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blog.naver.com/garia1102/222928889988
아동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
.
1.전성설
아동을 성인의 축소판으로 보는 관점 생물체의 형상이 발생 이전의 난자 또는 정자 시기 때부터 이미 완성되어 있다는 주장으로 이미 성체의 축소형이기에 단지 성장을 통해 개체가 만들어 진다고 주장한 아동관입니다.
영유아 고유의 발달단계를 이해하지 못하며 아동기 특성을 무시하는 아동관으로, 아동이 걷고 말할 수 있게 되면 성인의 옷과 일을 하게 하였습니다. 기원전부터 중세까지 지속되었으며, 16세기부터는 전성설의 관점이 쇠퇴하기 시작했습니다.
2.백지설
주변인물, 환경, 경험의 중요성 강조
존 로크(John Lock)는 인간의 정신은 아무 것도 그려져 있지 않는 하얀 백지와 같은 상태로 태어나서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이 백지의 한 부분씩 채워 가면서 성숙한다고 했습니다.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이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주장한 아동관입니다.
3. 발달예정설
한 개인의 능력이 시간에 따라 펼쳐진다는 관점 환경이 성장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 된 정해진 순서에 의에 서 발달한다고 주장하는 아동관입니다. 내제된 여러 가지 능력이나 자질이 적절한 시기에 펼쳐지므로 그 시기를 적절하게 맞추면 좋은 발달로 이끌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는 성숙이론(성숙주의)와 연결됩니 다.
저마다의 발달의 속도들이 있기 때문에 늦어지는 경우에도 인내하고 기다려 줘야 하며, 유아가 준비되었 을 때 내적 발달 기제가 발현될 수 있도록 적절한 자극과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숙이론의 대표적인 학자로는 아널드 게젤(Gesell) 몬테소리(Montessori) 등이 있습니다
4. 능동적 아동관
영유아중심의 아동관. 수평적 아동관.
오늘날 표준교 육과정 아동중심 교육과정 활용
스스로 발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며 내적능력을 발달한다고 주장하는 아동관입니다.
5.인격적 존재로서의 아동관
권리를 가진 존재이며, 한 인격체로서 아동의 가치를 인정하는 아동관입니다.유아의 권리는 성인이 보장해주고 존중해 주어야 하며, 성인지향적인 사회에서 유아의 입장과 태도, 역할, 삶을 존중하고자 하는 관점 입니다.
선호하는 아동관
제가 선호하는 아동관은 아래와 같은 능동적 아동관 인격적 존재로서의 아동관입니다
1. 아동을 성인과 동일시하지 않고 주체적, 능동적, 적극적인 존대로 바로보는 관점
2.존중, 기회, 교육, 참여의 권리가 보장되는 아동중 심적인 관점
3. 잠재적인 능력에 더해 환경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내적 발달을 할 수 있다는 관점
왜냐하면 아동교육의 궁긍적인 목적은 아동이 가지고 있는 잠재능력 실현, 발현, 발달을 이끌어 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런 목적을 위해서는 성인이 아닌 아동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또한 교사는
아동을 존중하고, 권리를 보장하고, 아동이 가지고 있는 흥미, 관심에 귀를 기울이며 능동적 상호작용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저는 능동적 아동관, 인격적 존재로서의 아
동관을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