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① 광합성과정에서 캘빈회로를 통해 CO2가 고정되는 반응을 암반응(dark reaction)이라 하는데, 이름만 암반응이지 실제로 암반응은 명반응을 통해 ATP와 NADPH가 생성되는 낮 동안에만 일어납니다. 캘빈회로를 암반응이라 하는 것은 명반응과 달리 직접 빛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며, 밤에 일어나는 반응이라서 암반응이라고 한 것이 아닙니다.
② 식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C3 식물은 낮에 흡수한 CO2를 직접 캘빈회로를 통해 C3 화합물 3-phosphoglycerate로 고정합니다. 그리고 밤에는 기공을 닫고 CO2를 흡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CO2 고정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들이 불활성화 되며, ATP와 NADPH도 생성되지 않으므로 밤에는 기공을 열어도 CO2 고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③ C4 식물의 경우에는 엽육세포에서 C4 화합물 malate 형태로 CO2를 1차 고정하고, 이를 유관속초세포에 전달하여 캘빈회로를 통해 C3 화합물 3-phosphoglycerate로 고정합니다. 이런 CO2 고정과정이 모두 낮에만 일어납니다. C4 식물에서도 C3 식물과 마찬가지로 밤에는 기공을 열어도 CO2 고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④ 문제의 정답이 보기 ③인가요? 좀 황당한 문제입니다. 위에서 설명 드린 대로 C3와 C4 식물에서 밤에 CO2 고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C4 화합물 고정 여부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첫댓글 ① 광합성과정에서 캘빈회로를 통해 CO2가 고정되는 반응을 암반응(dark reaction)이라 하는데, 이름만 암반응이지 실제로 암반응은 명반응을 통해 ATP와 NADPH가 생성되는 낮 동안에만 일어납니다. 캘빈회로를 암반응이라 하는 것은 명반응과 달리 직접 빛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며, 밤에 일어나는 반응이라서 암반응이라고 한 것이 아닙니다.
② 식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C3 식물은 낮에 흡수한 CO2를 직접 캘빈회로를 통해 C3 화합물 3-phosphoglycerate로 고정합니다. 그리고 밤에는 기공을 닫고 CO2를 흡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CO2 고정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들이 불활성화 되며, ATP와 NADPH도 생성되지 않으므로 밤에는 기공을 열어도 CO2 고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③ C4 식물의 경우에는 엽육세포에서 C4 화합물 malate 형태로 CO2를 1차 고정하고, 이를 유관속초세포에 전달하여 캘빈회로를 통해 C3 화합물 3-phosphoglycerate로 고정합니다. 이런 CO2 고정과정이 모두 낮에만 일어납니다. C4 식물에서도 C3 식물과 마찬가지로 밤에는 기공을 열어도 CO2 고정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④ 문제의 정답이 보기 ③인가요? 좀 황당한 문제입니다. 위에서 설명 드린 대로 C3와 C4 식물에서 밤에 CO2 고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C4 화합물 고정 여부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네.. 정답은 3번이에요. ATP와 NADPH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하면 맞는거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