충나무
이명 : 두중(한의학), 사선목, 선사선, 목면
학명 : Eucommia ulmoides Oliv.
생물학적 분류 : 계 : 식물계
문 : 속씨식물문
강 : 쌍떡잎식물강
목 : 장미목
과 : 두충과
속 : 두충속
크기 : 10~15m
형태 : 낙엽 활엽 교목
개화기 : 4~5월
결실기 : 9~10월
원산지 : 중국
분포지 : 한국(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서식장소/자생지 : 산과 들
3. 생리생태학적 특징
특징
두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세계적으로 1과 1속 1종밖에 없는 중국 특산식물이다. 현재 중국 중남부의 각성(省) 일대에서 다량 재배되고 있다.
수피나 잎 또는 열매를 꺾어서 잡아당기면 끈적끈적하고 거미줄처럼 가는 흰 실이 길게 늘어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수피를 약으로 쓰기 위해 심고 있으며 잎과 씨도 말려서 약으로 쓴다.
두충이란 약명은 <신농본초경>에 처음 기록이 나온다. <대한민국약전> 11개정판에는 두충을 줄기 껍질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두중이라고도 불린다.
1926년 당시 임업시험장 촉탁이며 동경대학 교수였던 나까이 박사가 최초로 도입하여 홍릉에 있는 임업연구원 수목원에 심었다.
초겨울까지 파란 잎이 무성하며 가지, 잎, 나무껍질을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두충나무 잎 2011. 11. 11 상당산성

두충나무 잎 2015. 11. 11 상당산성
잎
잎은 어긋나기하며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나 5-6쌍의 뚜렷한 잎맥 위에는 잔털이 있다. 잎자루에는 처음에 미모가 있다가 나중에 없어진다.
꽃
꽃은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핀다. 화피가 없으며 수꽃은 화경과 4-1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짧은 화경이 있으며 새가지 밑부분에 달린다. 씨방은 2개의 심피가 합쳐지고 1개의 방은 퇴화되어 1실로 되며 끝이 2개로 갈라져서 암술머리로 된다.

두충나무 열매 <사진 출처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열매
열매는 10-11월에 익고 편평한 긴타원모양으로 날개가 있는 시과인데 느릅나무 종자와 비슷하다. 열매를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두충나무 2020. 09. 01 용정산림공원
줄기
줄기는 많은 가지를 내고 나무껍질은 갈색을 띠는 회백색이다.
용도
● 주요 조림수종 : 특용수종
● 정원수로 심고 있다.
● 나무껍질은 두충, 어린잎은 면아라 하며 약용한다.
● 약용 : 수피 - 항노화, 강장, 항염증, 진정, 진통, 이뇨작용, 관절염 등
잎 - 혈압강하, 진통작용
● 식용 : 두충차 - 두충잎을 잘게 썰어 뜨거운 물로 우리거나 끓여서 차로 마신다.
4. 소재에 대한 스토리테링(숲해설)
《본초강목》에 의하면 옛날에 성이 두씨이고 이름이 중이라는 사람이 이 나무의 껍질과 잎을 차로 달여 먹고 도를 통했다고 해서 그 사람의 성과 이름을 따 나무의 이름을 두중(杜仲)이라고 붙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두충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으로 자르면 고무같은 점질의 실이 나온다. 껍질을 건조시킨 것을 한약재로 쓰는데 옛날에는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현재는 국내에서 대량 재배하고 있다.
두충은 한방약재로 쓰이는 나무껍질로 관절염과 성인병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충나무에는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해준다. 더불어 섬유질도 함유하고 있어 힘줄, 인대, 뼈를 강하게 해준다. 두충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다이글루코사이드, 피노레지롤 성분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기능을 하여 고혈압, 혈관계질환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많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모두 기술하려니 내가 약장사 같기도 하고 모든 약효를 알아야 하는 것도 아니라서 이 정도가 적는다.
두충이 뼈에도 좋다고 하니 관심이 많이 간다. 요즘 무릎이 가끔 시큰거리는데 나도 두충차를 끓여 먹어 보아야 할 것 같다.

두충나무(나뭇잎이 거의 없다) 2020. 09. 01 용정산림공원

두충나무 잎 2014. 05. 28 상당산성
조사를 하다 보니 두충나무는 벌레가 잘 생기지 않아서 키우기가 좋다고 했는데 용정산림공원의 두충나무는 해마다 봄에 새순은 잘 나오지만 여름에서 가을쯤에 보면 나뭇잎이 거의 떨어지고 없다. 상당산성의 두충나무도 잎에 구멍이 많이 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벌레들도 약효가 좋은 걸 알고 잘 먹어서 그런가 보다라고 생각했었는데 그게 아니었나 보다.
5. 유사종에 대한 비교
두충의 대용품으로 속(屬)이 다른 화두충사철나무, 대만두충나무가 있다고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에 나와 있기는 한데 자세한 내용이나 사진을 아무리 검색을 해도 나오지 않으므로 알 수가 없다.
자료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 두산백과, 위키백과,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국립중앙과학관(식물정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물자원정보 – 자생식물종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Daum 다음백과
- Daum 블로그 : 구름이 머무는 곳
- 나무 쉽게 찾기 / 윤주복 진선 출판
※ 자료출처를 명기한 그 외의 모든 사진은 본인이 직접 촬영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