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의 마지막 밤(잊어진 계절) - 이용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 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 우리는 헤어졌지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 나를 울려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 나를 울려요 

박건호(朴建浩,1949.2.19 ~ 2007.12.9) 강원도 원주출생 1969년 서정주의 서문이 실린 시집 [영원의 디딤돌]을 펴냈으며, 1972년 박인희가 부른 가요 [모닥불]의 가사를 쓰면서 작사가로 데뷔하였다. 이후 작사가로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이수미가 부른 [내 곁에 있어주] 이용이 부른 [잊혀진 계절], 정수라가 부른 [아! 대한민국], 나미가 부른 [빙글빙글]과 [슬픈 인연], 조용필이 부른 [모나리자]등 대중의 사랑을 듬뿍 받은 가사를 지었다.모두 3000여 곡의 작품을 남겼으며, 1982년 KBS 가요대상의 작사상, 1985년 한국방송협회가 주최한 아름다운 노래 대상 1985년 국무총리 표창 등을 받았다. 대중음악 작사 이외에도 [타다가 남은 것들] [고독은 하나의 사치였다] [추억의 아랫목이 그립다] [기다림이야 천년이 간들 어떠랴] [그리 운 것은 오래전에 떠났다]등의 시집과 에세이집 [오선지 밖으로 튀어나온 이야기] 등의 저서를 겼다.1980년대 후반 이후 뇌졸중으로 언어장애와 손발이 마비되는 중풍을 앓았으며, 신장과 심장 수술을 받는 등 오랜 기간 투병하면서도 작품 활동을 하다가 2007년 12월 9일 사망하였다.

언제부터인가 10월이 되면 꼭 들어야하는 노래가 되어버렸다. '詩人'보다는 '作詞家'로 유명세를 치뤄왔던 박건호씨가 자신이 어떤 여자에게 실연당한 사연을 가사로 옮겼다고 전해지고 있다. 1980년 9월 비가 내리는 어느날 술을 잘 마시지 못하는 박건호씨 그가 소주 한병을 거의 다 비운 것은 그동안 만났던 여자와 헤어지기로 한 것이다. 언제부터인가 만나면 그녀가 부담스러워지기 시작할 무렵 그녀를 편안하게 보내기 위해서 오늘 이후 다시 는 만나지 않으리라 생각으로 일부러 더 취했다고 한다. 비틀거리는 박건호씨를 차에 태우며 그녀는 "이분 흑석동 종점에 내리게 해 주세요..." 라고 안내양에게 당부 했으나 그는 다음 정 거장에서 바로 내렸다."여긴 흑석동이 아니에요."안내양의 제지를 뿌리치고 버스가 오던 길로 내 달렸고 동대문에서 창신동으로 가는 중간 지점 쯤에서 우산을 쓰고 걸어가는 그녀의 뒷모습이 보이자 급하게 뛰어온 그는 숨도 고르지 않은채 그녀 앞으로 달려가서 "정아씨! 사랑해요."그 한마디를 던지고 동대문 방향쪽 오던 길로 다시 뛰어갔고 그것이 그녀와의 마지막 작별이었다고 한다. 
▲ 젊은날의 시인,작사가 박건호 대한민국 최고의 작사가 박건호(朴建浩)시인 [1949.2.19 ~ 2007.12.9] 1949년 2월 19일 강원도 원주에서 태생. 1969년 서정주의 서문이 실린 시집 <영원의 디딤돌>을 펴냈으며,
1972년 박인희가 부른 가요 <모닥불>의 가사를 쓰면서 작사가로 데뷔하였다. 이후 작사가로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이수미의 <내 곁에 있어주> 이용의 <잊혀진 계절>, 정수라의 <아! 대한민국>, 나미의 <빙글빙글>과 <슬픈 인연>, 조용필의 <모나리자>등 대중의 사랑을 듬뿍 받은 가사를 지었다. 모두 3000여 곡의 작품을 남겼으며, 1982년 KBS 가요대상의 작사상, 1985년 한국방송협회가 주최한 아름다운 노래 대상,1985년 국무총리 표창 등을 받았다. 대중음악 작사 이외에도 <타다가 남은 것들> , <고독은 하나의 사치였다> <추억의 아랫목이 그립다>
<기다림이야 천년이 간들 어떠랴> <그리운 것은 오래전에 떠났다>등의 시집과 에세이집 <오선지 밖으로 튀어나온 이야기>등의 저서를 겼다. 1980년대 후반 이후 뇌졸중으로 언어장애와 손발이 마비되는 중풍을 앓았으며,
신장과 심장수술을 받는 등 오랜 기간 투병하면서도 작품 활동을 하다가 2007년 12월 9일 사망하였다. 
▲ 시인 박건호 시인이 직접 노랫말을 쓰니 어찌 노래가 아름답지 않을 수 있는가... 박건호 시인의 가요 발표작품 모닥불 (박건호 작사, 박인희 작사·노래) 잊혀진 계절(박건호 작사, 이범희 작곡, 이용 노래) 아! 대한민국(박건호 작사, 김재일 작곡, 정수라 노래) 단발머리(박건호 작사, 조용필 작곡·노래) 슬픈 인연(박건호 작사, 宇崎龍董 작곡, 나미·공일오비 노래) 풀잎이슬(박건호 작사, 김희갑 작곡, 정수라 노래) 그대는 나의 인생(박건호 작사, 김희갑 작곡, 한울타리 노래) 어느 소녀의 사랑 이야기(박건호 작사, 이범희 작곡, 민해경 노래) 무정부르스(박건호 작사, 김영광 작곡, 강승모 노래) 눈물의 파티(박건호 작사, 이범희 작곡, 조용필 노래) 우린 너무 쉽게 헤어졌어요(박건호 작사, 김희갑 작곡, 최진희 노래) 당신도 울고 있네요(박건호 작사, 최종혁 작곡, 김종찬 노래) 이 거리를 생각하세요(박건호 작사, 오동식 작곡, 장은아 노래) 보이네(박건호 작사, 김명곤 작곡, 나미 노래) 빙글빙글(박건호 작사, 김명곤 작곡, 나미 노래) 찰랑찰랑(박건호 작사, 이호섭 작곡, 이자연 노래) 바람이었나(박건호 작사, 방기남 작곡, 정수라 노래) 새끼 손가락(박건호 작사, 최주호 작곡, 정종숙 노래) 내 곁에 있어주(박건호 작사, 김영광 작곡, 이수미 노래) 토요일은 밤이 좋아(박건호 작사, 이호준 작곡, 김종찬 노래) 환희(박건호 작사, 김명곤 작곡, 정수라 노래) 빈 의자(박건호 작사, 최종혁 작곡, 장재남 노래) 연인들의 이야기(박건호 작사, 계동균 작곡, 임수정 노래) 아버지의 의자(박건호 작사, 김희갑 작곡, 정수라 노래) 인어 이야기(박건호 작사, 김기웅 작곡, 허림 노래) 기다리게 해놓고(박건호 작사, 장욱조 작곡, 방주연 노래) 고귀한 선물(박건호 작사, 오동식 작곡, 장은아 노래) 서울(박건호 작사, 이범희 작곡, 이용 노래) 모나리자(박건호 작사, 조용필 작곡·노래) 아베마리아(박건호 작사, 계동균 작곡, 김승덕 노래) 어젯밤 이야기(박건호 작사, 이호준 작곡, 소방차 노래) 구름 같은 인생(박건호 작사, 김영광 작곡, 이자연 노래) 외로워 마세요(박건호 작사, 김영광 작곡, 조용필 노래) 내 인생은 나의 것(박건호 작사, 방기남 작곡, 민해경 노래) 등 … 3천여 곡 발표 수상 경력 1975년 MBC 올해의 최고인기상 1982년 MBC 올해의 최고인기상 1982년 KBS 가요대상 작사 부문 수상 1982년 가톨릭 가요대상 1983년 KBS 제1회 가사대상 1984년 KBS 제2회 가사대상 1985년 PCI 집계 최다 방송상 1985년 ABU 가요제 그랑프리 1985년 LA 국제가요제 그랑프리 1985년 올림픽조직위원회, MBC 공동주최 <아침의 나라에서> 선정 1985년 국무총리 표창 1985년 제1회 한국방송협회 주최 아름다운 노래 대상 1986년 제2회 한국방송협회 주최 아름다운 노래 대상 1990년 최다 저작료 수입 표창( 한국음악저작권권협회) 1993년 대전 엑스포 노래 <우리는> 선정 1994년 5월 25일 신장이식수술 이후 본격적인 문단활동 시작 1999년 동계 아시아 경기대회 공식가요 <영원한 우정> 선정
숱한 히트곡의 작사가였지만 박건호는 예순을 넘기지 못하고 2007년 58세라는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뇌졸중과 심장마비로 오랜 투병을 하면서 "신이 만든 것은 모두 폐기처분됐고, 인간이 고쳐 만든 모자이크 인생"이라고 말할 정도로 투병생활은 처절했다. 나이가 들수록 '잊혀진 계절'도 좋지만 박건호의 서정이 돋보이는 '모닥불'이 생각나는 건 왜 일까. '인생은 연기 속에 재를 남기고 말없이 사라지는 모닥불 같은 것'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人生은 연기 속에 재를 남기고 말없이 사라지는 모닥불 같은 것.- 박건호 선생 작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