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17시간 ·
1. 삼국사기에서 언급하는 전투 지명들과 근거 사료.
2. 김일제(경주 김씨 시조) 후손 집성촌과
최치원 사원( 양자강 유역의 양주)
3. 중국 사서 기록에서 나타나는 신라.
[양서, 통지] 신라는 토지가 기름져 오곡이 자라기 알맞고 뽕나무와 삼이 많으며, 비단을 짠다.
[수서] 신라에는 전답이 아주 기름지며 논농사 밭농사를 모두 할 수 있다.
[신당서] 신라에는 가축으로 양은 없고, 노새는 적고 말이 많다.
[송회요] 신라에서는 낙타와 물소가 자라기 알맞고 인삼, 수은, 사향, 잣, 개암, 석결명, 방풍, 백부자, 복령, 대소포, 모시베, 초석, 서모필이 난다.
[제번지] 신라는 지역이 낙타와 물소가 자라기에 알맞다. 돈을 사용하지 않고 교역을 할때 쌀로 한다.
민가에서 쓰는 기명은 모두 구리로 만든다.
지역에서 인삼, 수은,사향, 잣, 개암, 송탑자, 방풍, 백부자, 복령, 대소포, 모시포, 동경, 자기 초석 등이 난다.
상선은 오색의 무늬 있는 비단과 복건에서 찍은 서적을 싣고 가서 무역을 하였다.
[통지] 신라는 토질이 기름져서 오곡이 자라기 알맞고 뽕나무와 삼이 많고 과일과 채소, 새와 짐승, 물산이 풍부하다.
***************************************
우리가 배운 역사에서 신라, 학반도 땅의 경상도, 강원도의 척박한 산지로 이루어진 곳에서 저렇게 토지가 비옥하고 전답이 기름져서 오곡이 잘 자라고 뽕나무, 삼이 많고 물산이 풍부할까?
한반도 경상도 땅에서 낙타와 물소가 자라기 적합한 환경??
(물소는 회수, 양자강 이남에서 자라는 동물, 이 물소의 뿔로 만드는 무기가 쇠뇌, 각궁)
중국 왕조 기록과 사서에서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내용을 적고 있다.
이게 과연 학교때 배운 역사와 너무도 다르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