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 시간여행 코스

장미 갤러리
일제 강점기에는 용도나 기능을 확인할 수 없는 건물이나 1945년 해방 이후에는 위락 시설로 사용하였다.

군산근대미술관(구. 일본 18은행)
일본 나가사끼에 본사를 두었고 일본으로 미곡을 반출하고 토지를 강매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금고

최만식 소설 '탁류'의 주인공 김주사와 두 딸 초봉과 계봉
식민지 시대의 혼탁한 물결에 휩쓸려 무너지는 한 가족과 그 주변 인물들의 얽히고 설킨 삶의 모습, 시대와 사회에 얽혀 타락해 가는 인간의 모습, 부조리에 가득한 삶의 모습을 그려 낸 소설이다.

은행원 고태수
겉보기에는 잘나가는 은행원이지만 실은 공금을 횡령해 미두와 주색을 탐닉하는 난봉꾼이다.

'봄은 온다 '(나상옥 작품)
수탈의 상징인 부잔교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거주했던 토막집에 살던 빈민층의 모습을 모티브로 한 작품으로 시름에 잠긴 부모의 손을 잡고 위로하는 모습에서 민족혼을 불러일으키는 희망과 열망을 표현하고 있다.

곱사등 장형보
형보는 간악한 인물로 태수를 간계에 빠뜨린 다음 초봉을 차지할 꾀를 꾸민다.

남승재
금오병원 조수로 근무하는 가난한 의사 지망생으로 마음이 착해 돈없는 사람을 무료로
치료해 주고 야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한다.

미즈 카페
이 일대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쌀 수탈의 거점이 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인들이 무역회사와 상업시설이 독점하는 거리가 되었다. 미즈카페 역시 1930년대 건립되어 무역회사로 사용되었던 건축물이었다.

(구) 군산세관 본관
1908년 6월에 대한제국 예산으로 지어진 유럽 양식의 근대문화유산 건물이다.

신흥동 일본식 가옥 구조
영화 타짜의 촬영장소로 유명하다.

군산 신흥동 일본식 가옥
일본인 히로쓰가 건축한 전형적인 일본가옥으로 건립 당시의 모습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현관

일본식 다다미방이다.

마당

동국사
개항 후 일본 조동종 사찰인 금강사로 건립 되었으나, 광복 후 조계종 사찰 동국사로 변경
하였다.

대웅전
대웅전은 정면 5칸 측면 5칸, 정방형 단층 팔작지붕 홑처마 형식의 에도시대 건축양식으로 외관이 화려하지 않으며 소박한 느낌을 준다. 지방물매는 75도의 급경사를 이루고, 건물외벽에 미서기문이 많으며, 용마루는 일직선으로 전통한옥과는 대조를 이룬다.

요사채 내부
승려들이 거처하는 공간인 요사는 몸채를 퇴간으로 둘러싸는 일본 전통 양식이고, 법당과
요사가 연결되어 있다.

대웅전 옆 요사채
동국사에 쓰인 목재는 모두 일본에서 들어 온 쓰기목(일본 향나무종)이다.

소조석가여래삼존상
소조 석가여래 삼존 불상은 동국사에 봉안된 불상으로 본래 1650년에 제작되어 금산사 대장전에 있었으나 일제 강점기에 금산사에서 현재의 동국사로 옮겨지게 되었으며,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각 좌, 우측에 가섭존자, 아난존자가 위치하고 있는데, 자연스러운 자세와 생동감 있는 표정이 특징적이다.

범종각과 범종
범종각에 걸린 범종도 지면과 거의 맞닿아 있는 한국의 범종과는 달리 종각 지붕에 높다랗게 매달려 있어 특이하다. 범종각 앞에 늘어선 석불상에선 주술과 밀교성격이 강한 일본 불교가 그대로 읽혀진다.


군산 평화의 소녀상



동국사 절 마당에 있는 까페 안 소품들이 너무나 아기자기하다.

즐거운 하루 / 김형섭
이 곳은 과거 군산의 대표 기업인 백화 양조가 있었던 곳이라고 한다. 양주병 위에 서 있는
여학생 모습이 즐거워 보인다.

월명동 물장수
예로부터 군산시 월명동 지역은 시민들이 마시는 물이 귀하기로 유명하였는데, 특히 일제 강점기에는 물장수들이 물을 지게로 날라 팔았다고 한다.

군산 경암동 철길 마을
군산 경암동 철길마을은 ‘진포 사거리’에서 ‘연안 사거리’로 이어지는 철길 약 400m 구간을 말한다. 철길 한쪽에는 70년대에 건축한 낡은 2층집들이 다닥다닥 붙어있고 다른 한쪽에는 부속 건물인 듯한 작은 창고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 시절의 철길과 침목이 그 모습 그대로 있다.

기찻길에는 낭만을 넘어서는 그림움, 작별, 만남 등의 특별한 정서가 흐른다. 이 기찻길 역시 근대의 역사와 아픔을 넘어선 설움이 깃든 곳이 아닐런지. . .

기찻길 벽 면에는 여지없이 벽화가 그려져 있다.


벽화에 낙서가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기찻길 양쪽으로 늘어서 집들이 대조적이다.


기찻길 양쪽으로 들어선 예쁜 상점들이 우리의 발길을 잡는을 정도로 아기자기하다.


우리들의 어릴적 신발이었던 고무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