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친 초급반 여러분, 안녕하세요!
원래대로 라면 태화동 통기타친구 연습실에 모여 인사드리겠지만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방지를 위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으로
아쉽게도 온라인으로 인사드리게 되었습니다. ^^;;;
저번 시간에는 E/D/A코드를 배워봤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새로운 코드를 배우기에 앞서 악보보는 법부터 배워볼까 합니다.
우선 악보를 구성하고 있는 부호들의 이름과 기능들을 배워보겠습니다.
1. 도돌이표
도돌이표는 되돌아가 연주하라는 표식입니다.
악보에 닫는 도돌이표(오른쪽) 하나만 있을 경우 악보의 처음으로 돌아가면 되고
여는 도돌이표(왼쪽)와 함께 쓰이는 경우 그 지점으로 돌아가면 됩니다.
연주해야 하는 횟수를 닫는 도돌이표 위에 적어 정해줄 수도 있습니다.
2. 세뇨(Segno), 달세뇨(Dal Segno)
세뇨는 이탈리아어로 ‘표시’를 의미합니다.
달세뇨는 문자 그대로 ‘표시’로 돌아가라는 뜻입니다.
악보를 보시다가 D.S.(달세뇨)를 만나면 위의 그림과 같이 생긴 세뇨로 가서 연주를 이어가시면 됩니다.
3. 코다(Coda)
코다는 음악의 후반부에 덧붙여진 부분의 연주에 많이 쓰여요.
악보에서 코다 또는 투코다(To Coda)를 만나면 코다기호로 넘어가 연주를 이어가시면 됩니다.
4. 페이드아웃(Fade Out, F.O.)
음악을 들으시다 보면 딱 맞추어 끝나지 않고 소리가 점점 작아지며 끝나는 곡들이 있죠?
그런 곡들의 악보 마지막을 보시면 F.O.라고 적혀있습니다.
이게 바로 페이드아웃 입니다.
---------------------------------------------------
자, 그럼 악보보는 법을 배우셨으니 지난주에 배웠던 코드들을 활용해 악보를 읽으면서 연주해보세요!
예제곡) 토요일 밤에
어떠세요?
세가지 코드만 가지고도 재미있게 기타연주가 가능합니다.
어려운 코드들이 아니니 즐겁게 연습하시다 보면 어느새 실력이 부쩍 느실거에요!
동영상으로도 수업영상을 찍어봤는데.......
목소리가 너무 떨려서 이번주는 이론으로 먼저 수업을 진행해 봤어요~;;;;
이론으로 수업하니 지루하실 수도 있지만
조금만 열정을 갖고 해보시면 내용이 금방 들어오실꺼예요~
다음달에 꼭 만나서 얼굴보면서 수업 하고 싶네요~❤️
다음 시간에는 C코드와 G코드, 그리고 두 코드들을 활용한 새로운 곡을 배워볼게요.
모두들 연습 즐겁게 하시고 다음 시간에 만나요! ^^
첫댓글 앙꼬샘 감사합니다!^^ 초급반 화이팅 ~!
열심히 연습하겠습니다.
꾸~뻑~~~
와우~
악보보는법 쏙쏙들어오네요~
cda로 명곡연습까지^^
읽으면서 열심히 연습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