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희토류 자석 기술 수출금지 추진... '88% 의존' 한국 불똥 맞나
입력 2023. 4. 6. 04:30
https://v.daum.net/v/20230406043013460
중국 희토류 자석, 세계 점유율 80~90%
수출 금지하면 중국 완제품 의존도 커져
일본서 흡수한 기술..."기술패권 장악 시도"
국내 모터업계, 영구자석도 수출규제 거론 긴장
호주 ASM의 한국법인인 KSM메탈스 직원들이 네오디뮴 합금 생산시설의 점검 작업을 하고 있다. 네오디뮴은 희토류에 속하는 희소광물로, 이 시설에서 만들어지는 네오디뮴 합금은 전기차 구동을 위한 영구자석의 필수 소재다. 청주=윤현종 기자
희토류와 요소수 등의 수출을 제한해 국제 공급망을 흔들었던 중국이 이번엔 전기차 모터 등에 쓰이는 희토류 자석 제조 기술의 수출 금지를 추진 중이라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5일 보도했다. 중국의 희토류 자석 기술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80~90%에 달한다. 수출 금지가 현실화하면 자체 제조 업체가 없는 국가는 중국으로부터 완제품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중국에 사실상 종속되게 된다. 모터 수요가 많은 국내 발전 업계도 긴장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국 수출 금지·수출 제한 기술 목록' 개정안에 네오디뮴 자석과 사마륨 코발트 자석의 제조 기술을 추가했다. 정부 내 의견 수렴 절차를 올해 1월에 마쳤고 올해 안에 개정안이 확정될 전망이다.
희토류 자석은 모터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이다. 전기차 외에도 풍력발전기, 항공기, 로봇, 휴대폰, 에어컨 등 다양한 기기에 폭넓게 사용된다. 네오디뮴 자석의 세계 점유율은 중국이 84%, 일본이 15%이고, 사마륨 코발트 자석의 점유율은 중국이 90% 이상, 일본은 10% 이하다. 중국이 사실상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이다.
요미우리는 "세계적인 탈탄소화 흐름 속에서 (화석 연료에 의존하던) 동력을 전기로 전환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며 "중국은 자석 공급망을 장악해 환경 분야에서 패권을 쥐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시진핑 정권은 자석을 국가 안보와 관련된 전략 물자로 보고 있다"며 "시 주석은 2020년 국제 공급망에서 중국에 대한 각국의 의존도를 높이라고 지시했고, 자석 제조 기술의 수출 금지도 그 일환으로 분석된다"고 덧붙였다.
중국은 2010년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인근 해역에서 중국과 일본 어선이 충돌해 양국 갈등으로 비화하자 희토류의 대일본 수출 규제를 실시했다. 당시 중국은 희토류 채굴 능력을 보유했지만 이후 일본 기업과의 합작 사업 등을 통해 제련과 합금 기술을 빨아들였다. 이어 중국 기업들은 가격을 낮춘 고성능 자석을 대량 생산했고, 일본 기업은 경쟁에서 밀리며 시장 주도권을 내줬다.
중국이 희토류 자석 공급망을 완전히 장악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일본에 TDK, 신에츠화학공업 등 다수의 자석 제조업체가 있기 때문이다. 요미우리는 "문제는 중국이 일본에서 유출된 기술을 중국 기술이라고 주장하며 규제를 가하는 일이 반복된다는 것"이라며 "고속철도와 태양광 기술도 희토류 자석과 비슷한 과정을 거쳐 유출됐다"고 했다.
국내 모터 업계에선 중국이 이외에도 영구자석에 사용되는 사마륨 코발트 등의 수출을 제한할 가능성이 거론돼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영구자석은 모터의 핵심 부품으로, 전기차, 풍력발전 등의 친환경 시장이 성장하며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영구자석 관련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 상황(지난해 수입액 중 중국 비중 87.9%)이어서 수출 규제가 현실화하면 두산에너빌리티,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 등 발전 분야 대표 기업들의 타격이 예측된다. 업계 관계자는 "원자재 공급에 문제가 생기면 결국 원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장기적으로 중국을 대체할 수 있는 공급처를 확보해 수입처 다변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