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정김명중님 미혼부에 대한정책(일 가정 톡톡 어플 참고하세요), 한부모가정에서 태어난 남자아이, 일반가정에서 태어난 남자아이들은 남자 아닌가요? 아동청소년 보호법에 남자애들은 안들어가요? 남성인권에 대한 정책을 제안해보시던지요. 여성에 대한 정책을 깎아내리려 하지 말고요
- 해바라기 아동센터 동행서비스, 장애인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 등 지원 - - 여성가족부-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차량 지원 등 업무 협약 체결 -
여성가족부(장관 김희정)와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위원장 김규복)는 8월 19일(화) 오후 3시, 생명보험교육문화센터(광화문 소재)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여성가족지원시설에 차량을 제공하고 폭력피해여성들이 다시 일어서도록 돕는 자활 사업을 지원합니다.
※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생명보험업계의 공동 사회공헌활동을 위해 2007년에 생명보험사의 재원 출연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이후 활발한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실천에 앞장서고 있음
여가부와는 2013년도에도 협약 체결을 통해 차량(6대) 및 미혼모자가족시설에 대한 물품 등을 지원한 바 있음
이번 협약을 통해 성폭력·가정폭력 등 폭력피해여성, 위기가족, 이주배경청소년 등을 돕는 시설에 대한 지원이 확대된다. 성폭력·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과 해바라기아동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주배경청소년지원센터의 경우 직접 시설을 방문하기 어려운 이용자에게 찾아가는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활동용 차량을 지원받으며,폭력피해여성 자활시설은 피해여성이 정신적 고통을 치유하고 새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자활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받습니다.
이밖에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여가부가 제작한 성폭력·가정폭력·성매매에 대한 인식 개선용 동영상과 교육자료 등을 위원회 홈페이지에 게재하여 관련 기관에 전파할 수 있도록여가부와 공동으로 인식개선 캠페인을 실시합니다. 특히 이번 협약으로 해바라기아동센터 등 총 8개의 시설에 지원되는 차량은 그동안 차량이 없어 신속하고 편리한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을 겪어왔던 시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해바라기 아동센터의 경우 올해부터 새롭게 시작한 동행서비스를 전용차량을 이용해 보다 원활하게 지원하며, 아동·장애인 성폭력 피해자가 심리 치료·의료 지원 서비스를 보다 손쉽게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동행서비스: 보호자와 함께 센터를 방문하기 어려운 아동·장애인 성폭력 피해자에게 자원봉사자 및 전담인력을 연계하여 센터로 오고가도록 지원
또한 이동이 어려운 장애인 입소자가 많은 성폭력·가정폭력 보호시설은 장애인 피해자의 치료·학업·직업 훈련 등 외부활동에 차량을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밖에 건강가정지원센터와 이주배경청소년지원센터도 차량을 활용해 역시 이용자에 대한 상담 및 사례 관리와 체험 활동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은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와의 협력을 통해 여성폭력피해자 등 취약계층이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도움을 주는 시설을 이용하고, 정부의 취약계층 자활·자립 지원서비스가 보다 알차게 전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와의 협력 사례처럼 앞으로도 다양한부문과의 협력을 통해 차량의 기동성만큼이나 정부의 정책이나 제도가 국민에게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김규복 위원장은 “올해도 여성가족부와의 협력을 통해 취약계층이 다시 힘을 낼 수 있도록 돕게 된 것을 뜻깊게 생각하며, 향후에도 우리사회의 어렵고 힘든 이웃을 찾아 돕는 노력을 계속할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