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全唐詩(전당시)/樂府詩集(악부시집)] 白頭吟(백두음:백발을 노래함) - 李白(이백)
백두음(白頭吟)은 악부시집(樂府詩集/041卷) 상화가사(相和歌辭)에 실려 있다. 상화가사는 한 대(漢代)에 민가에서 부르던 노래로 백두음은 탁문군(卓文君)의 백두음, 포조(鲍照)의 대백두음(代白頭吟), 유희이(劉希夷)의 대비백두옹(代悲白頭翁:有所思), 이백(李白)의 백두음이 대표적이다.
탁문군의 백두음은 한(漢)나라의 사마상여(司馬相如)와 결혼해 살던 탁문군이 사마상여가 무릉(武陵)의 여자를 첩으로 맞아들이려고 하자 원망하며 지은 곡이다. 사마상여는 이 노래를 듣고 무릉의 여자를 맞아들이지 않았다 한다.
이 시는 당 천보(天寶) 2년 (743) 이백의 43세 때 지은 시로 추정하며, 이 시에서는 한 무제와 진아교, 사마상여와 탁문군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버림받은 여인의 원망을 주제로 하고 있다. 이백의 백두음은 악부시집에는 2수로 기록되어 있으며, 전당시(全唐詩)에는 2편으로 2편은 1편과 비슷한 내용으로 동일 제목으로 창작시기만 다르게 두 번 지은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白頭吟(백두음)
李白(이백)
[一]
錦水東北流(금수동북류),波蕩雙鴛鴦(파탕쌍원앙)。
雄巢漢宮樹(웅소한궁수),雌弄秦草芳(자롱진초방)。
寧同萬死碎綺翼(영동만사쇄기익),不忍雲間兩分張(불인운간량분장)。
此時阿嬌正嬌妒(차시아교정교투),獨坐長門愁日暮(독좌장문수일모)。
但愿君恩顧妾深(단원군은고첩심),豈惜黃金買詞賦(기석황금매사부)。
금강은 동으로 북으로 흘러 원앙 한 쌍을 갈라놓았네.
수컷은 한(漢)나라 궁전 나무에 깃들고, 암컷은 진(秦) 땅 풀밭에서 노네.
함께 만 번 죽어 고운 날개 찢길지언정 구름 사이에서 헤어지는 것은 차마 못하겠네.
이때에 아교(阿嬌)는 질투에 사로잡혀 장문궁(長門宮)에 홀로 앉아 저물도록 수심에 잠겼네.
‘그 임이 나만을 살뜰히 여긴다면 글을 구하는 데 황금인들 아까우리.’
---------------------------------------------
○ 錦水(금수) : 촉(蜀) 지방에 있는 금강(錦江)으로 두 갈래로 흐른다. 지금의 사천성(四川省) 성도시(成都市)에 있는 탁금강(濯錦江) 또는 촉강(蜀江)이라고도 한다.
○ 波蕩(파탕) : 흔들리다. 출렁거리다.
○ 雄巢漢宮樹(웅소한궁수) : 탁문군이 사마상여에 보낸 백두음의 시에 결별서(訣別書)를 함께 보냈는데 결별서에 “금강(錦江)에 노니는 원앙 한 쌍, 한나라 궁궐에 우뚝 서 있는 나무 한 그루, 모두들 한결같이 언제나 새로운 모습인데 아, 세상 사람들이여, 미색에 미혹되어 새로운 것만 찾고 옛 것을 버리는구나! (錦水有鴛, 漢宮有木,彼物而新,嗟世之人兮,瞀于淫而不悟!)라는 표현이 있다.
○ 綺翼(기익) : 고운 날개.
○ 分張(분장) : 이별하다. 헤어지다.
○ 阿嬌(아교) : 한(漢) 무제(武帝)의 왕비 진황후(陳皇后)의 아명(兒名)으로, 무제가 어렸을 때 어린 궁녀 진아교를 보고 만약 진아교에게 장가들면 금으로 집을 지어 그 속에 가두어 두겠다고 했으나, 진아교는 황후가 된 뒤 오만하고 질투가 심하며 아들이 없어 장문궁에 유폐되었다가 폐비가 되고 말았다.
○ 長門(장문) : 장문궁(長門宮). 장문전(長門殿). 漢나라 때 진황후(陳皇后:아교)가 총애를 잃고 유폐되었던 궁전 이름.
○ 詞賦(사부) :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진황후를 위해 지어준 장문부(長門賦)를 가리킨다. 장문부의 서(序)에 의하면 진황후가 처음에는 한 무제의 총애를 받다가 장문궁에 유폐된 후 사마상여가 글을 잘 짓는다는 소문을 듣고 황금 백 근을 주고 글을 부탁하였으며 이에 사마상여가 장문부를 지어주었으며 한 무제가 이 글을 읽고 다시 진황후를 총애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
相如作賦得黃金(상여작부득황금),丈夫好新多異心(장부호신다이심)。
一朝將聘茂陵女(일조장빙무릉녀),文君因贈白頭吟(문군인증백두음)。
東流不作西歸水(동류부작서귀수),落花辭條羞故林(낙화사조수고림)。
兔絲固無情(토사고무정),隨風任傾倒(수풍임경도)。
誰使女蘿枝(수사여라지),而來強縈抱(이래강영포)。
상여(相如)가 부(賦)를 지어 황금을 받아서는 새 여자 좋아하는 사나이라 다른 마음 많았네.
하루아침에 무릉(茂陵) 여자 맞아들이려하자 탁문군(卓文君)은 백두음(白頭吟)을 지어 보냈네.
동쪽으로 흐르는 물은 서쪽으로 못 돌리고 꽃은 떨어지며 정든 나무에 부끄럽다한다네.
새삼은 본디 무정하여 바람 따라 멋대로 기우는데
뉘라서 여라(女蘿) 덩굴더러 억지로 얽히라 하였던가.
-------------------------------------
○ 司馬相如(사마상여) : 기원전 179년 ~ 기원전 117년. 중국 전한(前漢)의 문학자이다. 사천성 성도(成都) 사람으로 자는 장경(長卿)이다. 경제(景帝)를 섬겼는데 경제는 상여의 특기인 사부(辭賦)를 싫어해서, 그 곳을 떠나 양(梁)의 효왕(孝王)에게 몸을 의탁하고, 추양(鄒陽)이나 매승(枚乘, ?~기원전 140년)과 교유했다. 효왕이 죽은 후 고향으로 돌아가 토호인 탁왕손(卓王孫)의 딸 문군(文君)과 결혼하여 부유하게 되었다. 〈자허부(子虛賦)〉에 의해서 무제의 부름을 받고, 서남의 만이(蠻夷) 땅에서 공적을 올렸다. 현존하는 그의 부(賦) 가운데 대표적인 것으로 자허부(子虛賦), 상림부(上林賦), 대인부(大人賦), 미인부(美人賦), 장문부(長門賦) 등이 있다.
○ 卓文君(탁문군) : 임공(臨邛) 사람으로 본명은 문후(文后)이다. 서한(西漢) 시기의 재녀(才女)로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처(妻)이다. 시문(詩文)과 거문고에 능했다. 대표작품으로 백두음(白頭吟), 결별서(訣別書), 원낭시(怨郎詩)가 있다.
○ 文君因贈白頭吟(문군인증백두음) : 사마상여가 마음이 변하자 탁문군이 사마상여에게 백두음의 시와 결별서(訣別書)를 보냈다.
○ 兎絲(토사) : 새삼. 메꽃과의 한해살이 덩굴성 기생식물로 잎이 없고 다른 초목에 가느다란 줄기를 감아 기생(寄生)하는 덩굴풀로 열매는 한약재로 씀. 여라는 큰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덩굴 식물이며, 새삼은 실처럼 생겨 칡이나 콩과 식물에 기생하는 식물이다.
○ 女蘿(여라) : 습기가 많은 음지에서 자라는 선태식물. 소나무에 엉켜 자라므로 송라(松蘿)라고도 한다.
-------------------------------------------
兩草猶一心(양초유일심),人心不如草(인심불여초)。
莫卷龍鬚席(막권룡수석),從他生網絲(종타생망사)。
且留琥珀枕(차류호박침),或有夢來時(혹유몽래시)。
覆水再收豈滿杯(복수재수기만배),棄妾已去難重回(기첩이거난중회)。
古來得意不相負(고래득의불상부),只今惟見青陵台(지금유견청릉대)。
새삼과 여라 같은 풀도 오직 한마음이건만 사람의 마음 풀만도 못하다네.
용수(龍鬚) 돗자리 걷지 마라, 거미줄 생기도록 버려둬라.
호박 베개도 놔두거라, 꿈에라도 오실라.
엎지른 물 담는다고 어이 도로 그득하랴 날 버리고 가신 임 다시 오기 어려워라.
예로부터 마음을 얻고 서로 저버리지 않은 것은 지금껏 오직 청릉대(靑陵臺) 뿐이로다.
---------------------------------------
○龍鬚席(용수석) : 골풀(용수초(龍鬚草))로 만든 돗자리.
○ 網絲(망사) : 그물을 뜨는데 쓰이는 실. 거미줄.
○ 琥珀枕(호박침) : 누런빛의 보석 호박으로 만든 베개.
○ 覆水(복수) : 물을 엎다. 강 태공(姜 太公)의 고사.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한 번 엎지른 물은 다시 주워담을 수 없다). 한 번 떠난 마음은 두 번 다시 되돌리기 어렵다는 말이다.
○ 靑陵臺(청릉대) : 남조 송(宋)나라 강왕(康王)이 대부인 한붕(韓朋)의 아름다운 처를 빼앗고자 한붕에게 청릉대를 지으라 하고 다 짓고 나서 죽였다. 그의 처는 남편의 주검을 보러 와서는 높은 누대에서 몸을 던져 목숨을 끊었다. 노한 왕이 누대 좌우에 이들을 나누어 묻게 하였으나, 양 무덤에서 각각 한 그루의 가래나무가 자라 가지가 서로 얽히고 그 위에서 원앙처럼 생긴 두 마리 새가 슬피 울었다고 한다.<수신기(搜神記)>
------------------------------------------
[二]
〈此詩一作>
錦水東流碧(금수동류벽),波蕩雙鴛鴦(파탕쌍원앙)。
雄巢漢宮樹(웅소한궁수),雌弄秦草芳(자농진초방)。
相如去蜀謁武帝(상여거촉알무제),赤車駟馬生輝光(적거사마생휘광)。
一朝再覽大人作(일조재람대인작),萬乘忽欲凌雲翔(만승홀욕릉운상)。
聞道阿嬌失恩寵(문도아교실은총),千金買賦要君王(천금매부요군왕)。
금강이 동으로 푸르게 흘러 원앙 한 쌍을 갈라놓았네.
수컷은 한(漢) 궁궐 나무에 깃들고 암컷은 진(秦)의 풀 섶에서 노네.
사마상여가 촉(蜀)을 떠나 무제(武帝)를 뵈올 적에 붉은 수레 네 필 말이 으리으리했었네.
어느 아침 대인부(大人賦)를 두 번 보시자 천자의 마음 구름 위로 두둥실 올랐네.
듣자하니 아교(阿嬌)가 총애를 잃고서 천금으로 부(賦)를 얻어 황제의 마음 사자했네.
-------------------------------------
○ 駟馬(사마) : 한 채의 수레를 메고 끄는 네 마리의 말.
○ 大人作(대인작) : 대인부(大人賦)를 말한다. 사마상여가 한 무제에게 신선의 일을 기록한 대인부를 바쳤더니 황제가 크게 기뻐하며 비단 네 필을 하사하였다. <사마천 사기열전 57.사마상여 열전>
○ 萬乘(만승) : 천자(天子).
-------------------------------------
相如不憶貧賤日(상여불억빈천일),位高金多聘私室(위고금다빙사실)。
茂陵姝子皆見求(무릉주자개견구),文君歡愛從此畢(문군환애종차필)。
淚如雙泉水(누여쌍천수),行墮紫羅襟(행타자라금)。
五更雞三唱(오경계삼창),清晨白頭吟(청신백두음)。
長吁不整綠雲鬢(장우부정록운빈),仰訴青天哀怨深(앙소청천애원심)。
城崩杞梁妻(성붕기량처),誰道土無心(수도토무심)。
東流不作西歸水(동류부작서귀수),落花辭枝羞故林(낙화사지수고림)。
상여는 가난했던 옛 시절을 잊고서 귀해지고 부해지자 소실을 들이려 했네.
무릉(茂陵) 미녀 모조리 찾아보니 문군(文君)의 행복은 이것으로 끝이 났네.
눈물은 두 줄기 샘처럼 자주비단 옷자락에 하염없이 떨어졌네.
늦은 밤 일어나 닭이 세 번 울 때까지 첫 새벽에 백두음을 지었네.
귀밑머리 흩뜨린 채 긴 한숨을 내어 쉬며 청천 우러른 하소연 애절함이 사무치네.
기량(杞梁)의 처의 눈물로 성이 무너졌으니 그 누가 흙덩이를 무심하다 말하겠는가.
동쪽으로 흐르는 물은 서쪽으로 못 돌리고 꽃은 떨어지며 정든 나무에 부끄럽다한다네.
-----------------------------------
○ 私室(사실) : 첩.
○ 茂陵姝子(무릉미자) : 무릉의 미녀.
○ 紫羅襟(자라금) : 자주빛 비단옷의 소매.
○ 長吁(장우) : 길게 한숨짐.
○ 杞梁妻(기량처) : 제나라 기량(杞梁)의 처의 고사(故事)로 기량(杞梁)이 전사(戰死)하여 그 아내가 통곡하며 “위로는 부모 없고 가운데로는 남편이 없고, 아래로는 자식 없으니 산 사람의 고통이 극에 이르렀다.”고 하니, 기량의 아내의 눈물과 지나는 행인들이 뿌린 눈물로 10일 만에 성이 무너졌다고 한다. <열녀전(烈女傳) 제기량처(齊杞梁妻)>
-----------------------------------
頭上玉燕釵(두상옥연채),是妾嫁時物(시첩가시물)。
贈君表相思(증군표상사),羅袖幸時拂(나수행시불)。
莫卷龍鬚席(막권룡수석),從他生網絲(종타생망사)。
且留琥珀枕(차류호박침),還有夢來時(환유몽래시)。
鷫鸘裘在錦屏上(숙상구재금병상),自君一掛無由披(자군일괘무유피)。
妾有秦樓鏡(첩유진루경),照心勝照井(조심승조정)。
愿持照新人(원시조신인),雙對可憐影(쌍대가련영)。
覆水卻收不滿杯(복수각수불만배),相如還謝文君回(상여환사문군회)。
古來得意不相負(고래득의불상부),只今惟有青陵台(지금유유청릉대)。
‘머리에 꽂은 옥 제비 비녀 이 몸이 시집 올 때 지니고 온 것이라오.
그대 향한 그리움의 정표로 드리나니 어쩌다 옷소매로 스침이나 받으려나.
용수(龍鬚) 돗자리 걷지 마라, 거미줄 생기도록 버려두라.
호박 베게도 놔 두거라, 꿈에라도 오실라.
비단 병풍 위에 걸린 숙상(鷫鸘) 갖옷 그대가 걸쳐 논 후 입어본 일 없어라.
첩은 진루경(秦樓鏡)이 있어 우물보다 더 맑게 마음을 비춘답니다.
원컨대 가져다 새 사람을 비쳐보고 가련한 내 모습도 마주 비춰보소서.’
엎지른 물 담는다고 어이 도로 그득하랴 상여(相如)는 문군(文君)에게 돌아오라 빌었네.
예로부터 마음을 얻고 서로 저버리지 않은 것은 지금껏 오로지 청릉대(靑陵臺) 뿐이로다.
---------------------------------------
○ 玉燕釵(옥연채) : 옥으로 만든 제비 모양의 비녀.
○ 羅袖(나수) : 얇은 비단의 옷소매.
○ 鷫鸘裘(숙상구) : 기러기와 비슷한 숙상이라는 새의 가죽으로 만든 갖옷. 鷫鸘(숙상)은 기러기와 비슷한 서쪽의 신조(神鳥)
○ 秦樓鏡(진루경) : 진(秦)나라의 함양궁(咸陽宮)에 정방형의 거울이 있었는데 넓이가 사척(四尺)이고 높이가 오척구촌(五尺九寸)이었다. 앞뒤가 다 비춰서 사람이 서있으면 그림자도 볼 수 있었으며, 사람의 오장육부와 마음까지 볼 수 있었다고 한다.<西京雜記>
-----------------------------------------
<관련 시>
[악부시집(樂府詩集)] 皚如山上雪(애여산상설)/白頭吟(백두음) - 卓文君(탁문군)
[全唐詩(전당시)] 代悲白頭翁(대비백두옹) - 劉希夷(유희이:유정지)
[고문진보]有所思(유소사:그리워함이 있어 짓다) - 宋之問(송지문)
<진아교를 소재로 한 시>
[전당시] 長門怨二首(장문원 2수) - 李白(이백)
[전당시]妾薄命(첩박명:박복한 첩) - 李白(이백)
[전당시] 賦得妾薄命(부득첩박명) - 杜審言(두심언)
------------------------------------------
<원문>
白頭吟/作者:李白 唐
全唐詩·卷163 /維基文庫,自由的圖書館
[一]
錦水東北流,波蕩雙鴛鴦。
雄巢漢宮樹,雌弄秦草芳。
寧同萬死碎綺翼,不忍雲間兩分張。
此時阿嬌正嬌妒,獨坐長門愁日暮。
但愿君恩顧妾深,豈惜黃金買詞賦。
相如作賦得黃金,丈夫好新多異心。
一朝將聘茂陵女,文君因贈白頭吟。
東流不作西歸水,落花辭條羞故林。
兔絲固無情,隨風任傾倒。
誰使女蘿枝,而來強縈抱。
兩草猶一心,人心不如草。
莫卷龍鬚席,從他生網絲。
且留琥珀枕,或有夢來時。
覆水再收豈滿杯,棄妾已去難重回。
古來得意不相負,只今惟見青陵台。
금강은 동으로 북으로 흘러 원앙 한 쌍을 갈라놓았네.
수컷은 한(漢)나라 궁전 나무에 깃들고, 암컷은 진(秦) 땅 풀밭에서 노네.
함께 만 번 죽어 고운 날개 찢길지언정 구름 사이에서 헤어지는 것은 차마 못하겠네.
이때에 아교(阿嬌)는 질투에 사로잡혀 장문궁에 홀로 앉아 저물도록 수심에 잠겼네.
‘그 임이 나만을 살뜰히 여긴다면 글을 구하는 데 황금인들 아까우리.’
상여가 부(賦)를 지어 황금을 받아서는 새 여자 좋아하는 사나이라 다른 마음 많았네.
하루아침에 무릉(茂陵) 여자 맞아들이려하자 탁문군(卓文君)은 백두음을 지어 보냈네.
동쪽으로 흐르는 물은 서쪽으로 못 돌리고 꽃은 떨어지며 정든 나무에 부끄럽다하네.
새삼은 본디 무정하여 바람 따라 멋대로 기우는데
뉘라서 여라(女蘿) 덩굴더러 억지로 얽히라 하였던가.
새삼과 여라 같은 풀도 오직 한마음이건만 사람의 마음 풀만도 못하다네.
용수(龍鬚) 돗자리 걷지 마라, 거미줄 생기도록 버려둬라.
호박 베개도 놔두거라, 꿈에라도 오실라.
엎지른 물 담는다고 어이 도로 그득하랴 날 버리고 가신 임 다시 오기 어려워라.
예로부터 마음을 얻고 서로 저버리지 않은 것은 지금껏 오직 청릉대 뿐이로다.
---------------------------------
[二]
此詩一作:
錦水東流碧,波蕩雙鴛鴦。
雄巢漢宮樹,雌弄秦草芳。
相如去蜀謁武帝,赤車駟馬生輝光。
一朝再覽大人作,萬乘忽欲凌雲翔。
聞道阿嬌失恩寵,千金買賦要君王。
相如不憶貧賤日,位高金多聘私室。
茂陵姝子皆見求,文君歡愛從此畢。
淚如雙泉水,行墮紫羅襟。
五更雞三唱,清晨白頭吟。
長吁不整綠雲鬢,仰訴青天哀怨深。
城崩杞梁妻,誰道土無心。
東流不作西歸水,落花辭枝羞故林。
頭上玉燕釵,是妾嫁時物。
贈君表相思,羅袖幸時拂。
莫卷龍鬚席,從他生網絲。
且留琥珀枕,還有夢來時。
鷫鸘裘在錦屏上,自君一掛無由披。
妾有秦樓鏡,照心勝照井。
愿持照新人,雙對可憐影。
覆水卻收不滿杯,相如還謝文君回。
古來得意不相負,只今惟有青陵台。
금강이 동으로 푸르게 흘러 원앙 한 쌍을 갈라놓았네.
수컷은 한(漢) 궁궐 나무에 깃들고 암컷은 진(秦)의 풀 섶에서 노네.
사마상여가 촉(蜀)을 떠나 무제를 뵈올 적에 붉은 수레 네 필 말이 으리으리했었네.
어느 아침 대인부(大人賦)를 두 번 보시자 천자의 마음 구름 위로 두둥실 올랐네.
듣자하니 아교(阿嬌)가 총애를 잃고서 천금으로 부(賦)를 얻어 황제의 마음 사자했네.
상여는 가난했던 옛 시절을 잊고서 귀해지고 부해지자 소실을 들이려 했네.
무릉(茂陵) 미녀 모조리 찾아보니 문군(文君)의 행복은 이것으로 끝이 났네.
눈물은 두 줄기 샘처럼 자주비단 옷자락에 하염없이 떨어졌네.
늦은 밤 일어나 닭이 세 번 울 때까지 첫 새벽에 백두음을 지었네.
귀밑머리 흩뜨린 채 긴 한숨을 내어 쉬며 청천 우러른 하소연 애절함이 사무치네.
기량(杞梁)의 처의 눈물로 성이 무너졌으니 그 누가 흙덩이를 무심하다 말하겠는가.
동쪽으로 흐르는 물은 서쪽으로 못 돌리고 꽃은 떨어지며 정든 나무에 부끄럽다한다네.
‘머리에 꽂은 옥 제비 비녀 이 몸이 시집 올 때 지니고 온 것이라오.
그대 향한 그리움의 정표로 드리나니 어쩌다 옷소매로 스침이나 받으려나.
용수 돗자리 걷지 마라, 거미줄 생기도록 버려두라.
호박 베게도 놔 두거라, 꿈에라도 오실라.
비단 병풍 위에 걸린 숙상(鷫鸘) 갖옷 그대가 걸쳐 논 후 입어본 일 없어라.
첩은 진루경(秦樓鏡)이 있어 우물보다 더 맑게 마음을 비춘답니다.
원컨대 가져다 새 사람을 비쳐보고 가련한 내 모습도 마주 비춰보소서.’
엎지른 물 담는다고 어이 도로 그득하랴 상여(相如)는 문군에게 돌아오라 빌었네.
예로부터 마음을 얻고 서로 저버리지 않은 것은 지금껏 오로지 청릉대 뿐이로다.
---------------------------------------
[출처] [全唐詩(전당시)/樂府詩集(악부시집)] 白頭吟(백두음:백발을 노래함) - 李白(이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