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 8. Kulagharaṇīsuttaṃ 228. Ekaṃ samayaṃ aññataro bhikkhu kosalesu viharati aññatarasmiṃ vanasaṇḍe. Tena kho pana samayena so bhikkhu aññatarasmiṃ kule ativelaṃ ajjhogāḷhappatto viharati. Atha kho yā tasmiṃ vanasaṇḍe adhivatthā devatā tassa bhikkhuno anukamipikā atthakāmā taṃ bhikkhuṃ saṃvejetukāmā yā tasmiṃ kule kulagharaṇī tassā vaṇṇaṃ abhinimminitvā yena so bhikkhu tenupasaṅkami. Upasaṅkamitvā taṃ bhikkhuṃ gāthāhi ajjhabhāsi: Nadītīresu saṇṭhāne sabhāsu rathiyāsu ca, Janā saṅgamma mantenti mañca tañca kimantaranti, 1. Devakāyasmi-macasaṃ. Syā 2. Pavisa-machasaṃ. 3. Vinibandhaṃ-[pts. 4.] Vasaṃ upesīti-machasaṃ. [BJT Page 360] [\x 360/] Bahū hi saddā paccūhā khamitabbā tapassinā, Na tena maṅku hotabbaṃ na hi tena kilissati. Yo ca saddaparittāsī vane vātamigo yathā, Lahucittoti taṃ āhu nāssa sampajjate vatanti. | (SN 9.8-집안 안주인(가정주부) 경)
228.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 때에 어떤 비구가 꼬살라의 어떤 밀림에 머물고 있었다. 그 무렵 그 비구는 어떤 신도 집과 지나치게 친밀하게 지냈다. 그러자 그 비구를 연민하고 그의 이익을 원하는 숲에 사는 신(여신)이 그 비구에게 절박감(경각심)을 일으키기 위해서 그 집안의 안주인 모습을 나툰 뒤 그 비구에게 다가갔다. 가서는 그 비구에게 게송으로 말했다. [어떤 신] “강의 언덕에서도 쉬는 곳에서도 집회소에서도 길에서도 사람들은 함께 모여 수근수근 합니다. 그대와 나 사이에 무슨 일이 있냐고요.” [비구] “귀에 거슬리는 많은 소리들이 있으니 고행자는 그것을 견뎌야 합니다. 그러나 그로 인해 언쨚을 필요까진 없습니다. 그 때문에 오염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바람소리에 놀라는 숲 속의 사슴처럼 그런 소리에 놀란다면 그를 두고 마음이 가벼운 자라 합니다. 그의 서원 어디서도 성취되지 못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