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 낚시용품 시장현황 | ||||
---|---|---|---|---|---|
작성일 | 2014-10-22 | 국가 | 중국 | 작성자 | 강현희(우한무역관) |
품목 | 낚싯대ㆍ낚싯바늘과 그 밖의 낚시용구, 낚시용 망ㆍ포충망(捕蟲網)과 이와 유사한 망, 조류 유인용구(제9208호나 제9705호의 것은 제외한다)와 이와 유사한 수렵용구 | ||||
품목코드 | 9507 | ||||
-->
-->
1. 시장현황
□ 시장규모
○ 생활여건이 개선되고 여가시간이 증가하면서 낚시를 즐기는 중국인이 증가했음. ○ 중국낚시협회(中國釣魚協會)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중국 낚시인은 9000만 명 이상이며 낚시용품점은 3만5000여 개인 것으로 집계됐음. ○ 중국항업보고망(中國行業報告网)의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중국 낚시용품 시장규모는 매년 18%정도로 성장해 2013년에는 낚시용품 판매량이 6741만 개였으며 총판매액은 50억6000만 위안(약 8억2000만 달러)였음.
□ 시장전망
○ 중국의 주 5일 근무제 시행 이후 여가활동으로 낚시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남. ○ 최근 프로낚시연맹이 등장해 프로낚시에 가입하는 사람이 늘어났음. 프로낚시선수의 경우 취미로 낚시를 즐기는 사람에 비해 낚시용품 소비액이 20배 정도 높음. ○ 중국 내 각종 낚시 대회도 매년 증가하고 있음. 중국낚시운동협회(China Angling Association)는 2013년부터 바다낚시대회를 국가급 대회로 포함시키고 상금을 대폭 높여 대회참가를 장려함.
□ 수입동향
○ 중국의 낚시용품 수입액은 2011년 5590만 달러, 2012년 6316만 달러, 2013년 4365만 달러임. ○ 2013년 센카쿠열도 분쟁*으로 일본 수입액이 2012년 대비 2000만 달러 가량 하락했음.(하락폭 43%) * 센카쿠열도 분쟁: 센카쿠열도(중국어:조어도/釣魚島) 영유권을 놓고 일본, 중국, 대만이 각자의 영토로 간주하는 분쟁을 말함. ○ 중국 낚시용품 10대 수입국 중 한국은 2위를 차지했으며 2013년 수입액은 500만 달러로 총점유율은 11.4%임.
2. 수입제도, 관세율 및 유통구조
□ 수입규제제도
○ 일반적인 제품수출 통관수속을 따르며 기타 특별사항은 없음.
□ 관세율
□ 유통구조
○ 한국수출 → 중국수입 → 중간유통단계(도매상, 소매상 등) → 최종소비자
3. 경쟁동향
□ 경쟁동향 개괄
○ 현재 전 세계 낚시용품의 80%가 중국 OEM으로 생산됨.(미국, 일본, 한국 등 해외기업이 중국에 공장을 설립했음.).
○ 다이와(Daiwa), 시마노(SHIMANO), 오쿠마(OKUMA)와 같은 해외기업이 시장의 10%, 랑왕(狼王), 디쟈(迪佳), 리요우비(利优比)와 같은 중국 현지 선도기업이 시장의 20%, 터번(特奔), 웨이야(維亞)와 같은 중국 지역의 우수기업이 시장의 30%, 카이터(凱特), 루이바오(瑞宝), 하이보(海伯)와 같은 중국 지역 중소기업이 시장의 40%를 차지함.
○ 한국, 일본 등 해외제품의 경우 품질이 뛰어나고 기능이 다양하지만 중국 현지제품에 비해 가격이 높음.
□ 경쟁제품
○ 중국 낚시용품시장의 주요 브랜드로는 디쟈(迪佳), 파차이(法萊), 광웨이(光威), 타이핑양(太平洋), 땨오위왕(釣魚王) 등이 있음.
○ 상위 브랜드 중 디쟈(迪佳)의 시장점유율이 1.3%로 가장 높으며 파차이(法萊)와 광웨이(光威)가 1.1%, 타이핑양(太平洋)이 1.0%, 땨오위왕(釣魚王)이 0.8%순이었음.
□ 한국 제품 인지도 및 한국 기업 진출사례
○ 한국 제품 인지도 - 아주 높음 ( ) 높음 ( √ ) 보통 ( ) 낮음 ( ) 아주 낮음 ( ) - 한국 낚시용품의 경우 중국 제품보다 품질이 뛰어나면서 일본 제품보다 가격이 저렴한 것이 특징임. - 현재 중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한국 브랜드로는 DONGMI, Kilsong, APIS, NS, 반도 등이 있음.
○ 한국 기업 진출사례
4. 참고사항
□ 전문 전시회 정보
□ 마케팅활동 참고사항
○ 중국 내 주요 낚시용품 유통처 파악 - 허베이(河北)성 랑팡(廊坊)시의 ‘대광국제 낚시용품성(大厂國際漁具城)’은 중국 내 최대 낚시용품 유통처로 화베이(華北), 동베이(東北), 시베이(西北), 화중(華中)지역의 대부분의 낚시용품이 이곳을 통해 유통됨.
○ 지역별 제품 차별화전략 필요 - 상하이(上海), 광동(广東), 선전(深圳)등 도시에 거주하는 중국인은 소득수준이 높아 품질이 뛰어난 중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음. - 쓰촨(四川), 충칭(重慶) 등 서부지역의 경우 민물낚시용품에 대한 수요가 높음.
○ 바다 낚시시장 확대 - 최근 중국 내 레저관광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바다낚시시장이 확대됨. - 현재 중국에는 300개 이상의 바다낚시 클럽이 있으며 총가입자는 40만 명 이상임.
○ 루어 낚시시장 공략 - 최근 생미끼가 아닌 ‘루어’라는 모조미끼를 사용한 낚시기법이 확대됨. - 루어낚시의 경우 생미끼와 같은 효과를 내면서도 입수 및 보관에 번거로움이 없으며 하나의 미끼로도 여러 번 낚시할 수 있음. - 생미끼를 다루기 어려워하는 초보자나 여성, 어린이의 수요가 높음.
자료원: 중국낚시협회(中國釣魚協會), 중국항업보고망(中國行業報告网), 중국낚시운동협회(China Angling Association), TRADE MAP, 중국해관, KOTRA 우한 무역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