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종목 | 이슈요약 |
교보10호스팩 (355150) 3,670원 (+29.91%) | 코스텍시스와 합병 승인 등에 상한가 |
▷합병 상장을 위한 임시주주총회에서 코스텍시스와 합병 안건이 승인됐다고 공시. 이에 따라 주식회사 코스텍시스로 상호변경되며 오는 4월 코스닥시장에 변경상장할 예정. ▷업계에 따르면, 코스텍시스는 저열팽창 고방열 소재 부품 전문기업으로 2016년 고방열 소재 국산화에 성공해 고방열 소재부터 제품까지 자체 생산하고 있으며, 고방열 소재부터 제품까지 자체 생산은 전세계에서 당사가 유일한 것으로 전해짐. 주력 제품은 RF 패키지에 적용되는 고방열 반도체 패키지로 2013년 글로벌 반도체 기업 NXP의 엔지니어링 승인 이후 신뢰성 평가와양산품 납품을 지속해온 것으로 알려짐. |
샌즈랩 (411080) 24,900원 (+18.57%) | 신규상장 첫날 급등 |
▷금일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동사의 주가는 공모가 10,500원을 상회한 21,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뒤 급등세를 기록. 반면, 최대주주인 케이사인의 주가는 급락세를 기록. ▷한편, 동사는 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CTI, Cyber Threat Intelligence) 전문업체로, 다양한 채널로부터 수집한 악성코드 등의 사이버 위협 정보를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한 자체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인텔리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서플러스글로벌 (140070) 4,765원 (+15.24%) | 구글, 서버용 칩 자체생산 위해 TSMC에 설계권한 이양 소식 속 주요 고객사로 TSMC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
▷일부 언론에 따르면, 구글이 서버용 칩(Chip)을 자체적으로 생산하기로 하고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에 서버 칩 위탁 생산을 위한 설계권을 넘긴 것으로 전해짐. ▷한편, '챗GPT' 열풍으로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인공지능(AI)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면서 TSMC 등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에 긴급 주문이 쏟아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TSMC 등을 주요 고객사로 보유한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셀레믹스 (331920) 6,860원 (+14.52%) | 美 매사추세츠주 공공조달 시장 진출 소식에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매사추세츠주 주정부와 공공기관, 대학 등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공공조달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고 밝힘. 동사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 글로벌공공조달연구센터가 국내 기업의 미국 조달시장 진출을 돕기 위해 기획한 국제입찰 프로젝트에 선정됐으며, 이를 통해 매사추세츠주 공공조달업체의 자격을 얻게 됐으며 기간은 2029년까지로 전해짐. ▷한편, 이번 매사추세츠주 공공조달의 핵심 제품인 전장엑솜분석(WES, Whole Exome Sequencing) 패널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에 공급을 시작하는 등 제품 경쟁력을 확인한 바 있고 올해 동사의 해외사업 확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품목인 것으로 알려짐. |
레이 (228670) 25,650원 (+8.23%) |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 달성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89.97억원(전년대비 +42.79%), 영업이익 162.13억원(전년대비 +378.63%), 순이익 73.27억원(전년대비 +12,708.24%).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며, 디지털 치료 솔루션 시장의 구조적 성장과 신규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한 신규 매출 확대 등이 호실적을 견인했다고 밝힘. |
미래에셋벤처투자 (100790) 6,080원 (+6.85%) | AI 반도체 기업 지분 투자 포트폴리오 공개 소식 등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통해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인 세미파이브, 리벨리온 등에 총 413억원 규모 지분을 투자한 포트폴리오를 공개했음. 특히, 리벨리온은 국내 최초로 챗GPT, BERT 등의 언어모델까지 지원하는 AI 반도체를 출시해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동사는 지난해 리벨리온 시리즈A 단계에 리드 투자자로 참여해 50억원을 투자했다고 알려짐. 아울러 세미파이브의 경우 시드 단계부터 시리즈A, 시리즈B까지 전 단계에 걸쳐 363억원을투자해 기관투자자 중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고 전해짐.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세미파이브와 리벨리온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하는 ‘루닛’, ‘몰로코’, ‘매스프레소’ 등에도 1,5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AI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며, “AI와기존 산업 간 융합이 더욱 빨라지고 있어 향후 AI 산업 밸류체인에 속한 기업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성과가 예상된다”고 밝힘. ▷한편, 리벨리온에 투자한 바 있는 SV인베스트먼트도 상승세를 기록. |
체리부로 (066360) 1,199원 (+6.01%) | 지난해 호실적에 강세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023.90억원(전년대비 +10.67%), 영업이익 166.30억원(전년대비 +696.98%), 순이익 114.19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
DSC인베스트먼트 (241520) 4,655원 (+5.32%) | 투자사 퓨리오사AI, 챗GPT 지원 차세대 5nm AI칩 개발 소식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퓨리오사AI가 '챗GPT 지원' 차세대 5nm AI칩을 개발해 내년 1분기부터 양산에 들어간다는 소식이 전해짐. 해당 제품은 1세대 제품보다 성능을 8배나 높인 점이 특징이며,최첨단 메모리반도체의 일종인 HBM3도 탑재되는 것으로 알려짐. 이와 관련, 백준호 대표는 "2세대 AI 칩은 성능을 극대화한 것은 물론, 주요경쟁사인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과 비교해도 전력 대비 성능을 2~3배 이상 달성할 수 있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동사가 퓨리오사AI에 투자한 사실이 부각되며 상승. |
에스엠엔터테인먼트 그룹주 | 에스엠 경영권 분쟁 과열 등에 상승 |
▷전일 일부 언론에 따르면, SM엔터 지분 9%를 확보해 2대주주에 오르려는 카카오가 하이브와 벌이고 있는 SM엔터 경영권 분쟁에 CJ를 끌어들이기 위해 의사를 타진한 것으로 전해짐. CJ그룹이 지분 매입에참여할 경우 SM엔터 경영권 분쟁은 ‘카카오+CJ+SM엔터 경영진’ 대 ‘하이브+이수만’ 간 대결이 되면서 한층 격 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다만, CJ 측은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짐. ▷하이브의 공개매수가 시작된 이후 지분 확보 경쟁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운데, 에스엠, SM C&C, SM Life Design, 디어유 등 에스엠엔터테인먼트 그룹주가 상승. 반면, 경영권 인수전에 참여한 하이브와 카카오의주가는 하락세를 기록. ▷한편, 디어유는 일본 시장 진출 본격화 및 에스엠 인수전 효과 기대감 등도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 [종목]: 에스엠, SM C&C, SM Life Design, 디어유 |
희림 (037440) 10,180원 (+4.84%) | 베트남, 5.3조원 규모 롱탄 국제공항 프로젝트재추진 소식 속 롱탄 신공항 실시설계 수주 사실 부각되며 상승 |
▷일부 언론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가총 사업비 5조3,000억원 규모의 초대형 국책사업인 롱탄 국제공항 프로젝트를 재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짐. 이와 관련, 베트남 교통운송부에따르면 베트남공항공사(ACV)는 동나이성 롱탄 신공항 1단계 사업 주요 패키지인 여객 터미널 공사의 재입찰을 실시하는 것으로 알려짐. 이는지난해 9월 첫 입찰을 취소한 이후 반 년 만에 재도전임. ▷이 같은 소식에 지난 2021년 컨소시엄을 구성해 베트남 롱탄 신공항 실시설계를 수주한 바 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가비아 (079940) 12,950원 (+4.02%) | 지난해 호실적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및 연간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679.58억원(전년동기대비 +16.68%), 영업이익 135.38억원(전년동기대비 +14.16%), 순이익 100.97억원(전년동기대비 +51.49%).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2,391.85억원(전년대비 +19.32%), 영업이익 412.86억원(전년대비 +24.75%), 순이익 416.04억원(전년대비 +66.42%). |
지니뮤직 (043610) 4,425원 (+1.61%) |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 등에 소폭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4분기 및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4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71.42억원(전년동기대비 +10.22%), 영업이익 25.7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13.67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2,861.06억원(전년대비 +13.53%), 영업이익 138.20억원(전년대비 +31.60%), 순이익 173.85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특히,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모두 역대 최대치임.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음원유통, 공연사업 매출 성과창출과 자회사 밀리의 서재 실적향상으로 외형성장과 수익성 동반성장을 이뤘다"고 밝힘. |
알로이스 (297570) 1,780원 (-3.26%)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개별기준 매출액 287.44억원(전년대비 -21.61%), 영업이익 42.97 억원(전년대비 -38.21%), 순이익 58.77억원(전년대비 +7.09%). |
메디콕스 (054180) 1,820원 (-3.29%) |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218.17억원(전년대비 +25.03%), 영업손실124.08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426.95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헬릭스미스 (084990) 10,960원 (-3.44%) | 경영권 분쟁 소송 격화 속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강00 외 6명이 증거보전 소송 제기 공시. ▷한편, 동사는언론을 통해 소액주주 추천으로 선임된 사내이사에 대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위반으로 서울남부지방검찰청에 고발했다고 밝힘. 회사 자료를 공시 이전에 외부로 유출했다는 의혹 때문이며, 소액주주 측과 경영권 분쟁에 휩싸인 가운데 이번 건으로도 법적 다툼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에브리봇 (270660) 15,900원 (-4.56%)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개별기준 매출액 530.06억원(전년대비 +3.71%), 영업이익 61.78억원(전년대비 -38.96%), 순이익 68.46억원(전년대비 -27.75%). ▷한편, 동사 관계자는 "동사는 서비스 로봇 기술 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을 꾸준히 진행해왔다"며 "AI 서비스 로봇전문 기업으로 발돋움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회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힘. |
파트론 (091700) 8,330원 (-4.58%) | 지난해 실적 부진 등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1.22조원(전년대비 -6.91%), 영업이익 568.09억원(전년대비 -27.82%), 순이익 418.64억원(전년대비 -46.54%). ▷대신증권은 동사에 대해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2,767억원(-12.8% yoy / -8.2% qoq), 영업이익은 117억원(-46.4% yoy / -28% qoq)으로 추정치를 하회했다고 언급. 이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 둔화로 카메라모듈, 지문인식 등 휴대폰 부품 중심으로 매출이 감소하였고 재고조정 영향도 있었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12,000원[유지] |
진시스템 (363250) 7,490원 (-4.95%) | 지난해 적자전환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개별기준 매출액 36.53억원(전년대비 -72.40%), 영업손실 60.9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85.6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코난테크놀로지 (402030) 103,200원 (-5.75%) | 지난해 적자전환에 하락 |
▷22년 실적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153.88억원(전년대비 -13.78%), 영업손실 44.10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36.46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압타머사이언스 (291650) 9,300원 (-5.78%) | 지난해 적자지속 등에 하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3.58억원(전년대비+33.04%), 영업손실 83.1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71.15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한편, 보통주 1주당 1주(신주수:8,490,126주), 기타주 1주당 1주(신주수:460,000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기준일:2023-03-02, 상장예정:2023-03-27) 공시. |
삼영이엔씨 (065570) 4,310원 (-6.51%) | 지난해 적자전환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319.01억원(전년대비 -20.47%), 영업손실 235.71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457.51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펄어비스 (263750) 43,300원 (-6.98%) | 4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 하회 및 올해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약세 |
▷한화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4분기 매출액 1,032억원, 영업이익 36억원을 기록해 영업이익 기준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하회했다고 밝힘. 이는신작 출시가 없는 가운데 검은사막 모바일 매출 하락 때문이라고 밝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73억원(전년동기대비 +41.7%)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전반적인 모바일 게임 시장 역성장과 함께 동사의 검은사막 시리즈 매출도 하향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최대 기대작인 붉은사막의 개발이 올해 하반기에 완료된다고 언급한 만큼 올해는 신작 없이 기존게임으로만 이익을 창출해야 하는 구간이 될 것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 -> HOLD[하향], 목표주가 : 50,000원[유지] |
유일로보틱스 (388720) 24,600원 (-7.17%) | 지난해 적자전환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384.45억원(전년대비 +9.87%), 영업손실 30.63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23.12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SGA (049470) 917원 (-8.30%) | 지난해 적자전환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개별기준 매출액 550.65억원(전년대비 -11.05%), 영업손실 20.35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순손실 76.60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
앤씨앤 (092600) 2,145원 (-8.72%) | 지난해 실적 부진에 약세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5.93억원(전년대비 -19.25%), 영업손실 320.85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363.05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포커스에이치엔에스 (331380) 2,360원 (-9.23%) | 지난해 영업이익 부진 속 급락 |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개별기준 매출액 616.25억원(전년대비 +27.98%), 영업이익 26.64억원(전년대비 -35.16%), 순이익 26.84억원(전년대비 흑자전환). 이와 관련, 동사는 보안 솔루션 제작에 필요한 외산 부품 등을 조달하는 과정에서 환율상승의 영향을 받아 원화환산 비용이 늘어난 탓에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힘. ▷보통주 1주당 30원(시가배당율1.5%)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
서울옥션 (063170) 20,300원 (-9.38%) | 지난해 실적 부진에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551.37억원(전년대비 -30.22%), 영업이익 77.08억원(전년대비 -60.92%), 순이익 46.81억원(전년대비 -70.81%). ▷한편, 보통주 1주당 100원(시가배당율 0.6%) 현금배당(결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2-12-31) 공시. |
마인즈랩 (377480) 22,100원 (-14.67%) | 지난해 실적 부진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82.17억원(전년대비 -0.32%), 영업손실 53.75억원(전년대비적자지속), 순손실 46.68억원(전년대비 적자전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