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일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양장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속옷도 근대 서구에서 유래된 이른 바 서구근대식 속옷으로 셔츠류와 팬티류를 기본적으로 입고 있다. 이와는 별도로 키모노 등 이른 바 [와후쿠]를
할 때에는 역시 이에 맞는 속옷을 갖춘다. 이 때 입는 속옷류는 다음과 같다.
일본의 속옷
일본인들이 즐겨 있는 속옷의 종류로는 장속옷, 반속옷,
피부속옷, 일본식 속곳, 훈도시 등이 있다.
● 장속옷
장 속옷은, 양복으로 치자면 와이셔츠에 해당된다. 키모노를
입었을 때 보이는 것은, 옷깃과 소맷부리 정도인데, 옛부터 남자의 키모노는 보이지 않는 곳에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 소재는 순백색 비단이나
지지미 등이 일반적이다.
● 반속옷
반속옷은 장속옷 대신에 이용하는 길이가 짧은 속옷으로,
매일 평상복으로써 일본식 옷을 입는 사람에게는 편리한 품목이다. 반속옷을 입을 때는, 본래는 일본식 속곳(속치마)과 편성해 장 속옷과 같이 해
입지만, 대부분은 남자용 속옷과 편성하도록 되어있다. 특히 하반신에 일본식 속곳을 붙이면 옷자락 중재가 잘되어 입는 기분도 좋다고 한다.
● 피부속옷
피부 속옷은 직접 맨살 위에 입는 속내의를 말한다. 양복의
속옷과는 달리 피부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일본식 옷을 입을 수 있고, 벗거나 입기도 간단하다. 피부 속옷은 키모노를 입을 때, 맨 밑에 입기
때문에 당연히 땀받이 역할도 수행한다. 이 땀받이 역할은 피부 속옷의 기능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다. 겨울에도 땀을 흘리기 때문에 보온을 위한
것뿐만 아니라, 땀으로 속옷이나 키모노를 손상시키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 주는 기능을 한다.
● 일본식 속곳
일본식 속곳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속치마이다. 일본식
속곳(속치마)이라고 하면, 여성 전용의 화장(和裝)속옷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되지만 남성용도 있다. 구조적으로는 여성용과 똑 같으며, 크기와
색깔에서 차이가 날 뿐이다. 일본식 속곳은 보통 반속옷과 편성해서 장 속옷 대신에 입는다.
● 훈도시
훈도시는 일본식 옷에 최적인 남성용 속옷이다. 훈도시는,
습기가 많은 일본 기후 풍토에 적절한 속옷이라할 수 있다. 그 기능성과 장착감은 다른 속옷에는 없는 독특한 장점이 있는데, 그것은 훈도시 종류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훈도시라 불리는 것에는 크게 3가지로 6척 훈도시, 엣츄우(越中) 훈도시, 망태 훈도시가 있다.
일본인을 연상할 때 춈마게 즉 일본식 상투머리, 게타와 함께 떠오르는 것이 바로 훈도시이다. 현재
일상생활에서 훈도시를 착용하고 다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그것이 지닌 장점들 때문에 새롭게 주목 받는 전통물 중의 하나로
떠오르고 있기도 하다. 일본적 의상문화 중 속옥의 상징이며 그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훈도시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
첫댓글 자료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