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현대철학 용어사전
결단주의 ( 決斷主義 〔독〕 Dezisionismus ) |
|||
독일의 공법학자 K. 슈미트가 사용한 법철학적 용어. 《법학적 사고의 3종류에 관하여(1934)》란 책에서 논한 법제정주의(法制定主義)·결단주의·구체적 질서 및 형성주의라는 3종류의 법학적 사고 중의 하나이다. 그에 의하면 결단주의란 주권적 결단의사가 일체의 규범... |
과학적경험주의 ( 科學的經驗主義 ) | |||
빈학단 및 이와 가까운 관계였던 베를린학파의 H. 라이헨바흐, 영국의 A.J. 에이어 등의 사상을 가리키는 말. 빈학단이 해산된 뒤 비트겐슈타인이 인공언어보다도 일상언어를 중히 여기게 된 뒤로는 예전의 논리실증주의자의 사상도 크게 변한 경우가 많다. 이 변화 뒤의... |
구조주의 ( 構造主義 〔프〕 structuralisme ) | |||
1960년대 이후 프랑스에서 일어난 현대 사상의 한 조류. 프랑스의 문화인류학자 C. 레비 스트로스는 F. 소쉬르 이래 옐므슬레브 등의 코펜하겐학파나 야콥슨 등의 프라하언어학파에서 전개된 구조언어학이라든지 수학·정보이론 등을 배우면서, 미개사회의 친족조직과 신... |
권력인 ( 權力人 [독] Machtmensch ) | |||
부(富)·존경·지식 등의 여러 가지 가치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권력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 그 자체의 획득을 목적으로 자기 자신이 완전히 권력의 도구가 되어 있는 인간. 독일의 철학자 E. 슈프랑거가 그의 저서 《생의 여러 형태(Lebensformen, 1914)》에... |
극장의 우상 ( 劇場-偶像 〔독〕 idola theatri ) | |||
자기 자신의 사색(思索)에 의하지 않고, 권위나 전통에 의지하려고 하는 편견. F. 베이컨은 종래 사상가의 교설(敎說)은 사물(事物)이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모습과는 다른 사물을 가르치고 있으므로 그것을 일종의 요술이라 하고, 극장의 무대 위에서 사실처럼 보이려는... |
극한상황 ( 極限狀況 extreme situation ) | |||
더 이상 어쩔 수 없도록 극도에 도달한 상황. 인간은 물리적·사회적 환경에 대한 적응행동에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가 소속하는 사회의 체계화된 수단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적응수단이 전혀 효과가 없게 되는 환경이 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 |
근거율 ( 根據律 principle of sufficient reason ) | |||
충족(充足) 근거리 원리. 충족이유율·이유율이라고도 한다. 모순율과 함께 2대원리로서 G.W. 라이프니츠에 의해 제창되었는데, <어떠한 것도 근거가 없는 것은 없다>라는 형태로 표현된다. 그 뜻하는 바는 <하나의 사물이 존재하고, 한 사건이 일어나고, 하나의 진리... |
근본악 ( 根本惡 〔독〕 Radikalb
![]() |
|||
I. 칸트의 용어. 자연상태에 놓인 인간은 항상 자각하고 있는 도덕법을 물리치고 감각적인 충동에 따르려고 하는 태어날 때부터의 경향(der ursprngliche Hang)을 가지고 있는데, 칸트는 이 경향을 인간의 근본악이라고 했다. 이것은 선천적으로 인간의 본성 안에 있는 것... |
근원의 판단 ( 根源-判斷 〔독〕 Urteil des Ursprungs ) | |||
H. 코헨의 용어. 그는 직관과 사고(思考)의 I. 칸트(Kant)적 2원성(二元性)을 더 발전시켜 순수사고의 1원성으로 근원적 논리학(根源的論理學;Logik des Ursprungs) 기초를 세웠는데, 여기서 사유(思惟)법칙의 판단으로서의 무(無;nichts)의 판단이 근원의 판단이다. 무(... |
근원철학 ( 根源哲學 elemental philosophy ) | |||
독일의 철학자 K.L. 라인홀트의 철학. 그는 I. 칸트 철학에서의 2원성 곧 감성(感性)과 오성(悟性)의 서로 용납되지 않는 대립을 양자에 공통된 하나의 근원에서 화해시켜 파생(派生)시키려 했다. 즉 I. 칸트에 있어서는 인식의 근거로서 그 이상 해명되지 않는 것을 하나... |
근원현상 ( 根源現象 〔독〕 Urph
![]() |
|||
J.W.괴테의 용어. 다양한 현상 속에 일관되어 있는 필연적 관련. 기초경험(Grunderfahrung)과 마찬가지로 직접으로 이성(理性) 밑에 있으며 관념적으로는 인식할 수 없다. 자연탐구자·철학자·예술가는 모두 이 근원현상을 직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이것은 인간이 ... |
기저부여 ( 基底附與 〔독〕 Fundierung ) | |||
대상론(對象論) 및 현상학(現象學)의 용어. 저초(底礎)라고도 번역된다. 2개의 대상 a·b의 관계 c는 a·b를 기초로 하여 생각되는 차원(次元)을 달리하는 고차(高次) 대상이고, a·b는 c를 기저부여하고 있고, c는 a·b에 의하여 기저부여되고 있다고 말한다. 복합이면 ... |
논리실증주의 ( 論理實證主義 logical positivism ) | |||
빈학단 및 이와 가까운 관계였던 베를린학파의 H. 라이헨바흐, 영국의 A.J. 에이어 등의 사상을 가리키는 말. 빈학단이 해산된 뒤 비트겐슈타인이 인공언어보다도 일상언어를 중히 여기게 된 뒤로는 예전의 논리실증주의자의 사상도 크게 변한 경우가 많다. 이 변화 뒤의... |
논리철학논고 ( 論理哲學論考 Logisch-philosophische Abhandlung ) | |||
L. 비트겐슈타인의 전기철학(前期哲學)을 대표하는 저작. 1921년에 간행되었다. 영역(英譯)은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1922)》. 체계적으로 번호를 붙인 아포리즘(格言;aphorism)의 집적이라는 스타일로 씌어 있다. 표제가 나타내듯이 주제는 논리학의 철학인데... |
논리학연구 ( 論理學硏究 Logische Untersuchungen ) | |||
현상학(現象學)의 탄생을 알린 E. 후설의 기념비적 저작. 제 1 권 《순수논리학서설》은 1900년에 6편의 논문으로 된 제 2 권 《인식의 현상학과 인식론을 위한 여러 연구》는 1901년에 공간(公刊)되었다. 또 1권과 2권 중의 제1∼5연구의 개정증보판은 13년에, 2권 제 6... |
니체 ( Nietzsche ) | |||
1) 독일 시인 E. 베르트람의 저서. 1918년 간행. 부제는 <한 신화의 시도>. 고대 그리스의 영웅 신화나 중세의 성자 전설의 성립과 마찬가지로, 현대에서도 사적(史的) 사건 및 인물에 관한 지식 가운데 가장 본질적인 부분은 전설이라고 주장하면서, 니체의 모순에 찬... |
다원주의 ( 多元主義 pluralism ) | |||
다른 모든 가치들 위에 군림하는 특정가치, 중심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저마다의 다양한 가치가 인간 삶의 본질이라고 보는 철학방법론. 고대 그리스의 소피스트들은 인간이 만물의 척도라고 주장했다. 가치문제는 주관적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다원주의는 다... |
도구주의 ( 道具主義 ) | |||
미국의 대표적 철학. 관념이나 사상을 행위(行爲, pragma)와의 관련에서 파악하는 입장이다. 1870년대에 C.S. 퍼스가 주창하고 19세기 말에 W. 제임스가 전세계에 퍼뜨렸다. 20세기 전반에 G.H. 미드와 J. 듀이가 사회철학 및 교육학 분야에서 발전시켰고, 20세기 후반 W... |
레비나스 ( Emmanuel L
![]() |
|||
리투아니아 출생의 유대인계 프랑스 철학자. 유년시절부터 헤브라이어 성서학을 배웠으며 러시아문학을 즐겨 읽었다. 리투아니아 혁명을 경험한 뒤 프랑스에서 철학을 연구했다. 모리스 블랑쇼와 친교를 맺고, 하이데거가 있던 학교에서 유학한 뒤 완성된 박사논문 《후설... |
매체철학 ( 媒體哲學 media philosophy ) | |||
‘정보양식’개념으로 정보화시대의 분석을 시도한 철학이론. 인터넷을 비롯한 뉴미디어의 대대적 개발과 확산이 현대사회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재편성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이제까지 중시해온 철학적 개념들로는 매체의 시대 장악력에 의해 급변하는 현대... |
비판 ( 批判 criticism ) | |||
보통 <비평>과 같이 인간의 행위 또는 작품의 가치를 판정하는 일. <비판>에 대해 철학용어로서 중요하고 명확한 의미를 부여한 사람은 I. 칸트이다. 그는 인간작품의 지적·미적·도덕적인 가치를 객관적으로 판정한다는 재래의 일반적 용법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보... |
비판적실재론 ( 枇判的實在論 critical realism ) | |||
철학용어. 19세기의 관념론적 경향에 대하여 19세기 말엽부터 20세기에 걸쳐 대두한 실재론적 경향을 말한다. 독일의 A. 릴 등과 영국의 스코틀랜드상식학파·케임브리지분석학파 등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비판적 실재론 논집(1920)》을 공동연구의 성과로서 발간한 7... |
비평 ( 批評 criticism ) | |||
사물의 좋은 점이나 나쁜 점을 들어 그 가치를 검토·평가하는 일. 좁은 뜻으로 예술비평, 특히 문예비평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나, 넓은 뜻으로는 정치·경제·과학·스포츠에서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영위하는 모든 것을 대상으로 삼는다. 이것을 문장화한 것... |
비합리주의 ( 非合理主義 irrationalism ) | |||
합리주의와 대립되는 갖가지 사상적 입장. 극단적인 합리주의적 체계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18세기에는 순수한 사유밖에 믿지 않았던 데카르트주의에 반대해서 감각과 감정의 복권을 목표로 하는 입장이 나타났다. E.B. 콩디야크의 감각주의... |
빈학단 ( -學團 Wiener Kreis ) | |||
1924년 무렵부터 빈대학 철학교수 M. 슐리크를 중심으로 하여 형성된 철학자·과학자의 한 그룹. 1920년대 말 당시 베를린에 있던 철학자 H. 라이헨바흐 등과 호응하여 의식적으로 하나의 철학상의 그룹을 형성하여 출판, 국제회의 개최 등으로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 |
신스콜라철학 ( 新-哲學 ) | |||
현대에 중세 스콜라철학 정신을 재흥시키고자 가톨릭교회 내에서 일어난 철학운동의 총칭. 이성의 진리와 신앙의 진리는 유일한 신적진리의 원천에서 나온 것으로 신앙은 이성을 전제로 하여 이것을 완성하는 것이라는 종합적 관점에서, 신앙의 기초로서 이성적 진리를 연... |
신스피노자설 ( 新-說 neo-Spinozism ) | |||
F.W.J. 셸링과 G.W.F. 헤겔의 동일설적 입장을 가리키는 말. 때에 따라서는 G.T. 페히너나 W. 분트의 설을 말하기도 한다. 셸링과 헤겔은 정신과 자연을 동일실재(同一實在)의 두 방면이라 하였는데, 특히 헤겔이 절대정신으로부터의 논리적이고, 필연적인 전개로 세계를... |
신헤겔주의 ( 新-主義 Neo-Hegelianism ) | |||
헤겔철학의 영향을 받은 현대 철학. 독일관념론의 완성자 G.F.W. 헤겔의 절대적·체계적 철학을 따르는 헤겔학파는 헤겔이 죽은 후 자연과학의 발달, 사회문제의 발생에 따른 실증론(實證論) 및 유물론과 헤겔좌파(左派)에게 철저한 비판을 받아 급속도로 무너졌다. 그러... |
야생의 사고 ( 野生-思考 La pens
![]() |
|||
프랑스 인류학자 C. 레비 스트로스의 저서. 1962년에 발간되자마자 많은 논의를 불러일으켜, 현대 서유럽 사상사의 획기적인 <구조주의> 시대를 열었다. 이 책에서 그는, 토테미즘 등에서 볼 수 있는 미개인의 심성(心性)과 사고를 근대과학적 사고와는 다른 비합리적인... |
양상 ( 樣相 modality ) | |||
철학 용어. 사물과 사건이 존재 또는 발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양태(樣態)와 거의 같은 뜻이다. 기본적인 양상개념에는 존재양상(全稱·特稱)·진리양상(필연적·가능적)·규범양상(의무적·허가적)·인식양상(알려져 있다, 그렇지 않다)·시간양상... |
언어분석 ( 言語分析 linguistic analysis ) | |||
언어과학을 통해 언어를 일반적인 사회현상으로서 분석적으로 탐구하는 철학의 한 방법. 해결하여야 할 철학적 문제를 표현하는 명제 또는 그 문제에서 중요한 사례가 되는 명제에 관해 그 뜻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문제를 해결 또는 해소하는 방법이다. 20세기 영·미 철... |
역본설 ( 力本說 dynamism ) | |||
철학 용어. 자연계의 근원은 힘이며 힘이 물질·운동·존재·공간 등 일체의 원리라고 주장하는 설이다. 기계론(機械論)에 대립되는 견해이다. 다이너미즘이라고 하며, 역동설(力動說)로도 번역된다. 사물의 원리 가운데 질량과 거리 관계에 있어서 운동으로는 환원되지 ... |
역사철학 ( 歷史哲學 philosophy of history ) | |||
역사를 철학적으로 고찰하는 학문. 예전에는 A.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의 나라(5세기초)》에서 시작되었다고 보았으나 역사철학이라는 용어가 18세기 중엽에 볼테르의 《일반 역사고찰(1756)》에서 처음 쓰임으로써,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역사철학은 18세기 후반 이후에 ... |
절차주의 ( 節次主義 proceduralism ) | |||
정당한 절차가 결과나 내용의 정당성을 담보한다고 보는 철학방법론. 절차주의는 현대자유주의 정치철학의 대부로 알려진 존 롤스(John Rawls)가 1971년 ‘사회정의론(A Theory of Justice)’을 발표하면서 널리 알려진 철학방법론이다. 절차주의는 사회계약론에서 유래한... |
존재와 시간 ( 存在-時間 Sein und Zeit ) | |||
독일 실존철학자 M. 하이데거의 저서. 1927년 간행되었다. 주제와 방법에 관한 서론에 이어 <현존재에 대한 예비적 기초분석>과 <현존재와 시간성>이라는 2부분으로 엮어졌다. 앞 부분에서는 인간, 현존재의 근본구조가 <세계내존재(世界內存在)>라는 것을 밝혀내고... |
탈구축 ( 脫構築 deconstruction ) | |||
자크 데리다의 사상과, 그 영향을 받으면서 철학·문학비평·정치론 등의 영역에서 전개한 일련의 사상 내지는 텍스트해독의 실천을 의미함. 데리다가 철학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후반부터로 《문자학에 대하여》와 같은 초기 저작에는 비교적 직관에서... |
테제 ( 〔독〕These ) | |||
정립(定立) 또는 정립된 명제를 뜻하는 철학용어. 조정(措定)이라고도 한다. 어떤 사물을 그 사물 자체로서 세우는 것, 사태와 대상의 존재를 일차적으로 상정하거나 긍정하는 것을 말한다. 좁은뜻으로는 어떤 명제를 증명 없이 직접 주장하는 사고의 작용, 또는 그렇게 ... |
포스트구조주의 ( post-structuralism ) | |||
1960년대 후반부터 80년대에 걸쳐 파리를 중심으로 지식인서클 내에서 전개된 사상동향. 독일에서는 네오구조주의 또는 프랑스파로 불리기도 한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데리다나 푸코와 같은 철학자, 비평가 바르트, 사회학자 보드리야르, 크리스테바나 라캉 같은 정신분석... |
헤겔학파 ( -學派 Hegelian ) | |||
헤겔철학의 계승자·연구자·비판자를 통틀어 일컫는 호칭. G.W.F. 헤겔은 1827년 베를린에 거주하면서 주위에 모여든 철학자·신학자를 중심으로 <학문적 비판협회>를 만들었다. 이 단체는 철학이 절대자의 인식에 봉사한다는 철학관에 바탕을 두고 하나의 학파를 형성... |
첫댓글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