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성경 한자어 교육 연구
― 사복음서를 중심으로 ―
1. 서론
‘LA 밤하늘 수놓은 6만 명 한국어 떼창’, 2019년 5월 인터넷 뉴스 기사 제 목이다. 전 세계가 대한민국 때문에 뜨겁게 달아올랐다. 바로 아이돌 그룹 방탄소년단(BTS)이 ‘차세대 리더’라는 제목으로 미국 타임지 커버 장식을 한 이후, 온 세계에 한국어 학습에 대한 열풍이 불었다. 세계 언어의 1/3이 소멸되어 가는 중에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있다는 데에 자긍심을 갖는다.1)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 사회에도 외국인 이주민의 수가 계속 증가되고 있 다. 최근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 근로자, 결혼 이민자,유학생 등 237만 명의 외국인들이 한국 사회에서 함께 살고 있다. 이런 상 황에서 한국어 교육, 특히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어휘 교육의 중요 성이 대두돼 효과적인 어휘 교육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어 교육에서의 중등 어휘 교육은 어휘의 체계와 양상을 탐구하고 활용한다는 성취 기준을 목표로 삼지만2),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 고급반 어휘 교육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어휘는 물 론 사자성어, 시사용어, 전문어 등 자신의 관심 분야에 쓰이는 어휘를 사용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3)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들이 양적, 질적으로 풍부 한 어휘력을 가지고, 어휘의 사전 지식과 그 속에 내포된 의미를 파악하고,알고 있는 어휘를 맥락과 상황에 맞춰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학 습자가 상황과 문맥에 알맞은 어휘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어휘의 의미를 정 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휘의 의미를 미루어 짐작하게 되면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고, 추론이 성공한다 할지라도 정확한 의미를 모르기에 잠재적 오류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려면 무엇보다 어휘의 의 미 파악이 우선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한국어 어휘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어종(語種)으로서의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은 당연한 것이다.
한국어 교육에서 학자마다 한자 교육에 대한 방법이나 정도, 목표가 다 르지만 한자어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면 한국어 어휘를 보다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4) 이선중은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 하는 유학생의 경우 단계가 심화됨에 따라 한자어의 비중이 더욱 높아진다 고 했고5), 박덕유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유학 동안 가장 힘들고 어려운 점은 외로움이라고 했다.6) 따라서 낯선 땅에서 외롭고 힘든 시기에 신앙을 가지면 마음의 위로를 받으며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고는 학습자들의 신앙생활을 도우면서도 어휘력 향상 효과를 위한 성경 한자 어휘 교육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전무용7), 윤철희8) 외에는 성경 한자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본고는 현재 한국 교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개역개정성경에서 사복음서(四福音書)를 중심으로 나타난 한자어를 찾아 각 장별로 정리하고, 네 개의 복음서별 한자어 출현 빈도수와 서로 중복되는 한자어들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학습자들이 성경을 읽을 때 한자어의 의미를 효율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신앙의 성장 을 가져올 수 있도록 연상 마인드맵 활용과 의미 관계를 활용한 어휘 학습 방안을 고찰하였다.9)
1) 많은 언어들이 사라져가고 있는 가운데 절멸 위기에 놓인 언어의 보존, 연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국제하계언어학연구소(SIL International)가 발간하는 에스놀로그(Ethnologue)에 따르면 현재 생존하고 있는 언어는 141개 어족 7,106개라고 한다(www.ethnologue.com 참조).
2) 어휘에대해체계를세워탐구하고어휘의특성이나의미관계에따라어휘의양상을이해 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성취 기준을 설정하였다. 어휘의 체계는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와 같은 어종(語種)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74호 [별책5], 50.
3) 국립국어원,“표준한국어교육과정의어휘교수목표및내용”(2010),149,166-167.
4) 한국어교육에서한자교육연구로는최주열,“한자교육방법에관한고찰―외국인에대 한 한자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어 교육」 5 (1994), 145-174; 김중섭, “外國人을 위한 한 국어 漢字敎育 연구”, 「어문연구」 95 (1997), 95-113; 정승혜, “外國人을 위한 國語 漢字 敎育 硏究”,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8);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기초 한자어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12 (2001), 53-70; 강현 화, 김창구, “어휘력 신장을 위한 기본 한자어의 조어력 조사”, 「말」 25·26 (2001), 190-196;정유진,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 비교분석: 語彙를 中心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 육대학원, 2002); 한재영,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漢字敎育을 위한 기초적 연구: 非漢字文化 圈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문연구」 120 (2003); 문금현,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한자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 23 (2003), 13-35; 김지형,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기초한 자의 선정”, 「어문연구」 118 (2003), 377-402; 김정남, “한국어교육(韓國語敎育)에서 한자교 육(漢字敎育)의 위상과 방향”, 「어문연구」 33 (2005), 399-424; 오성애, “중국인(中國人) 한국 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韓國) 한자(漢字)와 한자어(漢字語) 교육(敎育)의 기초 연구”, 「새국어 교육」 79 (2008), 255-279; 박덕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어휘력 신장 연구(I) ― 한국어 漢字 및 漢字語를 중심으로 ―”, 「언어와 문화」 5:1 (2009) 등을 들 수 있다.
5) 이선중, “어원분석학적 접근을 활용한 한자어 교육 연구”, 「새국어교육」 112 (2017),214-216.
6) 박덕유,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선교 전략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50.
7) 전무용,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간이국한문의 한자어”, 「성경원문연구」 17 (2005), 178-209.
8) 기독교 교육의 핵심은 언어 교육으로 성경 한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방법으로 한 문성경강독을통한한자성경공부를제안하였다. 그러나실제적인어휘교육에대한방법 은 제시하지 않았다. 윤철희, “한자(漢子)를 활용한 신앙교육 연구: 성경을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장신대학교, 2017).
9) 김은혜는외국인을위한한국어어휘교육에서학습자의어휘망을확장시키고어휘들의관 계를 이용해 학습자의 사고 확산을 도모하여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이끌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자가 좋은 어휘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어휘 교육의 학습이 설계되어야 한다고 했다. 김 은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론(서울: 역락, 2017), 68.
2. 한자어 교육의 중요성과 연구 범위 및 대상
박덕유는 외국인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을 위해서 한국어 한자 및 한자어 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했다.10) 표준국어대사전(1999)에 실린 단어의 수는 약 50만개가 넘는다. 어종 별 비율은 고유어 25.9%, 한자어 58.5%, 외래어4.7%, 혼합 형태 10.9%로, 한자를 결합한 혼합 형태11)까지 다루면 한자어는60%가 넘는다.12) 한자어는 중국의 한자를 기반으로 생겨진 말, 일본에서
생성되어 유입된 말, 우리 스스로 만들어 낸 말13) 등이 있다. 민영진ᆞ전무 용에서는 한국어로 된, 기독교의 중요한 용어는 중국어 성경과 일본어 성 경의 영향으로 공유한다고 하였다.14) 한자어는 소리글자인 우리 문자에 뜻 글자가 더해짐으로써 더 분화된 의미를 가진다. 한자의 장점은 어휘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을 주며,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조어력과 축약력이 뛰어 나다는 것이다. 900개의 한자를 익히면 7만 개의 국어 어휘를 이해할 수 있 어 사고력 발달에 도움을 준다. 또한 동음이의어(문맥적 의미)를 식별할 수 있으며 한글맞춤법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다.
한자어를 한글로만 표기하여 한자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면 성경이 이야기하는 참뜻을 바르게 깨닫기 어렵다.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된 성경은40여 명의 기자에 의해 1,600여 년(구약은 B.C. 16세기-B.C. 5세기, 신약은A.D. 50년-100년)에 걸쳐 기록되었다. 이처럼 오랜 시간에도 불구하고 성경 은 전체적으로 볼 때에 한 사람이 쓴 것처럼 목적과 주제에 있어서 놀라운 통일성과 일관성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성경에는 각 체마다 독특하고 다 양한 문체와 특성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성령 하나님이 성경 기자들의 인격과 지식, 그리고 그들의 모든 경험을 사용하여 기록하게 하셨기 때문 이다. 결론적으로 성경의 저자는 성령 하나님이시며, 이 성경의 주제는 예 수 그리스도이므로 그의 가르침이 있는 사복음서(마태복음, 마가복음, 누 가복음, 요한복음)를 연구 범위로 택하였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실시하는 한자 교육 실태를 보면 대부분 한자문화 권(중국, 일본)과 비한자문화권으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으며, 수업은 주 1회 2시간(혹은 주 2회 2시간, 주 3회 1시간)을 학습하고 있다. 또한 비한자문 화권 학습 단계는 대부분 중급 단계에서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주로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다.15) 그 이유는 성경에 나오는 한자어가 일상생활에 자주 쓰이는 쉬운 한자어가 아니기 때문이며 실제로 IH교회에 나오는 외국인 유학생들 중 70%가 중국인 유학생들이다.16)
10) 박덕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어휘력 신장 연구(1) — 한국어 漢子 및 漢字語를 중심으 로”, 「언어와 문화」 5:1 (2009), 87-88.
11) 사복음서에 수록된 어휘 중 ‘主여, 强하다, 弱하다, 義롭다, 惡하다, 善하다, 居하다, 洞네’등을들수있다.
12) 표준국어대사전(1999)에수록된단어들을어종별로분류한통계결과이다.14) 민영진ᆞ전무용, “한국어 번역 성경에 나타난 중국어 성경과 일본어 성경의 영향”, 「성경 원문연구」 19 (2006), 179.
고유어 | 한자어 | 외래어 | 기타(혼종어) | 합계 | |
표제어 | 111,299 | 251,478 | 23,196 | 54,289 | 440,262 |
부표제어 | 20,672 | 46,438 | 165 | 1,234 | 68,509 |
합계 | 131,971 | 297,916 | 23,361 | 55,523 | 508,771 |
백분율 | 25.9% | 58.5% | 4.7% | 10.9% | 100% |
13) ‘감기(感氣), 고생(苦生), 복덕방(福德房), 편지(便紙), 사돈(査頓), 식구(食口)’ 등은 우리나 라에서 만들어진 한자어이다.
14) 민영진ᆞ전무용, “한국어 번역 성경에 나타난 중국어 성경과 일본어 성경의 영향”, 「성경 원문연구」 19 (2006), 179.
15) 한국어능력시험(TOPIK) 등급은 초급(1, 2급), 중급(3, 4급), 고급(5, 6급)으로 세분된다.
16) IH교회는2007년창립한‘외국인유학생교회’로현재대학원과정(석사,박사)의중국인유 학생(70%), 베트남인 유학생(11%), 몽골인 유학생(9%) 등이 예배에 참석하고 있다. 이들 모두는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며, 별도의 성경 공부는 중국인 유학생들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3. 성경에 나타난 한자어 사용 실태
본고에서 조사한 사복음서 한자어 수는 2,116개로 마태복음 619개(29.3%), 마가복음 449개(21.2%), 누가복음 685개(32.4%), 요한복음 363개(17.1%)이다. 또한 5회 이상 출현한 단어는 290개이며, 이중 네 권의 책에서 중복된 단어들은 138개이다.17) 예를 들어‘구원’이란 단어는 마태복음에서14회, 마가복음에서 11회, 누가복음에서 20회, 요한복음에서 6회 출현하는 등 4개 복음서 모두 중복으로 나타났다.
<표 1> 사복음서 한자어 수
책(冊) | 마태복음 | 마가복음 | 누가복음 | 요한복음 | 합 |
어휘 수 | 619 | 449 | 685 | 363 | 2116 |
5회 이상 | 92 | 52 | 93 | 53 | 290 |
중복 단어 | 4권(24개), 3권(22개), 2권(35개), 1권(57개) | 138 |
17) 5회 이상 출현한 한자어 중 사복음서 모두에서 중복된 단어는 24개, 3권에서 중복은 22개, 2권에서 중복은 35개,각 책에서만 등장한 단어는 57개로 모두 138개이다.
3.1. 사복음서의 한자어
사복음서에 출현한 한자어는 2,116개의 어휘(마태복음 619개, 마가복음449개, 누가복음 685개, 요한복음 363개)이다.18)
이중에서 네 개의 복음서 에 혼합 형태 한자어19)(主여, 强하다, 弱하다, 義롭다, 洞네 등)를 제외한 단 어는 340개로 <표 2>와 같다.
<표 2> 사복음서 한자어
ᄀ | 가격(價格), 가능(可能), 가령(假令), 가산(家産), 가족(家族), 가증(可憎), 가책(苛責), 각각(各各), 각색(各色), 각처(各處), 각하(閣下), 간계(奸計), 간구(懇求), 간사(奸詐), 간음(姦淫), 간절(懇切), 간질(癎疾), 간청(懇請), 감당(堪當), 감동(感動), 감람산(橄欖山), 감람유(橄欖油), 감사(感謝),강(江), 강권(强勸), 강도(强盜), 강령(綱領), 강림(降臨), 강보(襁褓), 강탈(强奪), 객실(客室), 거역(拒逆), 거절(拒絶), 거처(居處), 건강(健康), 건물(建物), 건전(健全), 건축자(建築者), 걸인(乞人), 검(劍), 결단(決斷), |
결박(結縛), 결산(決算), 결실(結實), 결심(決心), 결의(決議), 결혼(結婚),겸손(謙遜), 경건(敬虔), 경계(警戒), 경고(警告), 경련(痙攣), 경문(經文),경배(敬拜), 경비대장(警備隊長), 계명(誡命), 계보(系譜), 계산(計算),계속(繼續), 계시(啓示), 고관(高官), 고국(故國), 고난(苦難), 고민(苦悶),고발(告發), 고생(苦生), 고자(鼓子), 고통(苦痛), 고향(故鄕), 곡식(穀食),곤고(困苦), 곳간(穀間), 공경(恭敬), 공사(工事), 공의(公義), 공중(空中),공회(公會), 공회의원(公會議員), 과부(寡婦), 과연(果然), 관계(關係),관례(慣例), 관리(官吏), 관세(關稅), 관정(官庭), 관할(管轄), 광명(光明),광야(曠野), 광채(光彩), 광풍(狂風), 교만(驕慢), 교인(敎人), 교회(敎會),교훈(敎訓), 구걸(求乞), 구변(口辯), 구원(救援), 구제(救濟), 구주(救主),국세(國稅), 군대(軍隊), 군병(軍兵), 군사(軍士), 군인(軍人), 군호(軍號),궁리(窮理), 궁핍(窮乏), 권고(眷顧), 권능(權能), 권세(權勢), 권위(權威),권한(權限), 귀신(鬼神), 귀인(貴人), 규례(規例), 근방(近方), 근원(根源),근채(芹菜), 근처(近處), 금년(今年), 금식(禁食), 급료(給料), 긍휼(矜恤),기근(饑饉), 기념(記念), 기도(祈禱), 기록(記錄), 기사(奇事), 기상(氣象),기색(氣色), 기약(期約), 기억(記憶), 기업(基業), 기절(氣絶), 기준(基準),기진(氣盡), 기초(基礎), 기타(其他), 기한(期限), 기회(機會) | |
ᄂ | 나병(癩病), 낙심(落心), 낙원(樂園), 난리(亂離), 남방여왕(南方女王),남자(男子), 남편(男便), 남풍(南風), 낭비(浪費), 내력(來歷), 내세(來世),내일(來日), 냉수(冷水), 노기(怒氣), 노략(擄掠), 노력(努力), 농부(農夫),능력(能力), 능욕(凌辱) |
ᄃ | 담당(擔當), 담대(膽大), 당국자(當局者), 당돌(唐突), 당신(當身), 당연(當然),당장(當場), 당황(唐慌), 대답(對答), 대대(代代), 대문(大門), 대속물(代贖物),대신(大臣), 대우(待遇), 대저(大抵), 대적(對敵), 대제사장(大祭司長),대항(對抗), 도당(徒黨), 도망(逃亡), 도보(徒步), 도시(都市), 독사(毒蛇),독생자(獨生子), 독자(獨子), 동거(同居), 동등(同等), 동록(銅綠),동류(同類), 동방(東方), 동생(同生), 동서(東西), 동서남북(東西南北),동업자(同業者), 동일(同一), 동침(同寢), 동행(同行), 등경(燈檠), 등상(凳床) |
ᄆ | 마귀(魔鬼), 만국(萬國), 만류(挽留), 만물(萬物), 만민(萬民), 만세(萬世),만일(萬一), 만족(滿足), 만찬석(晩餐席), 망대(望臺), 매매(賣買), 맹세(盟誓),맹인(盲人), 멸망(滅亡), 멸시(蔑視), 명령(命令), 명심(銘心), 명절(名節),모독(冒瀆), 모양(貌樣), 모욕(侮辱), 모의(謀議), 모태(母胎), 목격자(目擊者),목수(木手), 목욕(沐浴), 목자(牧者), 몰사(沒死), 몰약(沒藥), 묘지(墓地),무교절(無酵節), 무궁(無窮), 무기(武器), 무성(茂盛), 무시(無視),무익(無益), 무장(武裝), 무저갱(無底坑), 무화과(無花果),문안(問安),문의(問議), 물건(物件), 미혹(迷惑), 민란(民亂), 민족(民族) |
ᄇ | 박사(博士), 박하(薄荷), 박해(迫害), 반대(反對), 반석(磐石), 반역(叛逆), 반열(班列), 발견(發見), 방도(方道), 방언(方言), 방주(方舟), 방탕(放蕩), 배낭(背囊), 배반(背叛), 배척(排斥), 백명(百名), 백배(百倍), 백부장(百夫長), 백석(百石), 백성(百姓), 백체(百體), 백합화(白合花), 번민(煩悶), 번역(飜譯),번제물(燔祭物), 범죄(犯罪), 법관(法官), 변론(辯論), 변명(辨明), 변박(辨駁), 변형(變形), 변화(變化), 별세(別世), 병(病), 병사(兵士), 병자(病者),보물(寶物), 보응(報應), 보전(保全), 보좌(寶座), 보혜사(保惠師), 보호(保護), 보화(寶貨), 복음(福音), 복중(腹中), 본래(本來), 본처(本妻), 부과(賦課), 부근(附近), 부대(負袋), 부모(父母), 부요(富饒), 부인(否認), 부자(富者), 부정(不淨), 부족(不足), 부탁(付託), 부활(復活), 분간(分揀), 분명(分明), 분별(分別), 분봉왕(分封王), 분부(吩咐), 분쟁(紛爭),분주(奔走), 분향(焚香), 불법(不法), 불법자(不法者), 불의(不義), 불편(不便), 불화(不和), 비교(比較), 비밀(秘密), 비방(誹謗), 비용(費用), 비유(譬喩), 비천(卑賤), 비통(悲痛), 비판(批判) |
ᄉ | 사경(四更), 사도(使徒), 사망(死亡), 사면(四面), 사모(思慕), 사무(事務), 사방(四方), 사신(使臣), 사실(事實), 사십육년(四十六年), 사십일(四十日), 사양(辭讓), 사자(使者), 사천명(四千名), 사치(奢侈), 사형(死刑),사화(私和), 살인(殺人), 삼경(三更), 삼백(三百), 삼십(三十), 삼십세(三十歲),삼일(三日), 상관(相關), 상당(相當), 상대(相對), 상속(相續), 상속자(相續者), 상의(相議), 상전(上典), 상종(相從), 상처(傷處), 생명(生命), 생선(生鮮), 생수(生水), 생일(生日), 생활(生活), 서기관(書記官), 서판(書板), 석청(石淸), 선대(善待), 선물(膳物), 선생(先生), 선인(善人), 선지자(先知者), 선포(宣布), 설명(說明), 성결(聖潔), 성경(聖經), 성내(城內), 성도(聖徒), 성령(聖靈), 성문(城門), 성소(聖所), 성전(聖殿), 세관(稅關), 세대(世代), 세례(洗禮), 세리(稅吏), 세리장(稅吏長), 세마포(細麻布), 세상(世上), 소녀(少女), 소동(騷動), 소득(所得), 소문(所聞), 소식(消息), 소요(騷擾), 소원(所願), 소유(所有), 소출(所出), 속담(俗談), 속량(贖良), 수건(手巾), 수리(修理), 수만명(數萬名), 수전절(修殿節), 수족(手足), 수종(隨從), 수종병(水腫病), 수하(手下), 순결(純潔), 순전(純全), 순종(順從), 습관(習慣), 습기(濕氣), 승천(昇天), 시각(時刻), 시간(時間), 시내(市內), 시대(時代), 시위병(侍衛兵), 시인(是認), 시작(始作), 시장(市場), 시체(屍體), 시편(詩篇), 시험(試驗), 식구(食口), 식사(食事), 신랑(新郞), 신뢰(信賴), 신부(新婦), 신성모독(神聖冒瀆), 신실(信實), 신하(臣下), 실상(實狀), 실족(失足), 심령(心靈), 심문(審問), 심중(心中), 심판(審判), 십리(十里), 십여리(十餘里), 십일조(十一條), 십자가(十字架) |
ᄋ | 악귀(惡鬼), 악독(惡毒), 악인(惡人), 안녕(安寧), 안수(按手), 안식일(安息日), 안식후(安息後), 안심(安心), 안전(安全), 애곡(哀哭), 애통(哀痛), 약속(約束), |
약혼(約婚), 양(羊), 양문(羊門), 양식(糧食), 양심(良心), 양해(諒解), 어부(漁夫), 언약(言約), 여관(旅館), 여인(女人), 여자(女子), 여행(旅行), 역사(役事), 연고(緣故), 연구(硏究), 연석(宴席), 연약(軟弱), 연자(硏子), 연회장(宴會長), 열기(熱氣), 열병(熱病), 열심(熱心), 염려(念慮), 영광(榮光), 영벌(永罰), 영생(永生), 영원(永遠), 영접(迎接), 영주(永住), 영혼(靈魂), 영화(榮華), 예물(禮物), 예배(禮拜), 예복(禮服), 예비(豫備), 예언(豫言), 오리(五里), 오백(五百), 오십(五十), 오십명(五十名), 오천(五千), 오천명(五千名), 오해(誤解), 옥리(獄吏), 옥졸(獄卒), 옥합(玉盒), 온유(溫柔), 온전(穩全), 완고(頑固), 완악(頑惡), 완전(完全), 왕(王), 왕궁(王宮),왕권(王權), 왕위(王位), 외모(外貌), 외식(外飾), 외양간(喂養間), 외인(外人), 요구(要求), 요동(搖動), 욕심(慾心), 용납(容納), 용모(容貌), 용서(容恕), 우매(愚昧), 우슬초(牛膝草), 우편(右便), 운향(芸香), 원금(元金), 원망(怨望), 원수(怨讐), 원한(怨恨), 위로(慰勞), 위문(慰問), 위엄(威嚴), 위정자(爲政者), 위태(危殆), 유령(幽靈), 유명(有名), 유산(遺産), 유월절(逾越節), 유익(有益), 유일(唯一), 유향(乳香), 유혹(誘惑), 유황(硫黃), 육신(肉身), 육십배(六十倍),육정(肉情), 육지(陸地), 육체(肉體), 율법(律法), 율법교사(律法敎師),은(銀), 은밀(隱密), 은행(銀行), 은혜(恩惠), 음란(淫亂), 음료(飮料), 음부(陰府), 음성(音聲), 음식(飮食), 음식물(飮食物), 음욕(淫慾), 음탕(淫蕩),음행(淫行), 읍내(邑內), 의(義), 의논(議論), 의복(衣服), 의사(醫師),의심(疑心), 의인(義人), 의자(椅子), 의지(依支), 의탁(依託), 의혹(疑惑), 이경(二更), 이만(二萬), 이모(姨母), 이방(異邦), 이방인(異邦人), 이백(二百), 이상(以上), 이십오리(二十五里), 이유(理由), 이자(利子), 이적(異蹟), 이전(以前), 이천(二千), 이혼증서(離婚證書), 인내(忍耐), 인도(引導), 인봉(印封), 인용(引用), 인자(人子), 일만(一萬), 일용(日用), 일월성신(日月星辰), 일점(一點), 일치(一致), 일획(一劃), 임박(臨迫), 임의(任意), 입증(立證), 잉태(孕胎) | |
ᄌ | 자결(自決), 자기(自己), 자녀(子女), 자매(姉妹), 자복(自服), 자비(慈悲), 자색(紫色), 자세(仔細), 자손(子孫), 자식(子息), 자연(自然), 자유(自由), 자의(自意), 자칭(自稱), 작별(作別), 작정(作定), 잔잔(潺潺), 잠시(暫時), 잠잠(潛潛), 장담(壯談), 장래(將來), 장례(葬禮), 장로(長老), 장모(丈母), 장사(葬事), 장성(長成), 장차(將次), 재난(災難), 재물(財物), 재판(裁判), 재판관(裁判官), 재판석(裁判席), 재판장(裁判長), 쟁론(爭論), 저술(著述), 저주(詛呪), 전갈(全蝎), 전대(纏帶), 전도(傳道), 전례(前例), 전부(全部), 전신(全身), 전염병(傳染病), 전체(全體), 전토(田土), 전통(傳統), 전파(傳播), 절도(窃盜), 절반(折半), 정결예식(淨潔禮式), 정녕(丁寧), 정신(精神), 정죄(定罪), 정탐(偵探), 제구시(第九時), 제단(祭壇), 제물(祭物), 제사(祭祀), 제사장(祭司長), 제삼시(第三時), 제삼일(第三日), 제어(制馭), 제육시(第六時), 제일(第一), 제자(弟子), 조건(條件), 조롱(嘲弄), |
조반(朝飯), 조상(祖上), 조심(操心), 족속(族屬), 존경(尊敬), 존대(尊待), 종려(棕櫚), 종신(終身), 종일(終日), 좌우편(左右便), 좌편(左便), 죄(罪),죄수(罪囚), 죄인(罪人), 죄패(罪牌), 주(主), 주관(主管), 주막(酒幕), 주목(注目), 주발(周鉢), 주시(注視), 주야(晝夜), 주의(注意), 주인(主人), 주장(主張), 주재(主宰), 준공(竣工), 준비(準備), 준비일(準備日), 준행(遵行), 중간(中間), 중심(中心), 중언부언(重言復言), 중풍병자(中風病者), 즉시(卽時), 증서(證書),증언(證言), 증인(證人), 지경(地境), 지구상(地球上), 지극(至極), 지금(至今), 지도자(指導者), 지방(地方), 지시(指示), 지옥(地獄), 지진(地震), 지체(遲滯), 지파(支派), 지혜(智慧), 직무(職務), 직분(職分), 진노(震怒), 진동(震動), 진리(眞理), 진멸(殄滅), 진설병(陳設餠), 진실(眞實), 진주(眞珠), 질병(疾病), 질투(嫉妬), 집권자(執權者), 징벌(懲罰), 징조(徵兆), 찔레(蒺藜) | |
ᄎ | 차례(次例), 찬란(燦爛), 찬미(讚美), 찬성(贊成), 찬송(讚頌), 찬양(讚揚), 참여(參與), 창고(倉庫), 창녀(娼女), 창세(創世), 창수(漲水), 창조(創造), 채소(菜蔬), 책(冊), 책망(責望), 처녀(處女), 처소(處所), 처자(妻子), 천국(天國), 천군(天軍), 천부장(千夫長), 천사(天使), 천지(天地), 천하(天下), 천하만국(天下萬國), 청결(淸潔), 청년(靑年) ,청소(淸掃), 청지(廳直), 체류(滯留), 체포(逮捕), 초막(草幕), 초막절(草幕節),총독(總督), 최후(最後), 추수(秋收), 축복(祝福), 축사(祝謝), 출교(黜敎), 충동(衝動), 충만(充滿), 충성(忠誠), 충신(忠臣), 충실(充實), 취리(取利), 측은(惻隱), 친구(親舊), 친족(親族), 칠십인(七十人), 침노(侵擄), 침상(寢床), 침실(寢室), 침입(侵入), 침향(沉香), 칭송(稱頌), 칭찬(稱讚) |
ᄐ | 타국(他國), 타인(他人), 타작(打作), 탁류(濁流), 탄식(歎息), 탐심(貪心), 탐욕(貪慾), 탕감(蕩減), 태초(太初), 토기장(土器匠), 토둔(土屯), 토색(討 索), 통곡(痛哭), 통과(通過), 통지(通知), 통치(統治) |
ᄑ | 파괴(破壞), 파도(波濤), 파송(派送), 판결(判決), 판단(判斷), 팔십(八十), 팔십사세(八十四歲), 팔일(八日), 패역(悖逆), 평강(平康), 평상(平床), 평안(平安), 평지(平地), 평탄(平坦), 평토장(平土葬), 평화(平和), 포도(葡萄), 포도원(葡萄園), 포도주(葡萄酒), 포로(捕虜), 표시(表示), 표적(表蹟), 풍성(豊盛), 풍악(風樂), 풍족(豊足), 피곤(疲困), 필요(必要) |
ᄒ | 하인(下人), 한량(限量), 한적(閒寂), 할례(割禮), 합당(合當), 합심(合心),항복(降伏), 항상(恒常), 해골(骸骨), 해당(該當), 해면(海綿), 해변(海邊),해산(解産), 해석(解釋), 해안(海岸), 행각(行閣), 행사(行事), 행선(行船),행실(行實), 행악자(行惡者), 행위(行爲), 향단(香壇), 향락(享樂), 향유(香油), 향품(香品), 허락(許諾), 허랑방탕(虛浪放蕩), 허비(虛費), 허탄(虛誕),헌금(獻金), 헌금함(獻金函), 헌물(獻物), 현몽(現夢), 현세(現世), 현장(現場), 혈기(血氣), 혈루증(血漏症), |
혈육(血肉), 혈통(血統), 혐의(嫌疑), 협착(狹窄), 형상(形像), 형제(兄弟),형체(形體), 형편(形便), 호수(湖水), 호적(戶籍), 호화(豪華), 혼란(混亂),혼례(婚禮), 혼인(婚姻), 홀연(忽然), 홍수(洪水), 홍포(紅袍),무화과(無花果), 화려(華麗), 화목(和睦), 화친(和親), 화평(和平),확실(確實), 확증(確證), 환난(患難), 환상(幻像), 환영(歡迎), 황금(黃金),황제(皇帝), 황폐(荒廢), 회개(悔改), 회당(會堂), 회당장(會堂長),회복(回復), 회칠(灰漆), 회향(茴香), 효험(效驗), 휘장(揮帳), 흉계(凶計),흉년(凶年), 흉악(凶惡), 흑암(黑暗), 희롱(戱弄), 힐난(詰難) |
다음으로 각 책별 5회 이상 출현한 한자어를 추출하여 정리하면 <표 3>과 같다.20)
<표 3> 5회 이상 출현한 한자어 분석
빈도 수 | 마태복음 | 마가복음 | 누가복음 | 요한복음 |
80회 이상 | 주(主)제자(弟子) | 제자(弟子) | 주(主) | 주(主)제자(弟子) |
30회- 79회 | 대답(對答)선지자(先知者)인자(人子)자기(自己) 진실(眞實) 천국(天國) | 주(主)자기(自己) 귀신(鬼神) | 기도(祈禱)대답(對答)백성(百姓) 선지자(先知者) 자기(自己) 제자(弟子) 죄(罪)귀신(鬼神) | 대답(對答)세상(世上)자기(自己) 죄(罪)진리(眞理)증언(證言) |
20회- 29회 | 귀신(鬼神)서기관(書記官)제사장(祭司長)죄(罪)형제(兄弟) | 대답(對答)서기관(書記官)제사장(祭司長)죄(罪) | 구원(救援)영광(榮光) 인자(人子) 제사장(祭司長) | 영광(榮光) 영생(永生)제사장(祭司長)지금(只今) 진실(眞實) 양(羊) |
10회- 19회 | 구원(救援)기도(祈禱)맹세(盟誓) 맹인(盲人) | 구원(救援)기도(祈禱)비유(譬喩) 선생(先生) | 과부(寡婦)기록(記錄)능력(能力)동생(同生) | 기록(記錄)맹인(盲人) 명절(名節) 생명(生命) |
빈도 수 | 마태복음 | 마가복음 | 누가복음 | 요한복음 |
백성(百姓) 비유(譬喩) 선생(先生) 성령(聖靈) 성전(聖殿) 세례(洗禮) 세상(世上) 심판(審判) 십자가(十字架)양(羊)염려(念慮) 영광(榮光)왕(王)외식(外飾)위로(慰勞)의인(義人) 이방(異邦) 자손(子孫) 장로(長老) 준비(準備) 천사(天使) 포도원(葡萄園) | 성전(聖殿) 세례(洗禮) 십자가(十字架)안식일(安息日)왕(王)인자(人子)전파(傳播) 지방(地方) 진실(眞實) 형제(兄弟) 회당(會堂) | 부모(父母)부자(富者)비유(譬喩) 서기관(書記官)선생(先生)성령(聖靈) 성전(聖殿) 세대(世代) 세례(洗禮) 세리(稅吏) 세상(世上) 안식일(安息日) 양(羊)영접(迎接)왕(王)원수(怨讐) 율법(律法) 의사(醫師) 자손(子孫) 전파(傳播) 준비(準備) 지혜(智慧) 천사(天使) 형제(兄弟) 회개(悔改) 회당(會堂) | 선생(先生)선지자(先知者)성경(聖經)성령(聖靈) 성전(聖殿) 세례(洗禮) 심판(審判) 십자가(十字架)영원(永遠)왕(王)율법(律法)음성(音聲) 인자(人子) 표적(表蹟) | |
5회- 9회 | 간구(懇求) 간음(姦淫) 경배(敬拜) 계명(誡命) 광야(曠野) 권능(權能) 권위(權威) 금식(禁食) 기록(記錄) 나병(癩病) | 간구(懇求) 감당(勘當) 경고(警告) 계명(誡命) 광야(曠野) 권능(權能) 기록(記錄) 도망(逃亡) 동생(同生) 맹인(盲人) | 고난(苦難)고발(告發) 고향(故鄕) 과연(果然) 권세(權勢) 권위(權威) 금식(禁食) 긍휼(矜恤) 기억(記憶) 나병(癩病) | 계명(誡命)구원(救援)군인(軍人) 귀신(鬼神) 기억(記憶) 목자(牧者) 병자(病者) 부모(父母) 안식일(安息日) 영접(迎接) |
빈도 수 | 마태복음 | 마가복음 | 누가복음 | 요한복음 |
농부(農夫)능력(能力)동생(同生)마귀(魔鬼)박해(迫害)복음(福音)부모(父母)부인(否認)부활(復活)사자(使者)상속(相續)세대(世代)세리(稅吏)소문(所聞)소유(所有)시험(試驗)신랑(新郞)실족(失足)안식일(安息日)영생(永生)영접(迎接)예물(禮物)원수(怨讐)율법(律法)의논(議論)의사(醫師)이방인(異邦人)인도(引導)자식(子息)전파(傳播)정죄(定罪)즉시(卽時)지경(地境)지방(地方)지옥(地獄) | 병자(病者)복음(福音) 부모(父母) 부인(否認) 상속(相續) 상속자(相續者) 선지자(先知者) 성령(聖靈) 소문(所聞) 시험(試驗) 안수(按手) 양(羊)위로(慰勞)장로(長老)전통(傳統)준비(準備) 중풍병(中風病) 즉시(卽時) 증언(證言) 천사(天使) 허락(許諾) | 마귀(魔鬼)맹인(盲人)병자(病者)복음(福音)부인(否認)부활(復活)분쟁(紛爭) 불의(不義)사도(使徒)사자(使者)세상(世上)소문(所聞)소유(所有)시작(始作)시험(試驗)십자가(十字架)염려(念慮)영혼(靈魂)온전(穩全)외식(外飾)위로(慰勞)유월절(逾越節)은혜(恩惠)의인(義人)이방(異邦)잉태(孕胎)자녀(子女)자식(子息)장로(長老)재물(財物)재판(裁判)조상(祖上)진실(眞實)찬송(讚頌)충만(充滿) | 예배(禮拜)유월절(逾越節)음부(陰府)이유(理由)조상(祖上)충만(充滿)친구(親舊)판단(判斷)포도원(葡萄園)포도주(葡萄酒)형제(兄弟) |
빈도 수 | 마태복음 | 마가복음 | 누가복음 | 요한복음 |
지혜(智慧)친구(親舊)표적(表蹟)허락(許諾)혼인(婚姻)회개(悔改)회당(會堂) | 칭찬(稱讚) 평안(平安)포도주(葡萄酒)표적(表蹟)허락(許諾) |
<표 3>의 사복음서에 나타난 한자어 중에서 5회 이상 출현한 한자어를 추출하여 그 빈도수를 비교한 결과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인 단어는 ‘주(主), 제자(弟子)21), 죄(罪), 인자(人子), 구원(救援), 진실(眞實), 진리(眞理)’등이다. 또한 제자(弟子)와 선생(先生)간, 종교 지도자와 예수님과의 질문 과 대답(對答)의 대화 형식에서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태 복음에서 ‘천국(天國)’이 36회 등장하는 반면, 마가복음이나 누가복음에서 는 ‘천국(天國)’의 한자어 대신 ‘하나님 나라’의 표현을 사용했다는 점이 특 이하다. 이상의 목록은 그 자체로 성경 한자어 연구의 교육적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지며, 추후 성경 한국어 한자어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도 주요한 연구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표 3>에 나타난 한자어 를 사복음서별로 중복된 단어 138개의 빈도수를 비교하면 <표 4>와 같다.
<표 4> 사복음서 중복된 한자어 비교
중복 | 연번 | 한자어 | 마태 복음 | 마가 복음 | 누가 복음 | 요한 복음 |
8 | 선지자(先知者) | 〇 | 〇 | 〇 | 〇 | |
9 | 성령(聖靈) | 〇 | 〇 | 〇 | 〇 | |
10 | 성전(聖殿) | 〇 | 〇 | 〇 | 〇 | |
11 | 세례(洗禮) | 〇 | 〇 | 〇 | 〇 | |
12 | 세상(世上) | 〇 | 〇 | 〇 | 〇 | |
13 | 십자가(十字架) | 〇 | 〇 | 〇 | 〇 | |
14 | 안식일(安息日) | 〇 | 〇 | 〇 | 〇 | |
15 | 양(羊) | 〇 | 〇 | 〇 | 〇 | |
16 | 왕(王) | 〇 | 〇 | 〇 | 〇 | |
17 | 인자(人子) | 〇 | 〇 | 〇 | 〇 | |
18 | 자기(自己) | 〇 | 〇 | 〇 | 〇 | |
19 | 제사장(祭司長) | 〇 | 〇 | 〇 | 〇 | |
20 | 제자(弟子) | 〇 | 〇 | 〇 | 〇 | |
21 | 죄(罪) | 〇 | 〇 | 〇 | 〇 | |
22 | 주(主) | 〇 | 〇 | 〇 | 〇 | |
23 | 진실(眞實) | 〇 | 〇 | 〇 | 〇 | |
24 | 형제(兄弟) | 〇 | 〇 | 〇 | 〇 | |
3권 | 25 | 계명(誡命) | 〇 | 〇 | 〇 | |
26 | 기도(祈禱) | 〇 | 〇 | 〇 | ||
27 | 동생(同生) | 〇 | 〇 | 〇 | ||
28 | 병자(病者) | 〇 | 〇 | 〇 | ||
29 | 복음(福音) | 〇 | 〇 | 〇 | ||
30 | 부인(否認) | 〇 | 〇 | 〇 | ||
31 | 비유(譬喩) | 〇 | 〇 | 〇 | ||
32 | 상속(相續) | 〇 | 〇 | 〇 | ||
33 | 서기관(書記官) | 〇 | 〇 | 〇 | ||
34 | 소문(所聞) | 〇 | 〇 | 〇 | ||
35 | 시험(試驗) | 〇 | 〇 | 〇 | ||
36 | 영광(榮光) | 〇 | 〇 | 〇 | ||
37 | 영접(迎接) | 〇 | 〇 | 〇 | ||
38 | 위로(慰勞) | 〇 | 〇 | 〇 | ||
39 | 율법(律法) | 〇 | 〇 | 〇 | ||
40 | 이방(異邦) | 〇 | 〇 | 〇 |
중복 | 연번 | 한자어 | 마태 복음 | 마가 복음 | 누가 복음 | 요한 복음 |
41 | 장로(長老) | 〇 | 〇 | 〇 | ||
42 | 전파(傳播) | 〇 | 〇 | 〇 | ||
43 | 준비(準備) | 〇 | 〇 | 〇 | ||
44 | 천사(天使) | 〇 | 〇 | 〇 | ||
45 | 표적(表蹟) | 〇 | 〇 | 〇 | ||
46 | 허락(許諾) | 〇 | 〇 | 〇 | ||
2권 | 47 | 회당(會堂) | 〇 | 〇 | 〇 | |
48 | 간구(懇求) | 〇 | 〇 | |||
49 | 광야(曠野) | 〇 | 〇 | |||
50 | 권능(權能) | 〇 | 〇 | |||
51 | 권위(權威) | 〇 | 〇 | |||
52 | 금식(禁食) | 〇 | 〇 | |||
53 | 기억(記憶) | 〇 | 〇 | |||
54 | 나병(癩病) | 〇 | 〇 | |||
55 | 능력(能力) | 〇 | 〇 | |||
56 | 백성(百姓) | 〇 | 〇 | |||
57 | 마귀(魔鬼) | 〇 | 〇 | |||
58 | 부활(復活) | 〇 | 〇 | |||
59 | 사자(使者) | 〇 | 〇 | |||
60 | 세대(世代) | 〇 | 〇 | |||
61 | 세리(稅吏) | 〇 | 〇 | |||
62 | 소유(所有) | 〇 | 〇 | |||
63 | 심판(審判) | 〇 | 〇 | |||
64 | 염려(念慮) | 〇 | 〇 | |||
65 | 영생(永生) | 〇 | 〇 | |||
66 | 외식(外飾) | 〇 | 〇 | |||
67 | 원수(怨讐) | 〇 | 〇 | |||
68 | 유월절(逾越節) | 〇 | 〇 | |||
69 | 의사(醫師) | 〇 | 〇 | |||
70 | 의인(義人) | 〇 | 〇 | |||
71 | 자손(子孫) | 〇 | 〇 | |||
72 | 자식(子息) | 〇 | 〇 | |||
73 | 조상(祖上) | 〇 |
중복 | 연번 | 한자어 | 마태 복음 | 마가 복음 | 누가 복음 | 요한 복음 |
74 | 즉시(卽時) | 〇 | 〇 | |||
75 | 증언(證言) | 〇 | 〇 | |||
76 | 지방(地方) | 〇 | 〇 | |||
77 | 지혜(智慧) | 〇 | 〇 | |||
78 | 충만(充滿) | 〇 | 〇 | |||
79 | 친구(親舊) | 〇 | 〇 | |||
80 | 포도원(葡萄園) | 〇 | 〇 | |||
81 | 포도주(葡萄酒) | 〇 | 〇 | |||
82 | 회개(悔改) | 〇 | 〇 | |||
1권 | 83 | 간음(姦淫) | 〇 | |||
84 | 감당(勘當) | 〇 | ||||
85 | 경고(警告) | 〇 | ||||
86 | 경배(敬拜) | 〇 | ||||
87 | 고난(苦難) | 〇 | ||||
88 | 고발(告發) | 〇 | ||||
89 | 고향(故鄕) | 〇 | ||||
90 | 과부(寡婦) | 〇 | ||||
91 | 과연(果然) | 〇 | ||||
92 | 군인(軍人) | 〇 | ||||
93 | 권세(權勢) | 〇 | ||||
94 | 긍휼(矜恤) | 〇 | ||||
95 | 농부(農夫) | 〇 | ||||
96 | 도망(逃亡) | 〇 | ||||
97 | 맹세(盟誓) | 〇 | ||||
98 | 명절(名節) | 〇 | ||||
99 | 목자(牧者) | 〇 | ||||
100 | 박해(迫害) | 〇 | ||||
101 | 부자(富者) | 〇 | ||||
102 | 분쟁(紛爭) | 〇 | ||||
103 | 불의(不義) | 〇 | ||||
104 | 사도(使徒) | 〇 | ||||
105 | 생명(生命) | 〇 | ||||
106 | 성경(聖經) | 〇. |
중복 | 연번 | 한자어 | 마태 복음 | 마가 복음 | 누가 복음 | 요한 복음 |
107 | 시작(始作) | 〇 | ||||
108 | 신랑(新郞) | 〇 | ||||
109 | 실족(失足) | 〇 | ||||
110 | 안수(按手) | 〇 | ||||
111 | 영원(永遠) | 〇 | ||||
112 | 영혼(靈魂) | 〇 | ||||
113 | 예물(禮物) | 〇 | ||||
114 | 예배(禮拜) | 〇 | ||||
115 | 온전(穩全) | 〇 | ||||
116 | 은혜(恩惠) | 〇 | ||||
117 | 음부(陰府) | 〇 | ||||
118 | 음성(音聲) | 〇 | ||||
119 | 의논(議論) | 〇 | ||||
120 | 이유(理由) | 〇 | ||||
121 | 인도(引導) | 〇 | ||||
122 | 잉태(孕胎) | 〇 | ||||
123 | 자녀(子女) | 〇 | ||||
124 | 재물(財物) | 〇 | ||||
125 | 재판(裁判) | 〇 | ||||
126 | 전통(傳統) | 〇 | ||||
127 | 정죄(定罪) | 〇 | ||||
128 | 중풍병(中風病) | 〇 | ||||
129 | 지경(地境) | 〇 | ||||
130 | 지금(只今) | 〇 | ||||
131 | 지옥(地獄) | 〇 | ||||
132 | 진리(眞理) | 〇 | ||||
133 | 찬송(讚頌) | 〇 | ||||
134 | 천국(天國) | 〇 | ||||
135 | 칭찬(稱讚) | 〇 | ||||
136 | 판단(判斷) | 〇 | ||||
137 | 평안(平安) | 〇 | ||||
138 | 혼인(婚姻) | 〇 |
<표 4>에서 서로 중복된 단어들을 비교한 결과 사복음서에 출현 빈도수 가 높은 어휘들이 대부분 서로 중복된 것임을 알 수 있다. 3개 이상의 책에 서 중복된 단어는 마태복음 46개, 마가복음 43개, 누가복음 46개, 요한복음30개로 나타났다. 공관복음서(共觀福音書)인 마태, 마가, 누가복음에 중복 된단어가대부분일치하는것을볼수있다.22) 그리고5회이상출현한한 자어는 138개로 마태복음 91개, 마가복음 52개, 누가복음 91개, 요한복음에 서 52개가 등장하였다. 또한 각 성경에만 나타난 한자어는 56개로 마태복 음 16개, 마가복음 7개, 누가복음 21개, 요한복음 12개로 나타났고, 각 성경 별로 강조하는 단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사복음서의 한자어를 추출한 결과 성경의 핵심 어휘가 ‘구원(救援),기도(祈禱), 복음(福音), 성령(聖靈), 심판(審判), 십자가(十字架), 영생(永 生), 의인(義人), 죄(罪), 주(主), 지옥(地獄), 천국(天國)’ 등 한자어이다. 이 외에도 직업에 관련한 한자어도 빈도수에 따라 ‘선지자(先知者), 대제사장(大祭司長), 서기관(書記官), 왕(王), 선생(先生), 의사(醫師), 농부(農夫), 군 인(軍人), 목자(牧者), 박사(博士)’의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마가복음 7:21, 22에는 죄(罪)의 목록을 나열하였는데 “음란(淫亂)과 도둑질과 살인(殺人)과 간음(姦淫)과 탐욕(貪慾)과 악독(惡毒)과 속임과 음탕(淫蕩)과 질투(嫉 妬)와 비방(誹謗)과 교만(驕慢)과 우매(愚昧)함이니”같이 대부분이 한자어 임을 알 수 있다.
18) 복음서별로각장마다나타난한자어를정리하였는데분량이많아생략하였다.
19) 전무용(2005)에서 한자어와 고유어의 결합은 표준국어대사전의 근거를 따라 정리하였다고 했다. 전무용,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간이국한문의 한자어”, 203.
20) 1회-4회 빈도수의 한자어는 지면 한계로 생략하고, 빈도수의 적정량을 고려하여 5회 이상 만 보이고자 한다.
21) 마 28:19, 20.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에서 ‘가서’, ‘세례를 주 고’, ‘가르쳐 지키게 하라’의 3개의 분사구가 본동사 ‘제자로 삼아라’는 본동사를 꾸며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그리스어 원어인 ‘마테투사테(make disciples)’가 지상 명령의 핵심이 다. 다시 말해 ‘제자를 삼아라’가 예수님의 마지막 승천의 유언과 같은 지상 최대의 명령이다.
22) 신약성경사복음서중마태·마가·누가복음의세권을일괄해서부르는명칭이다.사복음서 모두가 예수님의 생애와 교훈을 전하고 있지만, 특히 이 세 권이 유사점이 많고, 거의 같은 관점에서 쓰였다고 해서 공관복음서라고 부른다. 라이프성경사전(서울: 가스펠서브, 2007) 참조.
3.2. 성경 한자어와 표준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성경의 한자어를 어휘 의미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 육하기 위해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한 어휘와 비교하여 제시하였다.23)사복음서에 나타난 한자어를 표준국어대사전, 새번역, 그리고 공동 개정24)에서의 용어의 차이점을 제시하면 <표 5>와 같다.
<표 5> 성경 한자어와 표준어
연 번 | 한자어 | 표준국어대사전 | 새번역 | 공동개정 | 본고 |
1 | 간구(懇求) | 간구 | 간청 | 사정 | 간구(간절히 구함) |
2 | 간음(姦淫) | 간음 | 간음 | 간음 | 간음 |
3 | 감당(堪當) | 감당 | 자격 | 능히 해냄 | 감당(능히 해냄) |
4 | 경고(警告) | 경고 | 엄중히 다짐 | 신신당부 | 경고 |
5 | 경배(敬拜) | 경배 | 경배 | 경배 | 경배 |
6 | 계명(誡命) | 계명 | 계명 | 계명 | 계명 |
7 | 고난(苦難) | 고난 | 고난 | 시달림 | 고난 |
8 | 고발(告發) | 고발 | 고소 | 고소 | 고발 |
9 | 고향(故鄕) | 고향 | 고향 | 고향 | 고향 |
10 | 과부(寡婦) | 과부 | 과부 | 과부 | 과부 |
11 | 과연(果然) | 과연 | 정말로 | 과연 | 정말 |
12 | 광야(曠野) | 광야 | 광야 | 광야 | 광야(허허벌판) |
13 | 구원(救援) | 구원 | 구원 | 구원 | 구원 |
14 | 군인(軍人) | 군인 | 군인 | 병사 | 군인 |
15 | 권능(權能) | 권능 | 권세 | 권한 | 권능 |
16 | 권세(權勢) | 권세 | 권세 | 권한 | 권세 |
17 | 권위(權威) | 권위 | 권한 | 권한 | 권위 |
18 | 귀신(鬼神) | 귀신 | 귀신 | 마귀 | 귀신 |
19 | 금식(禁食) | 금식 | 금식 | 단식 | 금식 |
20 | 긍휼(矜恤) | 긍휼 | 자비 | 자비 | 긍휼 |
21 | 기도(祈禱) | 기도 | 기도 | 기도 | 기도 |
22 | 기록(記錄) | 기록 | 기록 | 기록 | 기록 |
23 | 기억(記憶) | 기억 | 기억 | 기억 | 기억 |
24 | 나병(癩病) | 나병 | 나병 | 나병 | 나병 |
25 | 농부(農夫) | 농부 | 농부 | 소작인 | 농부 |
26 | 능력(能力) | 능력 | 능력 | 능력 | 능력 |
27 | 대답(對答) | 대답 | 대답 | 대답 | 대답 |
28 | 도망(逃亡) | 도망 | 도망 | 도망 | 도망 |
연 번 | 한자어 | 표준국어대사전 | 새번역 | 공동개정 | 본고 |
29 | 동생(同生) | 동생 | 동생 | 동생 | 동생 |
30 | 마귀(魔鬼) | 마귀 | 악마 | 악마 | 마귀 |
31 | 맹세(盟誓) | 맹세 | 맹세 | 맹세 | 맹세 |
32 | 맹인(盲人) | 맹인 | 눈먼 사람 | 소경 | 시각장애인 |
33 | 명절(名節) | 명절 | 명절 | 축제 | 명절 |
34 | 목자(牧者) | 목자 | 목자 | 목자 | 목자 |
35 | 박해(迫害) | 박해 | 박해 | 박해 | 박해 |
36 | 백성(百姓) | 백성 | 백성 | 백성 | 백성 |
37 | 병자(病者) | 병자 | 앓는 사람 | 병자 | 병자 |
38 | 복음(福音) | 복음 | 복음 | 복음 | 복음 |
39 | 부모(父母) | 부모 | 부모 | 부모 | 부모 |
40 | 부인(否認) | 부인 | 부인 | 모른다고 함 | 부인 |
41 | 부자(富者) | 부자 | 부자 | 부자 | 부자 |
42 | 부활(復活) | 부활 | 부활 | 부활 | 부활 |
43 | 분쟁(紛爭) | 분쟁 | 갈라짐 | 싸움 | 분쟁(갈라져 다툼) |
44 | 불의(不義) | 불의 | 불의 | 옳지 못함 | 불의 |
45 | 비유(譬喩) | 비유 | 비유 | 비유 | 비유 |
46 | 사도(使徒) | 사도 | 사도 | 사도 | 사도 |
47 | 사자(使者) | 사자 | 심부름꾼 | 사자 | 심부름꾼 |
48 | 상속(相續) | 상속 | 상속 | 차지함 | 상속 |
49 | 생명(生命) | 생명 | 생명 | 생명 | 생명 |
50 | 서기관(書記官) | 서기관 | 율법학자 | 율법학자 | 율법학자 |
51 | 선생(先生) | 선생 | 선생 | 선생 | 선생 |
52 | 선지자(先知者) | 선지자 | 예언자 | 예언자 | 예언자 |
53 | 성경(聖經) | 성경 | 성경 | 성서 | 성경 |
54 | 성령(聖靈) | 성령 | 성령 | 성령 | 성령(하나님의 영) |
55 | 성전(聖殿) | 성전 | 성전 | 성전 | 성전 |
56 | 세대(世代) | 세대 | 세대 | 세대 | 세대 |
57 | 세례(洗禮) | 세례 | 세례 | 세례 | 세례 |
연 번 | 한자어 | 표준국어대사전 | 새번역 | 공동개정 | 본고 |
58 | 세리(稅吏) | 세리 | 세리 | 세리 | 세리 |
59 | 세상(世上) | 세상 | 세상 | 세상 | 세상 |
60 | 소문(所聞) | 소문 | 소문 | 소문 | 소문 |
61 | 소유(所有) | 소유 | 가진것 | 있는것 | 소유 |
62 | 시작(始作) | 시작 | 시작 | 시작 | 시작 |
63 | 시험(試驗) | 시험 | 시험 | 유혹 | 유혹 |
64 | 신랑(新郞) | 신랑 | 신랑 | 신랑 | 신랑 |
65 | 실족(失足) | 실족 | 걸려 넘어짐 | 죄를 지음 | 실족 |
66 | 심판(審判) | 심판 | 심판 | 심판 | 심판 |
67 | 십자가(十字架) | 십자가 | 십자가 | 십자가 | 십자가 |
68 | 안수(按手) | 안수 | 손을 얹어 | 손을 얹어 | 안수 |
69 | 안식일(安息日) | 안식일 | 안식일 | 안식일 | 안식일 |
70 | 양(羊) | 양 | 양 | 양 | 양 |
71 | 염려(念慮) | 염려 | 걱정 | 걱정 | 염려(걱정함) |
72 | 영광(榮光) | 영광 | 영광 | 찬양 | 영광 |
73 | 영생(永生) | 영생 | 영생 | 영원한 생명 | 영생(영원한 생명) |
74 | 영원(永遠) | 영원 | 영원 | 영원 | 영원 |
75 | 영접(迎接) | 영접 | 맞아들임 | 맞아들임 | 영접(맞아들임) |
76 | 영혼(靈魂) | 영혼 | 영혼 | 영혼 | 영혼 |
77 | 예물(禮物) | 예물 | 예물 | 예물 | 예물 |
78 | 예배(禮拜) | 예배 | 예배 | 예배 | 예배 |
79 | 온전(穩全) | 온전 | 완전 | 완전 | 온전 |
80 | 왕(王) | 왕 | 왕 | 왕 | 왕 |
81 | 외식(外飾) | 외식 | 위선 | 위선 | 겉치레 |
82 | 원수(怨讐) | 원수 | 원수 | 원수 | 원수 |
83 | 위로(慰勞) | 위로 | 위로 | 위로 | 위로 |
84 | 유월절(逾越節) | 유월절 | 유월절 | 과월절 | 유월절 |
85 | 율법(律法) | 율법 | 율법 | 율법 | 율법 |
연 번 | 한자어 | 표준국어대사전 | 새번역 | 공동개정 | 본고 |
86 | 은혜(恩惠) | 은혜 | 은혜 | 은총 | 은혜 |
87 | 음부(陰府) | 음부 | 지옥 | 지옥 | 음부 |
88 | 음성(音聲) | 음성 | 음성 | 목소리 | 음성(목소리) |
89 | 의논(議論) | 의논 | 모의 | 모의 | 의논 |
90 | 의사(醫師) | 의사 | 의사 | 의사 | 의사 |
91 | 의인(義人) | 의인 | 의인 | 선한사람 | 의인(의로운 사람) |
92 | 이방(異邦) | 이방 | 이방 | 이방 | 이방(이국) |
93 | 이유(理由) | 이유 | 이유 | 이유 | 이유 |
94 | 인도(引導) | 인도 | 인도 | 앞서감 | 인도 |
95 | 인자(人子) | 인자 | 인자 | 사람의 아들 | 인자(사람의 아들) |
96 | 잉태(孕胎) | 잉태 | 잉태 | 잉태 | 임신 |
97 | 자기(自己) | 자기 | 자기 | 자기 | 자기 |
98 | 자녀(子女) | 자녀 | 자녀 | 자녀 | 자녀 |
99 | 자손(子孫) | 자손 | 자손 | 후손 | 자손 |
100 | 자식(子息) | 자식 | 자식 | 자식 | 자식 |
101 | 장로(長老) | 장로 | 장로 | 원로 | 장로 |
102 | 재물(財物) | 재물 | 재물 | 재물 | 재물 |
103 | 재판(裁判) | 재판 | 재판 | 재판 | 재판 |
104 | 전통(傳統) | 전통 | 관습 | 전통 | 전통 |
105 | 전파(傳播) | 전파 | 선포 | 선포 | 전파 |
106 | 정죄(定罪) | 정죄 | 정죄 | 죄를 단정 | 정죄 |
107 | 제사장(祭司長) | 제사장 | 제사장 | 사제 | 제사장 |
108 | 제자(弟子) | 제자 | 제자 | 제자 | 제자 |
109 | 조상(祖上) | 조상 | 조상 | 조상 | 조상 |
110 | 죄(罪) | 죄 | 죄 | 죄 | 죄 |
111 | 주(主) | 주 | 주 | 주 | 주 |
112 | 준비(準備) | 준비 | 준비 | 준비 | 준비 |
연 번 | 한자어 | 표준국어대사전 | 새번역 | 공동개정 | 본고 |
113 | 중풍병(中風病) | 중풍 | 중풍 | 중풍 | 중풍 |
114 | 즉시(卽時) | 즉시 | 곧 | 대뜸 | 즉시 |
115 | 증언(證言) | 증언 | 증언 | 증언 | 증언 |
116 | 지경(地境) | 지경 | 지역 | 그 일대 | 지경 |
117 | 지금(只今) | 지금 | 당장 | 당장 | 지금 |
118 | 지방(地方) | 지방 | 지방 | 지방 | 지방 |
119 | 지옥(地獄) | 지옥 | 지옥 | 지옥 | 지옥 |
120 | 지혜(智慧) | 지혜 | 슬기 | 슬기 | 지혜 |
121 | 진리(眞理) | 진리 | 진리 | 진리 | 진리 |
122 | 진실(眞實) | 사실 | 진정 | 분명 | 사실 |
123 | 찬송(讚頌) | 찬송 | 찬양 | 찬미 | 찬송 |
124 | 천국(天國) | 천국 | 하늘나라 | 하늘나라 | 천국(하늘나라) |
125 | 천사(天使) | 천사 | 천사 | 천사 | 천사 |
126 | 충만(充滿) | 충만 | 충만 | 가득참 | 충만(가득 참) |
127 | 친구(親舊) | 친구 | 친구 | 벗 | 친구 |
128 | 칭찬(稱讚) | 칭찬 | 좋게 평가함 | 칭찬 | 칭찬 |
129 | 판단(判斷) | 판단 | 판단 | 판단 | 판단 |
130 | 평안(平安) | 평안 | 평화 | 평화 | 평안 |
131 | 포도원(葡萄園) | 포도밭 | 포도원 | 포도원 | 포도원(포도밭) |
132 | 포도주(葡萄酒) | 포도주 | 포도주 | 포도주 | 포도주 |
133 | 표적(表蹟) | 표적 | 표적 | 기적 | 기적 |
134 | 허락(許諾) | 허락 | 허락 | 허락 | 허락 |
135 | 형제(兄弟) | 형제 | 형제 | 형제 | 형제 |
136 | 혼인(婚姻) | 혼인 | 혼인 | 혼인 | 혼인 |
137 | 회개(悔改) | 회개 | 회개 | 회개 | 회개 |
138 | 회당(會堂) | 회당 | 회당 | 회당 | 회당 |
23)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한 어휘는 현재 초ᆞ중ᆞ고등학교 교과 서의 표본이 되고 있다.
24) 대한성서공회는 성경을 현대 한국어의 표준어에 맞게 완전히 새로 번역한 표준개정판(2001)을 내놓았고, 새번역(2004)으로 부르기도 한다. 공동개정(1999)는 신ᆞ구교가 공동으로 번역한 것이다.
4. 성경 한자어의 어휘 교육 연구
김은혜는 어휘 교육 방법으로 크게 의미 중심 어휘 교육과 연상을 활용 한 어휘 교육을 제시하였고, 의미 중심 어휘 교육으로는 언어적 의미, 인지 구조에 의한 의미, 사용 문맥에 의한 의미가 있다고 했다.25) 본고에서는 이 둘의 교육 방안을 절충하여 연상을 활용한 어휘 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의 미 관계에 따른 어휘 학습을 적용함으로써 성경의 한자 어휘 교육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성경의 어휘는 어느 특정한 하나의 의미 방법으로 교육 하기보다는 융합적인 의미체로 학습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즉 단어 자체의 언어적 의미와 단어에 대해 인지하는 의미, 그리고 사회ᆞ문화적 맥락에서 운용되는 의미 등을 융합하여 이해해야 한다.26)
25) 김은혜,“연상을활용한한국어어휘의미교육연구―고급한국어학습자를대상으로―”,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012).
26) 조지윤은 독자의 의도는 과거의 독자 공동체와 현재의 독자 공동체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 고 했다. 조지윤, “존대법 번역과 성경 번역 접근법”, 「성경원문연구」 25 (2009), 137. 그리 고박덕유역시원천본문의주요기능이손실되지않는범위내에서독자들의사회상황과 문화적 상황 등을 고려하여 높임법 화계를 사용하였다. 박덕유, “한국어 성경 마가복음의 높임법 화계 분석 및 고찰”, 「성경원문연구」 34 (2014), 89.
4.1. 연상 마인드맵을 활용한 어휘 교육
김은혜는 연상을 통한 어휘 교육을 통해 어휘량의 확장과 어휘관계 형 성, 어휘 능력의 질적 신장을 가져온다고 하였다.27) 정희정ᆞ이일지에서는 단순하게 어휘를 암기한 집단에 비해 이미지를 활용하여 어휘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어휘력 시험에서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 미지를 접목시킨 어휘 학습이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킴으로써 단어 의 이해 및 장기 기억에 더욱 전략적이라고 하였다.28) 안효미는 마인드맵 을 활용한 어휘 수업을 들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많은 어 휘를 습득함으로써 어휘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또한 평소 소극 적이었던 학생들이 실험을 통해 자신감과 흥미를 가질 수 있었다고 하였 다.29) 그리고 김은혜는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조사에서 체계적 이고 다양한 연상과 어휘연결망을 조직하는 모어 학습자에 비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연상 범위와 이해가 더 제한적임을 제시하였다.30)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표준국어대사전에서 한자 어 어휘의 지시적 의미를 습득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한국인 교사의 머릿속 에 정돈된 어휘 지식과 그 내재된 의미를 연상과 어휘망으로 배열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어휘 지도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한다. 이에 하나의 한자어 단어를 통해 연관된 어휘들을 연결망으로 묶어 그룹 지음으로써 어휘량을 확보하고, 질적으로 어휘가 지닌 더 깊은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연상 마인드맵을 활용한 어휘 교육절차를 제시하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연상 마인드맵을 통한 어휘 교육 절차
표준국어대사전 | 사전지식정보습득 |
⇩
연상과 마인드맵 | 어휘량 확장 |
⇩
의미관계이해 | 어휘의질적의미이해 |
<그림 1>과 같이 목표어에 대한 사전적 의미를 습득하고, 연상 어휘망을 지도를 그리듯 배열함으로써 어휘량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로 ‘구원(救 援)’이라는 단어를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연관된 한자어를 학습할 수 있다.
27) 김은혜,“의미 중심 어휘지도를 위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조사”, 「새국어교육」88 (2011), 161-165.
28) 정희지, 이일지,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교육의 효과”, 「언어연구」 27 (2010), 609-610.
29) 안효미, “초등영어에서 마인드맵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6학년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0) 김은혜,“의미중심어휘지도를위한고급한국어학습자의단어연상조사”,154-160.
4.1.1. 목표어 ‘구원(救援)’
(1) 표준국어대사전의 정보 습득
「1」어려움이나 위험에 빠진 사람을 구하여 줌. ≒구증03(救拯)「2」기독교인류를 죽음과 고통과 죄악에서 건져 내는 일.
(2) 연상과 마인드맵
다음 단계는 ‘구원(救援)’의 의미에 대한 연상 어휘들을 어휘망을 통해 이미지화함으로써 어휘량을 확장시킬 수 있다. ‘구원’의 광의적 의미는 ‘어 려움이나 위험에서 구하여 줌’이다. 이에 어려움 중 하나인 ‘질병’과 연관 된 어휘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협의적 의미가 ‘죽음과 고통, 죄악에서 건 져 내는 일’이므로 이에 연관된 어휘로 ‘죄’, ‘심판’을 들었으며 궁극적으로 ‘영생’으로 연계시켰다. 이 과정을 통해 48개의 한자어를 학습할 수 있다.31)
<그림 2> ‘구원(救援)’ 연상 마인드맵
-------------------------------------------------------------------
예배(禮拜) 경배(敬拜). 영생(永生) 천국(天國) 영원(永遠)
찬송(讚頌) 영혼(靈魂). 생명(生命) 천사(天使)
부활(復活) 영광(榮光) 의인(義人) 고향(故鄕)
..........................................................................
⇧
수종병(水腫病) 병자(病者) 상속(相續) 판단(判斷) 심판(審判) 재판(審判)
나병(癩病). 회복(回復) 고통(苦痛) 염려
속량(贖良)
열병(熱病).병(病) ------->구원(救援) <-------- 죄(罪) 사망
중풍병(中風病) 십자가 고난 고발
맹인(盲人) 유월절 정죄 형벌
혈루병(血漏病). 포도주 음부 지옥
-----------------------------------------------------------------------
<그림 2>와 같이 ‘구원(救援)’과 관계된 48개의 단어를 연상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구원(救援)’의 의미는 ‘(A + B + C)에서 구원받 음’의 의미가 있다.
A : ‘병(病)’에서 구원받음(7개)
- 수종병(水腫病), 열병(熱病), 혈루병(血漏病),병자(病者), 맹인(盲人), 나병(癩病), 중풍병(中風病)
B : ‘죄(罪)와 심판(審判)’에서 구원 받음(27개)
- 죄(罪), 심판(審判), 재판(裁判), 정죄(定罪), 판단(判斷), 지옥(地 獄), 음부(陰府), 마귀(魔鬼), 시험(試驗), 고발(告發), 분쟁(紛 爭), 귀신(鬼神)
B’: 십자가(十字架), 유월절(逾越節), 양(羊), 진리(眞理), 은혜(恩惠),생명(生命), 긍휼(矜恤), 고난(苦難), 포도주(葡萄酒), 속량(贖良),사망(死亡), 염려(念慮), 형벌(刑罰), 환란(患亂), 회개(悔改)
C : 천국(天國)을 상속(相續) 받음(14개)
- 영생(永生), 영원(永遠), 생명(生命), 영혼(靈魂), 부활(復活), 영광(榮光), 천사(天使), 의인(義人),
고향(故鄕), 예배(禮拜), 경배(敬拜), 찬송(讚頌)
종합정리하면 ‘구원(救援)’이란 어려움(질병)이나 위험에서 구원받고,죄와 심판에서 구원받으며, 천국에서 영원한 생명을 얻는 것이다.
31) ‘구원(救援)’의 광의적 의미로 질병과 연관된 단어 7개, 협의적 의미의 죄, 사망과 연관된 단어 27개, 천국과 연관된 단어 14개를 연상하여 확장할 수 있다.
4.1.2. 목표어 ‘기도(祈禱)’
(1) 표준국어대사전의 정보 습득
‘인간보다 뛰어난 신적인 존재에게 비는 의식’이고, 성경적인 의미는‘성령 안에서 성경과 기도로 하나님과 교제하는 것’이다.
(2) 연상과 마인드맵
‘기도(祈禱)’에 대한 마인드맵을 통해 33개의 연관된 단어를 학습할 수 있다. 기도의 연상을 활용하여 망 이론과 원형 이론의 상보적 관점에서 ‘교제’와 ‘인도’로 연계시키고, 이를 다시 언어 외적인 연상으로 확장하여 어 휘망을 만들었다.32)'
<그림 3> ‘기도(祈禱)’ 연상 마인드맵
神
성령(聖靈) 성경(聖經)
기도(祈禱)
‘기도(祈禱)’에 연관된 한자어들은 ‘간구(懇求), 위로(慰勞), 인도(引導),음성(音聲), 응답(應答), 대답(對答), 허락(許諾), 신랑(新郞), 신부(新婦), 혼인(婚姻), 부모(父母), 자녀(子女), 자식(子息), 조상(祖上), 자손(子孫), 친구(親舊), 질문(質問), 교제(交際), 선생(先生), 제자(弟子), 목자(牧者), 양(羊),왕(王), 백성(百姓), 성령(聖靈), 성경(聖經), 율법(律法), 계명(誡命) 언약(言 約), 약속(約束), 지혜(智慧), 의인(義人)’ 등 33개이다.
32) ‘기도(祈禱)’의 의미는 ‘신과 성경으로 교제하는 것’으로 관계적 반의어와 상호 규정적 반 의어로 확장하여 33개의 한자어를 연상할 수 있다.
4.2. 의미 관계를 활용한 어휘 교육
연상 마인드맵을 통해 묶어진 어휘들을 의미 관계인 유의 관계, 동음 및 다의 관계, 반의 관계, 상하 관계로 분류한 어휘 학습으로 질적인 어휘 능력 을 신장시킬 수 있다.33) 어휘 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들은 어휘량의 확장과 어휘의 정확한 의미 파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4) 한자는 조어력과 축약 력이 뛰어나 어휘의 확장과 어휘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 이 된다.
<표 5>에서 비교해 본 결과 138개 단어 모두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려 있고, ‘구원(救援)’과 같이 3개의 번역 모두에서 사용된 단어는 그대로 사용 한다. 그리고 표준국어대사전에 ‘목자(牧者)’, ‘회개(悔改)’ 등 기독교 용 어로 등재된 단어는 가급적 그대로 사용한다. 다만 ‘인자(人子)’같은 단어 는 성경에 동음이의어인 ‘인자(仁慈)’가 나오는데 많은 사람들이 예수의 성 품을 가리키는 ‘인자(仁慈)’로 인식하므로 한자의 뜻 그대로 번역한 ‘사람 의 아들’35)도 허용한다. 또한 ‘사자(使者)’는 맹수 ‘사자(獅子)’와 동음어이 므로 ‘심부름꾼’으로, ‘외식(外飾)’은 ‘외식(外食)’ 등과 동음어이므로‘겉치 레’로, 그리고 ‘맹인(盲人)’은 ‘시각장애인’, ‘선지자(先知者)’는 ‘예언자(豫 言者)’, ‘표적(表蹟)’은 ‘기적(奇蹟)’ 등 현대어로 바꾸었다. 또한 ‘서기관(書記官)’은 일반직 4급 공무원의 직급으로 부이사관 아래이며 사무관의 위이 므로 사회ᆞ문화적 의미를 고려하여 ‘율법교사’로 바꾸었다. 자세한 것은<표 6>과 같다.
<표 6> 한자어와 현대어
한자어 | 우리말/현대어 | 변환 근거 |
간구(懇求) | 간구 | ‘간절히 바라다’의 의미로 ‘간청’ 또는 ‘사정하 다’의 의미로 번역 |
과부(寡婦) | 과부 | 남편을 잃고 혼자 사는 여자. |
과연(果然) | 과연 | 새번역에 ‘정말로’의 명사형 |
광야(廣野) | 광야 | ‘끝없이 넓고 큰 벌판’의 의미 |
긍휼(矜恤) | 긍휼 | 불쌍히 여겨 돌보아 줌. |
마귀(魔鬼) | 마귀 | <기독교> 적대자라는 뜻으로, 하나님과 대립하여 존재하는 악을 인격화하여 이르는 말. 유의어 사탄. |
맹인(盲人) | 시각장애인 | 유의어. |
목자(牧者) | 목자 | 목축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특히 양을 치는 사 람. <기독교> 신자를 양에 비유하여 신자의 신앙 생활을 보살피는 성직자를 이름. |
복음(福音) | 복음 | <기독교> 예수의 가르침. 또는 예수에 의한 인간 구원의 길. |
부인(否認) | 부인 | 결혼한 여자의 부인(婦人)은 동음어. |
분쟁(紛爭) | 갈라져 다툼 | 새번역은 ‘갈라짐’, 공동번역은 ‘다툼’의 유 의어. |
불의(不義) | 불의 | 의리, 도의, 정의 따위에 어긋남. 불의(不意): 미처 생각하지 않았던 판(예로 불의의 사건). 동음어. |
사도(使徒) | 사도 | <기독교> 예수가 복음을 널리 전하기 위해 특별 히 뽑은 12제자. |
사자(使者) | 심부름꾼 | 새번역은 ‘심부름꾼’. 동음이의어 ‘사자(獅 子)’. |
서기관 (書記官) | 율법학자 | 당시 서기관의 직업은 율법을 가르치고 연구하 는 학자로 오늘날의 서기관 직업과 다름. |
선지자 (先知者) | 예언자 | <기독교> 예수 이전에 나타나 예수의 강림과 하 나님의 뜻을 예언하던 사람. 유의어로 예언자. |
성경(聖經) | 성경 | <기독교> 기독교의 경전. 신약과 구약으로 되어 있음. |
한자어 | 우리말 /현대어 | 변환 근거 |
성령(聖靈) | 성령 하나님의 영 | <기독교> 성삼위 중의 하나인 하나님의 영을 이 르는 말. 유의어로 보혜사, 성신. |
세리(稅吏) | 세리 | 세금 징수의 일을 맡아보는 관리. 유의어 세관. |
시험(試驗) | 유혹 | 공동번역에서는 마귀의 ‘유혹’으로 번역. 유의어. |
실족(失足) | 실족 | 발을 헛디딤. 행동을 잘못함. 다의어. |
안수(按手) | 안수 | <기독교> 기도를 할 때 또는 성직 수여식이나 기 타 교회의 예식에서 주례자가 신자의 머리 위에 손을얹는일. |
안식일 (安息日) | 안식일 | <기독교> 유대교에서, 일주일의 제7일인 성일 (聖日). 기독교인들은 안식일의 의미는 기억하되 따로 지키지 않고, 주로 예수가 부활했다는 일요 일을 주일로 지킴. |
염려(念慮) | 걱정함 | 새번역, 공동번역 모두 ‘걱정’의 유의어임. |
영생(永生) | 영생 | <기독교> 예수를 믿고 그 가르침을 행함으로써 천국에서 영원히 삶. 공동번역은 ‘영원한 생 명’. |
영접(迎接) | 맞아들임 | 새번역, 공동번역 모두 ‘맞아들이다’의 의미 로 번역. |
외식(外飾) | 겉치레 | 유의어. 동음어로 외식(外食). |
유월절 (逾月節) | 유월절 | <기독교> 이스라엘 민족이 이집트에서 탈출한 일을 기념하는 유대교의 축제일. |
음부(陰府) | 음부 | 사람이죽은뒤에그혼이가서산다고하는세상. |
음성(音聲) | 음성 | 공동번역은 ‘목소리’ 유의어. |
의논(議論) | 의논 | 유의어로 모의(謀議). |
의인(義人) | 의로운 사람 | 동음어 의인(義認): 하나님이 인간을 의로운 존 재로 인정함. |
이방인 (異邦人) | 이국인(다른 나라 사람) | <기독교> 유대인이 선민의식에서 그들 이외의 여러 민족을 얕잡아 이르던 말. 유의어 이국인. |
이유(理由) | 이유 | 유의어로 원인, 까닭. |
인자(人子) | 인자 사람의 아들 | <기독교> 예수 자신을 이르는 말. 구세주의 초월성 과 동시에 그 인간성을 강조한 이름. 성경에서 동 음이의어인 ‘인자(仁慈)’는 예수의 성품을 나타냄. |
한자어 | 우리말 /현대어 | 변환 근거 |
잉태(孕胎) | 임신(妊娠) | 유의어 임신(妊娠). 아이나 새끼를 뱀. 어떤 사실 이나 현상이 내부에서 생겨 자라남(예로 민족적 비극의 잉태). 다의어. |
장로(長老) | 장로 | <기독교> 선교 및 교회의 운영에 참여하는 성직 의 한 계급. 나이가 많고 학문과 덕이 높은 사람.다의어. |
정죄(定罪) | 정죄 | 죄가 있는 것으로 단정함. 죄를 깨끗이 씻음의 정 죄(淨罪)와 동음어. |
제사장 (祭司長) | 제사장 | <기독교> 유대교에서, 예루살렘 성전에서 의식 이나 전례를 맡아보는 사람. |
주(主) | 주 | <기독교> 세상의 악이나 위험으로부터 인류를 구원하는 주인이라는 뜻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이르는 말. 유의어 구세주. |
중풍병 (中風病) | 중풍 | 중풍병은 중풍과 같은 의미임. 유의어. |
지경(地境) | 지경 | 나라나 지역 따위의 구간을 가르는 경계. 유의어 로 지역. 동음어로 지경(의존명사): 경우나 형편,정도의 뜻을 나타내는 말. |
지옥(地獄) | 지옥 | <기독교> 큰 죄를 짓고 죽은 사람들이 구원을 받 지 못하고 끝없이 벌을 받는다는 곳. |
찬송(讚頌) | 찬송 | <기독교> 하나님의 사랑과 은총을 기리는 노래. |
천국(天國) | 천국 | <기독> 이 세상에서 예수를 믿은 사람이 죽은 후 에 갈 수 있다는, 영혼이 축복받는 나라. 새번역,공동번역모두 ‘하늘나라’. |
충만(充滿) | 충만 | 공동번역은 ‘가득 참’. |
평안(平安) | 평안 | 유의어로 평화: 평온하고 화목함. |
포도원 (葡萄園) | 포도밭 | 유의어 포도밭. |
표적(表蹟) | 기적 | 표적(標的): 목표로 삼는 물건. 동음어.유의어 기적(奇蹟). |
회개(悔改) | 회개 | <기독교> 신앙생활로 들어가는 데 필요한 요건 의 하나. 살아온 삶이 잘못되었음을 자각하여 죄 인임을 반성하고 그로부터 벗어나려는 뜻을 세 워 새로운 생활로 들어가는 일. |
회당(會堂) | 회당 | <기독교>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고 따르 는 신자들의 공동체. 또는 그 장소. 유의어 교회. |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기독교 용어는 ‘선지자, 성령, 안식일, 이방 인, 인자, 영생, 천국, 제사장, 주, 복음, 장로, 회당, 마귀, 유월절, 회개, 목자,사도, 성경, 안수, 지옥, 찬송’ 등 21개이다. 이들 용어는 이미 기독교 용어로 사전에 등재된 말이므로 가급적 다른 말로 바꾸지 말고 성경과 관련된 한 자어의 의미를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한자어의 의미만이 아니라‘사도’(使徒: 예수가 복음을 널리 전하기 위해 특별히 뽑은 12제자)처럼 성 경적 지식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한자어의 의미를 쉬운 우리말로 부연 하여 학습할 경우에 유의어와 동음어, 다의어 등 의미 유형에 따라 비교하 여 학습할 필요가 있다.
33) 신희삼은 반의어를 이용한 어휘 학습의 장점을, 유추문과 추육영은 유의어 교육의 장점을 고찰하였다. 신희삼, “반의어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 방안”, 「언어학」 22:4 (2014), 297-316; 유추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유의어 교육 연구 : 고유어와 한자어 간의 유의어 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11); 추육영 “한국어교육에서 유의어 연 구의 현황 및 과제”, 「겨레어문학」 54 (2015), 375-405.
34) 조철현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 유형은 어휘(28.3%), 조사(24.4%), 철자(20.8%),어미(16.2%)로 어휘 오류가 가장 높고, 어휘의 의미 관계를 혼동하여 발생하는 의미적 오류 가 30% 이상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고 했다. 조철현,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2002년 국어정책 공모과제 연구보고서」, 문화관광부 (2002), 241-245.
35) ‘사람의 아들’(人子)은 ‘하나님의 아들’과 동일시되고 있다. 복음서 및 구약에서 그 ‘人子’는 인류를 죄에서 구원할 ‘하나님의 아들’로서 분명하게 표현하고 있으며, ‘아버지의 영광’가운데 심판자로서 오는 재림을 읽을 수 있다. 김세윤, 그 ‘사람의 아들’(人子) ― 하나님 의 아들(서울: 두란노, 2012) 참조.
4.2.1. 유의어(동의어)
두 개 이상의 단어가 서로 소리는 다르나 의미가 비슷할 때, 이들을 유의 관계에 있다고 한다. 엄밀한 의미에서 뜻이 똑같은 단어 쌍은 존재하지 않 으므로 동의어(同義語)는 유의어(類義語)에 포함시킨다. 동의어는 꼭 같은 의미와 용법을 가진 이형태의 단어를 말한다. 유의어는 지적 의미 내지 개 념적 의미가 유사한 단어를 지칭하는 말로서 유의어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어느 환경에서는 등가어로서 대치 가능한 경우(가)와 교체가 불가능한 경우(나)가 있다.
(가) 맹인(盲人):시각장애인, 이방인(異邦人):이국인, 외식(外飾):겉치레,선지자:예언자, 사자:심부름꾼, 염려:걱정, 분쟁:다툼, 주(主):구세주,표적:기적, 회당:교회, 마귀:사탄, 세리:세관, 포도원:포도밭, 의논:모 의, 음성:목소리, 이유:원인, 까닭, 중풍병:중풍, 지경:지역, 평안:평화
(나) 기도(祈禱)-간구(懇求), 고난(苦難)-고통(苦痛), 속량(贖良)-속죄(贖 罪), 진리(眞理)-진실(眞實)-사실(史實), 예배(禮拜)-경배(敬拜), 찬송(讚頌)-찬양(讚揚)-찬미(讚美), 심판(審判)-판단(判斷)-재판(裁判), 성 경(聖經)-율법(律法)-계명(誡命)-언약(言約)-약속(約束)
또한 지적 의미나 개념적 의미는 동일한데 감정 요소를 달리하는 유의어 가 있다. ‘문둥병-나병(癩病)’의 관계는 문둥병이란 표현은 나병환자를 낮 잡아 일컫는 말이며, ‘소경-맹인(盲人), 시각장애인’의 관계도 소경은 맹인 을 낮잡아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나이-춘추, 연령’과 같이 지적 의미는 동 일하지만 감정 요소를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고유어와 한자어의 차이도 발견할 수 있다.
4.2.2. 동음어와 다의어
동음어(同音語)는 발음이나 철자가 동일한데 뜻이 다른 말로 동음이의어 이다. 반면에 다의어(多義語)는 한 단어가 기본적 의미 외에 부차적 의미를 하나 이상 갖는 단어를 말한다. 동음어는 표제어가 2개 이상이고 어원적 유 사성이 없는 반면에 다의어는 표제어가 하나이고 어원적 유사성이 있다. “어떤 사실을 인정하지 않음의 부인(否認)과 결혼한 여자의 부인(婦人), 심 부름꾼의 사자(使者)와 맹수의 사자(獅子), 의로운 사람의 의인(義人)과 의 로운 존재로 인정하는 의인(義認), 인자(人子)와 인자(仁慈), 외식(外飾)과 외식(外食), 정의에 어긋나는 불의(不義)와 미처 생각하지 않은 불의(不意),죄가 있는 것으로 단정함의 정죄(定罪)와 죄를 깨끗이 씻음의 정죄(淨罪)”등은 동음어이다. 그리고 다의어의 예로 ‘실족(失足)’은 발을 헛디딤이지만 행동을 잘못함의 의미도 있다.36) 그리고 ‘잉태(孕胎)’는 아이나 새끼를 뱀 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어떤 사실이나 현상이 내부에서 생겨 자라 남의 의미도 내포한다
36) 원문과대조해보면,‘다른사람을죄짓게함’의의미로도쓰이고있다.
4.2.3. 반의어
한 쌍의 단어 의미가 서로 반대되거나 또는 짝을 이루어 서로 관계를 맺 고 있는 단어들을 반의어(反意語)라고 한다. 이쪽이 아니면 저쪽이라고 자 동적으로 정해지고, 중간 항이 없는 양극적인 관계가 성립되는 반의를 상 보적 반의어라고 하며 본고에서 나타난 예는 다음과 같다.
생명(生命) - 사망(死亡) 구원(救援) - 심판(審判)천국(天國) - 지옥(地獄) 의인(義人) - 죄인(罪人)
그리고 어떤 중심점을 상정하여 서로 다른 관계나 방향성을 나타내는 반 의 관계를 관계적 반의라고 한다. 다음은 상호 규정적으로 성립되는 반의 관계이다.
부모(父母) - 자녀(子女), 자식(子息)조상(祖上) - 자손(子孫), 후손(後孫)신랑(新郞) - 신부(新婦)
왕(王) - 백성(百姓)
의사(醫師) - 병자(病子)
선생(先生) - 제자(弟子)목자(牧者) - 양(羊)천사(天使) - 마귀(魔鬼)
4.2.4. 상의어와 하의어
두 개의 단어 중 한 단어의 의미가 다른 단어의 의미에 포함하거나 포함 될 때, 그들의 관계를 상하 관계 또는 포함 관계라 한다. 예를 들면, 상의어(上義語, 또는 상위어[上位語])인 ‘병(病)’은 ‘수종병(水腫病), 열병(熱病),혈루병(血漏病), 병자(病者), 맹인(盲人), 나병(癩病), 중풍병(中風病)’ 등 하 의어(下義語. 또는 하위어 [下位語])를 포함한다. 병(病)의 한자를 익히면 7개의 하의어 한자어를 이해할 수 있다. 마가복음 7장에는 ‘죄(罪)’의 목록을 나열하였는데 ‘음란(淫亂), 도둑질, 살인(殺人), 간음(姦淫), 탐욕(貪慾), 악 독(惡毒), 속임, 음탕(淫蕩), 질투(嫉妬), 비방(誹謗), 교만(驕慢), 우매(愚昧)’등은 하의어가 되며 ‘죄(罪)’는 상의어이다.
지금까지 연상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어휘의 의미를 머릿속에 저장함으 로써 보다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어휘 를 기억하였다가 필요한 순간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략적인 방법을 고찰하였다. 또한 성경 한자어의 어휘량을 확장하면서도 어휘 간의 의미 관계를 유의 관계, 동음 관계, 다의어 관계, 반의 관계, 상하 관계로 분류하 고, 이를 통해 단어의 의미 관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질적인 어휘 교육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5. 결론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의 방안으로 성경에 수록된 한자어를 사복음서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어휘력을 신장시 킬 수 있는 한자어 교육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비한자문화 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자어 학습을 통한 어휘력 신장을 고찰하였다. 이 를 위해 성경 사복음서에 등장한 한자어 2,116개 중 5회 이상 출현한 한자 어 개수 290개를 선정하고, 이중 네 권의 책에서 중복된 단어 138개를 중심 으로 출현 빈도수가 높은 한자어와 공통으로 중복된 어휘들을 선정하여표준국어대사전, 새번역, 공동개정을 서로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어휘 교육 방안으로 연상을 활용하여 많은 단어를 학습할 수 있도 록 하면서도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어휘 학습 방안 을 제시하였다. 이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어휘의 의미 정보를 습득하고,한국어 교사의 머릿속 연상을 마인드맵으로 이미지화하여 기존에 알고 있 던 지식에 통합하는 방식으로 어휘량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연상 마인드맵을 통해 학습한 어휘는 쉽게 기억되고, 그 기억하는 기간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또한 유의어, 반의 어, 동음어, 다의어 교육을 통한 단어 간 의미 관계를 학습함으로써 학습자 가 상황과 문맥에 맞게 재조직할 수 있는 유연성을 발휘하여 창조적인 어 휘 학습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성경 한자어 연구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성경의 한자어를 통해 한국어의 어휘력 향상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사복음서의 주(主), 죄(罪), 인자(人子), 구원(救援) 등 주요 핵심어를 학습함으로써 성경 말씀을 배우고 깨닫게 하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References)
공동번역 성서, 서울: 대한성서공회, 1977.
공동번역 성서 개정판, 서울: 대한성서공회, 1999.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서울: 대한성서공회, 1998.
聖經全書 國漢文, 서울: 대한성서공회, 2014.
성경전서 새번역, 서울: 대한성서공회, 2001.
라이프성경사전, 서울: 가스펠서브, 2007.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15-74호 [별책5].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동아, 1999.
국립국어원, “표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어휘 교수 목표 및 내용”, 2010, 149,166-167.
국립국어원,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개발”, 2010.
강현화, “한국어교육용 기초 한자어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 12 (2001), 53-70.
강현화, 김창구, “어휘력 신장을 위한 기본 한자어의 조어력 조사”, 「말」 25·26 (2001), 190-196.
김세윤, 그 ‘사람의 아들(人子)’ ― 하나님의 아들, 서울: 두란노, 2012.
김은혜, “연상을활용한한국어어휘의미교육연구― 고급한국어학습자를대상으로 ―”,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012.
김은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론, 서울: 역락, 2017.
김은혜, “의미 중심 어휘지도를 위한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 조사”, 「새국어교육」 88 ( 2011), 135-169.
김정남, “한국어교육(韓國語敎育)에서 한자교육(漢字敎育)의 위상과 방향”, 「어문연구」 33 (2005), 399-424.
김중섭, “外國人을 위한 한국어 漢字敎育 연구”, 「어문연구」 95 (1997), 95-113.김지형,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 「어문연구」 118 (2003),377-402.
문금현,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한자어 학습 방안”, 「이중언어학」 23 (2003),13-35.
민영진, 전무용, “한국어 번역 성경에 나타난 중국어 성경과 일본어 성경의 영향”,「성경원문연구」 19 (2006), 176-198.
박덕유,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선교 전략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박덕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어휘력 신장 연구(1) ― 한국어 漢子 및 漢字語를 중심으로”,「언어와 문화」 5:1 (2009), 85-104.
박덕유, “한국어 성경 마가복음의 높임법 화계 분석 및 고찰”, 「성경원문연구」 34 198 「성경원문연구」 45 (2019. 10.), 162-200(2014), 83-109.
신희삼, “반의어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교육 방안”, 「언어학」 22:4 (2014), 297-316.안효미, “초등영어에서 마인드맵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6학년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오성애, “중국인(中國人)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韓國) 한자(漢字)와 한자어(漢字語) 교육(敎育)의 기초 연구”, 「새국어교육」 79 (2008), 255-279.유추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유의어 교육 연구: 고유어와 한자어 간의 유의어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11.
윤철희, “한자(漢子)를 활용한 신앙교육 연구: 성경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장신대학교, 2017.
이민우, “반의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 49 (2012), 219-242.이선중, “어원분석학적 접근을 활용한 한자어 교육 연구”, 「새국어교육」 112(2017), 211-243.
전무용, “성경전서 개역개정판 간이국한문의 한자어”, 「성경원문연구」 17 (2005), 178-209.
정승혜, “外國人을 위한 國語 漢字 敎育 硏究”,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1998.
정유진, “중국어와 한국 한자어 비교분석: 語彙를 中心으로”,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정희지, 이일지, “이미지를 활용한 어휘교육의 효과”, 「언어연구」 27 (2010), 599-616.
조지윤, “존대법 번역과 성경 번역 접근법”, 「성경원문연구」 25 (2009), 127-148.조철현,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유형 조사 연구”, 「2002년 국어정책 공모과제 연구보고서」, 문화관광부, 2002, 241-245.
최주열, “한자 교육 방법에 관한 고찰 ― 외국인에 대한 한자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 5 (1994), 145-174.
추육영, “한국어교육에서 유의어 연구의 현황 및 과제”, 「겨레어문학」 54 (2015),375-405.
한재영, “外國語로서의 韓國語 漢字敎育을 위한 기초적 연구: 非漢字文化圈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문연구」 120 (2003), 557-586.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www.ethnologue.com (2019. 7. 25.).
(투고 일자: 2019년 7월 29일, 심사 일자: 2019년 8월 23일, 게재 확정 일자: 2019년 10월
첫댓글 한분이라도 후원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후원참여는 없습니다
먹을것 쌀과 식재료를 사야되는데 후원으로 도와주시거나
택배로 쌀을 보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카페에 후원을 하신분은 사랑회원(최우수)이 되십니다...
카페지기의 생활이 어렵습니다 매달 정기 후원으로
도와주시면 카페 운영에 큰힘이 됩니다 한달에
몇분만 후원하시는데 공과금과 약값을 마련하지 못합니다,,,
카페를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길 바랍니다
카페지기는 지병.때문에 매달 치료비가 많이듭니다
매월 공과금과 LH.주거임대 임대료 관리비 마련이 어렵습니다
건강이 않좋아 병원을 다니며 살아가는데 지병과 장애 나이도
들다보니 수입이 전혀 없습니다 어려우시더라도 회원님께서는
작은 사랑으로 카페지기에게 용기를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길 기도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카페지기 전화입니다 010.2261~9301
국민은행 229101-04-170848 예금주.황종구
농협 233012-51-024388 예금주.황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