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사람 되기 위해
좋은 건축에서 살아야 한다.
부부는 같은 공간에서 오래 살면서
서로 닮지 않는가 ~!
= 승효상 =
= 터무니 를 생각하며,
어미산을 생각케 한다 = 관우=

거주풍경 domestic landscape

종묘정전 월대

에드워드 W. 사이드(Edward Wadi Said)《권력과 지성인》
『오리엔탈리즘』
노무현의 무덤 -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승효상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승효상의 건축여행(1)
승효상 지음
출판사:컬처그라퍼 | 2012.10.23

저자 승효상(承孝相, 1952- )

승효상 "빈자의 미학"으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건축가이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빈 공과대학에서 공부했다. 15년간 공간 연구소에서 근무하면서 김수근 문하에서 일한 경험이 있고, 1989년 건축사무소 이로재를 개설하였으며, 4·3그룹에 참여하였다.
파주출판도시의 코디네이터로 새로운 도시 건설을 지휘한 그에게 미국 건축가 협회는 2002년 명예 펠로우(Honorary Fellow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의 자격을 부여하였고, 같은 해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전'을 가지기도 하였다.
이후 2003년에는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에서, 2004년에는 도쿄 갤러리 마(間)에서 초청 전시회를 열었다.
1998년 북 런던대학의 객원교수를 역임한 후 서울대학교 등에 출강하였으며, 새로운 건축 교육을 모색하고자 설립된 서울건축학교의 운영 위원으로 있다. 또는 그는 2008년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의 한국관 커미셔너를 맡게 되는데, 한국관의 주제는 '크리티컬 토픽: 컬처스케이프, 여기 파주출판도시’이다.
현재 현재 이로재 종합 건축사 사무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목차
서시
01. 진실은 현장에 있다
02. 영적 성숙을 이루게 하는 건축
03. 마당 깊은 집, 그 ‘불확정적 비움’의 아름다움
04. 홀로 됨을 즐기는 고독의 집, 독락당
05. 화(和)와 화(華) 그리고 화(禍)
06. 베를린과 김수근 건축
07. 책을 불태우는 자는 결국 인간도 불태우게 된다
08. 코르도바의 골목길에는 시간의 윤기가 흐른다
09. 죽음의 형식
10. 영원한 안식은 최초의 집에 거주하리니
11. 역사는 중단함으로 존재한다
12. 보이지 않는 절
13. 보이지 않는 길
14. 배롱나무 붉은 꽃
15. 인문정신의 소산, 소쇄원
16.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는 출발점, 병산서원
17. 좁을망정 오기를 부리는 집, 기오헌
18. 사무치게 그리운 부석사, 수도자의 도시 선암사
19. 스스로가 풍경이 되는 도시, 페즈
20. 하늘 아래 가장 아름다운 마을
21. 성찰적 풍경, 제주
22. 르 코르뷔지에의 오딧세이
23. 대상무형(大象無形), 큰 사유는 형태가 없다
24. 위대한 침묵
25. 기억만이 진실하다, 사라지는 기념탑
후기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70596525
건축가 승효상의『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출간 1주념 기념 특강
▲ 클릭 영상보기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박노해
시간은 모든 것을 쓸어가는 비바람
젋은 미인의 살결도 젊은 열정의 가슴도
무자비하게 슬어내리는 심판자이지만
시간은 아름다움을 빚어내는 거장의 손길
하늘은 자신이 특별히 사랑하는 자를
시련의 시간을 통해 단련시키듯
시간을 견뎌낸 것들은 빛나는 얼굴이 살아있다.
오랜 시간을 순명하며 살아나온 것
시류를 거슬러 정직하게 낡아진 것
낡아짐으로 꾸준히 새로워지는 것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저기 낡은 벽돌과 갈라진 시멘트는
어디선가 날아온 풀씨와 이끼의 집이 되고
빛바래고 삭아진 저 플라스틱마저
은은한 색감으로 깊어지고 있다.
해와 달의 손길로 닦아지고
비바람과 눈보라가 쓸어내려준
순해지고 겸손해지고 깊어진 것들은
자기 안의 숨은 얼굴을 드러내는
치열한 묵언정진 중
자기 시대의 풍상을 온몸에 새겨가며
옳은 길을 오래오래 걸어나가는 사람
숱한 시련과 고군분투를 통해
걷다가 쓰러져 새로운 꿈이 되는 사람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출처] 승효상,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
승효상 저서
도큐먼트-열화당 |2016.11.10
서문
수졸당
수백당
웰콤 시티
대전대학교 혜화문화관
베이징 장성호텔 클럽하우스
파주출판도시
한국예술종합학교 마스터플랜
보아오 캐널빌리지
노헌
닥터박 갤러리
쇳대박물관
휴맥스 빌리지
차오웨이 소호
대전대학교 천안한방병원
디엠지 평화생명동산
구덕교회
조계종 전통불교문화원
추사관
대장골 주거단지 계획
베이징 첸먼다제 역사지구보존재개발계획
교보파주센터
대전대학교 삼십 주년 기념관
제문헌
모헌
노무현 대통령 묘역
신동엽문학관
삼백육십도 지수화풍 골프클럽하우스
삼양화학 사옥
퇴촌주택
롯데아트빌라스
차의과학대학교 기숙사
핑두주택문화관
현암
명필름 파주사옥
디자인비따
논산주택
명례성지
이로재 건축 연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025820
『빈자의 미학』(1996) , 느린걸음 | 2016.10.15

『지혜의 도시 / 지혜의 건축』(1999),
『건축, 사유의 기호』(2004),
『지문』(2009),
『노무현의 무덤, 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2010),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2012)
보이지 않는 건축, 움직이는 도시 2016.10.10
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91418226
====================================
http://cafe.daum.net/chorusnculture/QZlV/206
Chorus Culture Korea 코러스 컬처코리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