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허사상 한국학을 말하다.
맹자의 사상 가운데 또 중요한 것이,
“유교의 아주 핵심 가운데 하나가 맹자에 있다.”
이렇게 말씀하시면서,
“유교의 마음 닦는 수행법이 여기에 다 나타난 것이 있다.
그것이 뭐냐? 맹자에 있어서는 求放心(구방심)이다. 求放心이 맹자의
아주 핵심적인 내용이다. 그 다음에 그 이후에 유교의 핵심내용,
수행내용 가운데는 主一無敵(주일무적)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 이렇게
말씀 하셨습니다.
求放心이란 놓아버린 마음입니다.
놓아버린 마음을 다시 찾아오는 겁니다. 맹자에게 이런 말씀이 있지요.
“우리 집의 닭과 개가 집 밖을 나가면 나가서 찾아올 줄 아는데,
내 마음이, 방심된 내 마음이 온 세상을 바깥으로 돌아다니는데, 그 마음
을 찾아올 줄 모르는구나.” 이렇게 맹자가 얘기했다는 겁니다.
그래서
“學問之道無他(학문지도무타)라.
학문의 道는, 길은 다른 것이 없다.
求其放心而已矣(구기방심이이의)라.
놓아버린 마음을 다시 구하는 것뿐이다.
공부는 딴 것 없다. 내 방심해버린 이 마음을 다시 찾아오는 것
뿐이다. 근본자리로 찾아오는 것이다.”
“이렇게 말한 맹자 말씀이야말로 유교의 마음 닦는 수행에 아주 핵심에
해당한다.” 탄허스님이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유교학적으로 말할 것 같으면 도에 들어가는 방법론이
굉장히 희박합니다.]
유교가 말은 정확하게 했는데요. 놓아버린 마음을 구하는 방법론이
희박하다는 겁니다.
불교는 화엄에서 보셨듯이 10주ㆍ10행ㆍ10회향ㆍ등각ㆍ묘각처럼 공부
의 과정들을 아주 디테일하게 자세하게 설명을 해놨습니다.
어느 단계가 되면 어떤 번뇌가 사라지고,
그 다음에 어떤 선정에 들면 어떤 문제가 해결되고, 자세하게 수행 해나
가는 계위 점차를 자세하게 설명을 해놨거든요.
그런데 유교는 마음 닦는 것에 대해서,
未發論(미발론)이라든지, 求放心이라든지, 이런 것을 정확하게
얘기를 했습니다. 그러나 자세한 설명이 없다는 겁니다.
그런데 탄허스님이 이것도 유교가 부족하다고 얘기하지는 않습니다.
“공자나 맹자가, 제자들이 더 깊이깊이 질문을 했다면 다 설명을 해줬을
것이다. 그런데 질문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주절이 주절이 먼저 얘기하는
법이 잘 없다. 그래서 말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이지, 유교가 부족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근본은 다 얘기했다.
아주 자세한 내용들은 불교의 80000대장경에 아주 자세하게 나와 있다.”
이렇게 말씀하셨거든요.
[맹자는 학문의 도는 바깥으로 치주하는 마음.
바깥으로 내달리는 마음을 거둬들이는데 있을 뿐이라는
求放心이 제시되고 있지만, 求放心하는 방법론이 없는데, 이는
맹자가 몰라서 안 하신 것이 아니고 당시에 어떻게 求放心하느냐고
질문하는 사람이 없으니까 방법론이 없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씀 하셨습니다.
[그 후에 공자의 도통연원이 끊어졌던 것을 주렴계와 정자가
이었는데]
정자가 뭐라 그랬느냐?)
[“마음을 통일해서 새어나가는 것이 없는 것을 경이다.
主一無適之謂敬(주1무적지위경)이다.”] 그랬습니다.
主一無適이라는 말이 아주 중요합니다.
유교에서 敬이라고 하는 것은, 내가 바깥에 있는 남을 공경하는 것만
해당하는 것이 아닙니다.
“마음을 통일해서” 이랬지요?
내 마음을 하나에 집중해서 바깥으로 無適. 돌아다니지 않게 하는 겁니
다. 새어나가는 마음이 없도록 하는 겁니다.
無適이라고 하는 것은 “마음이 돌아다니지 않는다.” 라고 하는 것
과 求放心. “놓아버린 마음을 구한다.” 는 것이 내용이 같겠지요.
우리 불교에서 보면 위빠사나 같은 것이지요.
한 생각 일어나서 딴 데로 막 달아나고 있으면, 마음이 바깥의 외물에
끄달리고 있습니다.
그것을 다시 근본자리로 딱 가져오는 것이 유교에서는, 공경할 경 자,
敬이라고 그럽니다.
첫댓글 _()()()_
고맙습니다._()()()_
고맙습니다.
나무 대방광 불 화엄경
_()()()_
文光스님 - 韓國學(呑虛思想) - 18-1-8. 儒敎와 佛敎의 會通.
고맙습니다 _()()()_
_()()()_
공부는 내 방심해버린 이 마음을
근본자리로 찾아오는 것..
고맙습니다 _()()()_
맹자의 핵심수행내용 : 求放心.
유교의 핵심수행내용 : 主一無敵.
유교에서의 부족한 수행방법을 불교에서 자세하게 채웠다.
고맙습니다.
_()()()_
고맙습니다. _()()()_
고맙습니다 _()()()_
_()()()_
_()()()_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