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당귀, 개당귀 비교
참당귀
사진1
전체적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 전초 사진을 올렸다.
참당귀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이다.
잎의 모양이 좀 불규칙해서 자유롭게 보인다. 거치(잎가의 톱니)도 깊게 혹은 얕게 자유롭다.
초록색으로 신선한 감을 느끼게 한다. 잎이 얇고 탐스러워 먹음직스럽게 보인다.
줄기는 깨끗하며 짙은 자색을 띠지만, 어린 것 등 자라는 상태에 따라 자색이 아닌 녹색인 줄기도 있다.
줄기 가운데를 자세히 보면 얕은 홈이 나있다.
가지나 잎이 갈라지는 마디에는 자색 선점이 전혀 없어 깨끗하게 보인다.
참당귀
사진2: 개당귀
대부분 위의 참당귀와 반대인 경우가 많다.
전체적으로 개체가 딱딱한 느낌이 든다.
잎의 모양이 단정한 편이다. 잎의 거치(톱니)도 규칙적이다.
색감이 초록색에 흰빛을 띠고 있어 참당귀 만큼 신선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잎과 줄기는 좀 질긴 감을 느끼게 하고 실제로도 좀 질기다.
줄기는 홈이 없이 둥글고 매끈하다.
마디마다 갈라지는 분지점에 자색 선점이 있다.
개당귀 : 세 갈래로 갈라지는 지점에 담자색의 붉은 점이 확실히 보인다.
사진3: 두 개체의 비교
사진의 왼쪽 것이 참당귀이고 오른쪽이 개당귀이다.
참당귀는 잎 끝이 좀 뾰족한 편이다. 줄기는 전체적으로 자색을 띠고 있다.
사진의 참당귀는 줄기가 옅은 자색을 띠고 있다.
하지만 뿌리와의 연결부는 백록색으로 깨끗하다.
개당귀는 참당귀보다 잎이 약간 더 백록색이다. 잎 뒷면은 그 정도가 더하다.
잎이 가지런하고 둥근 편이다. 줄기는 연초록으로 매끈하다.
마디에는 자색 선점이 분명하다.
뿌리 연결부도 자색을 띠고 있다.
사진에는 잘 나타나지 않았지만 뿌리의 색도 개당귀가 더 짙은 색이다.
왼쪽 : 참당귀, 오른쪽 : 개당귀
사진4: 뿌리 연결부를 더 확대해서 보자.
참당귀도 어느 정도 자색을 띠고 있지만 개당귀는 그 정도가 확연하다.
가을에 뿌리를 채취할 때 지상부를 잘라 없애고 뿌리만 가져오게 되는데,
행여 잘못해 개당귀가 들어있지 않나 확인할 때는 이 부분을 보면 된다.
줄기와 뿌리 연결부
사진5: 잎 비교
참당귀는 잎이 긴 편이고 따라서 더 뾰족해 보인다. 잎과 잎사이 연결부는 서로 붙어있다.
이에 반해 개당귀는 잎이 하나씩 따로 잎줄기에 달려있다.
개당귀는 줄기가 갈라지는 부분 뿐만 아니라 잎이 갈라지는 지점에도 자색 선점이 있다.
잎 비교
사진6: 잎 뒷면
참당귀 잎 뒷면은 앞면과 마찬가지인 녹색으로 광택이 있어 싱싱해 보인다.
하지만 개당귀의 뒷면 잎은 흰빛을 띄고 광택이 없다.
뒷면 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