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화삼(玩花衫)
-목월(木月)에게
조지훈
차운산 바위 위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울움 운다.
구름 흘러가는
물길은 칠백 리(七百里)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라.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가노니......
(『상아탑』 5호, 1946. 4)
[작품해설]
이 시는 목월의 「나그네」를 탄생시키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작품이다. 화자는 스스로 나그네가 되어 암담한 현실 속에서 달랠 길 없는 민족이 정한을 탄식과 체념이 담긴 낭만적 시정(詩情)으로 노래하고 있다. 여기서 시제 ‘완화삼’은 ‘꽃을 보고 즐기는 선비’를 의미한다.
일제 치하라는 비극적인 현실 상황을 상징하는 ‘차운산 바위’에 존재하는 화자는 ‘하늘’과 같은 이상을 꿈꾸어 보지만, ‘산새’로 표상된 화자는 ‘하늘’을 바라보며 구슬피 울고 있을 수밖에 없다. 이상 세계에 도달할 수 없다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정처 없는 나그네가 된 그는 ‘칠백 리 물길’을 따라 긴 유랑길을 떠나게 된다. 그 유랑길의 한 여정인 어느 강마을에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이르렀을 때, 마침 술 익는 냄새와 함께 서산에선 붉은 노을이 물들고 있다.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라는 시행은 나그네와 꽃, 곧 시인과 자연이 합일된 경지이자, 이 시의 제못을 ‘완화삼’이라 한 이유를 알게 해 준다. ‘완화삼’이란 본디 ‘꽃무늬 적삼을 즐긴다’는 뜻으로 이 시행의 ‘소매 꽃잎에 젖어’ 있는 것 같은 무념무상의 경지를 표상한다. 그런 다음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 자연에 동화되어 하염없는 나그네 길을 다시 떠나는 그는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 꽃은 지리라.’며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와 같은 애상감에 젖는 것이다. 이것은 고려 말 이조년(李兆年)의 시조 「다정가(多情歌)」의 ‘다정도 병인 양하여’와 상통하는 정서이다. 이처럼 이 시는, 세족적인 집착과 속박에서 벗어나 구름처럼 흘러가는 나그네의 고독과 무상감이 7·5조 3음보격의 전통작 가락 속에 잘 드러난다. 또한 이러한 가락이 낭만적 분위기, 감각적 이미지의 시어와 함께 간결한 시행 구조에 완전히 옹해됨으로써 전통작 서정시의 전형을 보여 준다.
[작가소개]
조지훈(趙芝薰)
본명 : 조동탁
1920년 경상북도 영양 출생
1939년 『문장』에 「고풍의상(古風衣裳)」, 「승무(僧舞)」, 「봉황수(鳳凰愁)」 등이 추천되어 등단
1941년 혜화전문학교 문과 졸업. 오대산 월정사 불교 전문 강원 강사
1946년 조선청년문학가 협회 조직
1947년 고려대학교 교수
1950년 문총구국대 기획위원장
1968년 한국시인협회장
196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