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데없이 좌동순환로 가로수 교체사업. 쫒겨나는 아쉬움 남는 나무 추억마져 빼앗아가는 조경공사







이 구실잣밤나무의 가로수 좌동순환로에 그늘을 자랑하며 좌동 신도시 조성의 20년 역사 간직한 나무다. 도로변의 학교앞 구실잣밤나무 많은 애환을 간직하며 자동차의 매연을 막아주고 소각장의 공해를 혼자 뒤집어 쓰며 행인들 보호해 주는 이 나무 난데없이
쫒겨나고 있어 아쉬움 더한다. 항암적 효과 뛰어난 이 나무 왜 쫒아내야만 하나! 멀쩡한 나무 벌목 이해되지 않는다.
한려해상공원에는 이 나무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하필이면 그늘 아쉬워하는 이 시기에 교체하는 수목이 구실잣밤나무의 그늘을 언제 대신할까? 과연 올바른 판단인가? 국가적 재정의 문제점이 뻔히 보이는데 예산낭비....... 아주 혼란스럽다.
제주도 서귀포의 KAL호텔과 완도수목원을 구청관계공무원 한번 다녀오기를 부탁한다. 그리고 파리의 몽마르뜨 언덕을 올라보시기를 권해보는 마음에서 2015년 가장 실패한 가로수 조성사업으로 선정해둔다. 2주정도의 냄새 조금은 참아보자. 면역력증대 건강!!!
첫댓글 왜 이렇게 되었는지 해운대 구청 홈페이지 에 충분한 해명(설명?)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BEXCO 도로변 정원수 구실잣밤나무 좌동신시가지의 나무와 다른 종류 아닐텐데 관리자의 가치관 차이때문 아닐까 싶다.
구실잣밤나무 충무동사거리에서 송도해수욕장 가는 길 보십시다. 여수세무서 가는길 가로수로 순천에서도 가로수 많이 보이던데 혹시 해운대구2016년도에 또 슬쩍 가로수교체사업 수행하지 않을지 주민님들 지켜봐주세요
"식물체 구성물질 중 항균활성을 보이는 페놀함량 조사결과 구실잣밤나무 32.3㎎/g, 참가시나무 8.32㎎/g, 종가시나무 6.83㎎/g, 개가시나무 5.95㎎/g, 붉가시나무 5.24㎎/g 순으로 나타나 구실잣밤나무가 조사 대상 나무 중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지난해부터 2016년까지 제주대 자원식물연구실(교수 송창길)과 공동으로 제주 대표 15수종을 대상으로 작물에 발생하는 병원균의 항균활성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원은 앞으로 이 연구결과를 가지고 작물 현장 실험을 할 예정이다. 작물 현장실험에서도 역병 항균 효과가 나타날 경우 농가에서 농약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