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Elsholtziaangustifolia (Loes.) Kitag. |
생물학적 분류 | 문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강 :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목 : 통화식물목(Tubiflorae) 과 : 꿀풀과(Labiatae) 속 : 향유속(Elsholtzia) |
개화기 | 9월~10월 |
꽃색 | 주황색 |
형태 | 한해살이풀 |
크기 | 높이 50cm [네이버 지식백과]가는잎향유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 |
분포
한국(충청북도 보은군, 제천시, 경상북도 문경시), 중국
특징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선형이고 길이 2~7cm, 폭 1.5~5mm로서 표면 맥과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약간 있다.
꽃
꽃은 9~10월에 피며 연한 홍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화수(花穗)는 길이 2.5-5cm, 지름 1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빽빽하게 꽃이 달린다. 포는 둥근 부채모양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자주빛이 돌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길이 7mm 정도며 꽃받침은 길이 2mm 정도로서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바늘처럼 뾰족하며 안쪽에 긴 백색 털이 밀생한다. 꽃부리는 길이 5mm 정도로서 4개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수술 4개 중 2개는 길다.
열매
열매는 소견과이다.
줄기
높이가 5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굽은 털이 줄로 돋아 있고 어릴 때는 선점이 있다.
생육환경
바위틈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 꽃향유/애기향유/가는잎향유/향유의 全草(전초)를 (향유)라 하며 약용한다.
①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과실이 성숙하면 지상부분을 절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그늘에서 말린다.
② 성분: 꽃향유는 精油(정유)를 함유한다. 그 중 주성분은 elsholtzidiol이고, 그 밖에 sterol,phenol性(성) 물질과 flavonoid 배당체 등을 함유한다. 향유의 전초에는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주성분은 elsholtziaketone으로 그 위에 naginataketone, α-pinene,cineole,p-cymene,isovalericacid,isobutyl-isovalerate,醋酸(초산), α-β-naginatene,octanol-3,1-octen-3-ol,linalool,camphor(樟腦(장뇌)), geraniol,n-caproicacid,isocaproic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에는 脂肪油(지방유) 38%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는 oleicacid,linoicacid,linoleicacid이 있다.
③ 약효: 發汗(발한), 解暑(해서), 化濕(화습), 溫胃(온위), 調中(조중)의 효능이 있다. 頭痛發熱(두통발열), 惡寒無汗(악한무한), 腹痛(복통), 구토, 下痢(하리), 水腫(수종), 脚氣(각기)를 치료한다.
㉠ 곽란, 腹痛吐下(복통토하)를 치료하고 水腫(수종)을 뺀다.
㉡ 熱風(열풍)을 가시게 하고 갑작스런 轉筋(전근)에는 끓인 국물을 頓服(돈복)하면 좋다. 또 건조분말을 물로 복용하면 비출혈을 멈추게 한다.
㉢ 氣(기)를 내리고 煩熱(번열)을 베거하며 嘔逆冷氣(구역냉기)를 치료한다.
㉣ 四時(사시)의 傷寒(상한)을 근절한다.
㉤ 傷暑(상서)를 치료하며 소변을 利(이)하게 한다.
㉥ 表(표)를 풀고 邪(사)를 除(제)하며 暑熱咳嗽(서열해수)를 치료하고 發汗(발한) 胃(위)를 따뜻하게 하며 中(중)을 부드럽게 한다.
㉦ 여름에 끓여서 茶(차)를 대신으로 마시면 熱病(열병)을 없애고, 中(중)을 조정하며 胃(위)를 따뜻하게 한다. 즙으로 양치질을 하면 臭氣(취기)가 가신다.
㉧ 脚氣寒熱(각기한열)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3~10g을 달이거나 또는 가루를 만들어 복용한다.
보호방안
충청북도 및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10여 곳의 자생지가 있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네이버 지식백과]가는잎향유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