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물 부족국가
스웨덴의 물 전문가 '폴켄마르크'는 한 사람이 일년 동안 소비하는 식량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약 1,100톤)과 생활용수를 고려하여 연간 1인당 가용 수량이 1,000톤 이하를 물기근 국가로, 1,700톤 이하를 물부족 국가로 분류하 였다. 유엔은 1993년 이 기준에 따라 18개 국가를 물기근 국가, 9개 국가를 물부족 국가로 분류하였다.
물부족 국가에 포함된 우리나라는 나머 지 26개 국가와 매우 다른 특성을 가지 고 있다. 나머지 국가들의 대부분은 중 동이나 북아프리카에 위치하여 원래 강우가 풍부하다는 것이다.그래서 우리 는 장마철에는 물이 넘쳐 난리를 격고 가믐에는 물 한방울이 아쉬운 세계 유일 의 이상한 물 부족 국가가 되어있다.
우리나라가 믈부족 국가가 된것은 기후 와 지형때문이다. 건조한 대륙성 기류와 습한 해양성 기류가 교차하는 한반도에 서 극심한 가믐과 홍수가 반복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서양보다 200년이 나 세계 최초로 측우기를 발명하기도 했다.
뿐마 아니라 한반도에는 자연호가 전무 하기 때문에 장마에 집중되는 비를 모아 둘 물그릇이 없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까지 인공호를 만들었지만, 만든 물그릇 (다목적 댐,과 생공용수 댐, 하구 댐)을 모두 합해도 130억톤 정도이다.
그러나 우리와 기후조건이 비슷한 이웃 나라들은 사정이 다르다. 일본열도가 만들어질때 형성된 자연호 인 '비와호' 하나의 용량이 275억톤이며 중국의 '동정호'도 178억톤이나된다. -이하 생략-
우리의 물관리는 부실하기 짝이 없다. 홍수가 나면 제방이나 쌓고 가믐이 오면 양수기로 지하수나 뽑아쓰고 있다. 물이 넘칠 때 모아두었다 부족할 때 방류 할 수 있는 물그릇을 만들고 급수와 배수 가 원할하도록 하천과 수로를 정비해야 한다. 집중 폭우와 극심한 가믐에서도 견딜 수 있는 물관리 대책이 국토의 모든 수계에 마련돼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