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반도체 업종 이슈]
2019년 6월의 기시감(旣視感) 느껴지는 시안 봉쇄
하나금융투자 반도체 애널리스트
김경민, 변운지
12월 29일, Western Digital과 Micron의 주가는 전일 대비 각각 5.24%, 3.48% 상승했다. 삼성전자의 중국 시안 반도체 사업장에서 코로나 확산세가 지속됨에 따라, 생산설비의 탄력적 조정을 진행 중이라는 삼성전자 측의 발표 때문이다.
이러한 소식은 NAND Flash 업종의 호재로 받아들여지며, Western Digital과 Micron의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Western Digital의 주가 상승률이 Micron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던 이유는 Western Digital의 매출에서 NAND Flash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가장 최근에 메모리 반도체 업종에서 천재지변이나 갑작스러운 이벤트로 인해 생산설비의 가동률 조정이 대규모로 발생했던 시기는 2019년 6월 15일이다. 당시에 NAND Flash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고 있던 Toshiba Memory Corporation(Kioxia)에서 전원공급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2019년 9월까지 웨이터 출하가 제한적이었다. 무역 분쟁 직후, 공급 과잉 상황이던 NAND Flash 산업은 정전 사고 이후 과잉 재고가 정리되는 수혜를 입었다.
2019년 6월 15일 이후 NAND Flash 업종의 시총은 어땠을까? 정전 사건의 당사자였던 Toshiba Memory Corporation(Kioxia)은 비상장기업이라 기업가치가 어떻게 변했는지 추적하기 힘들지만, 동종 업종의 Western Digital, Micron, SK하이닉스, 삼성전자, Silicon Motion의 시총은 6월 15일 정전 직후부터 상승하기 시작해, 그다음 해인 2020년 1월 말에 우한 폐렴이 발발하기 전까지 유의미하게 올라갔다. (본문 그림 3 참고)
정전 사건을 계기로 공급 과잉이 빠르게 해소됐다. 반도체 시장 조사 기관 DRAMeXchange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공급 과잉률은 정전 사건 직전인 2019년 2분기에 +1.6%였는데(수요 대비 공급이 많았다는 의미) 정전 사건 이후인 2019년 3분기에 -8.5%까지 내려가며 공급 부족 상태로 빠르게 바뀌었다.
공급 부족 상태에서 NAND Flash 공급사의 위상은 올라간다. 어버이날에 카네이션을 사려는 수요보다 꽃의 공급이 부족해 카네이션이 귀하신 몸이 되는 것과 유사한 상황이다.
2019년 6월 15일에 정전이 발생했던 Toshiba Memory Corporation(Kioxia)의 NAND Flash 생산설비는 500K/월 규모로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생산설비였다. 삼성전자 중국 시안 반도체 사업장의 NAND Flash 생산능력은 260K/월 수준이다. 전 세계 NAND Flash 생산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로 적지 않다. (본문 그림 1, 2 참고)
2022년 1분기와 2분기에 중국 시안에서의 가동률 조정 영향으로 글로벌 NAND Flash 출하량이 종전 예상 대비 각각 6%, 2% 감소한다면 NAND Flash 업종은 공급 과잉 국면에 진입하지 않고 수급 균형을 6개월 동안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 (본문 그림 4, 5, 6 참고)
따라서 2019년 6월 15일의 정전 사건과 마찬가지로, 이번 시안 봉쇄와 삼성전자 생산설비의 탄력적 조정은 [1] NAND Flash 업종의 수급 균형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고, [2] NAND Flash 공급사의 주가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12월 21일 마이크론 실적 발표와 12월 22일 SK하이닉스의 인텔 NAND 사업 승인 소식 발표 이후 이미 한 차례 상향 조정된 목표주가 컨센서스가 다시 한번 상향 조정될만한 모멘텀이 발생했다고 판단된다.
https://www.hanaw.com/common/download/research/FileServer/WEB/global/industry/2021/12/30/Semi_Global_NAND.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