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18 「중소기업 기술마켓」정책설명회 및 구매상담회
https://www.moef.go.kr/nw/nes/detailNesDtaView.do;jsessionid=W-o28nGq0Z9hNt82cjeUfFny.node40?searchBbsId1=MOSFBBS_000000000028&searchNttId1=MOSF_000000000067227&menuNo=4010100
금년 「중소기업기술마켓」에서 공공기관 기술 구매 2배 이상 대폭 확대(5천억+α) |
- 김윤상 2차관, ‘기술마켓이 중소기업에 기회의 사다리 제공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 강조 - 기재부, 역동경제 구현을 위한 기술마켓 정책설명 및 구매상담회 최초 개최 - 기술마켓 인증 52개 중소기업이 공공기관과 420건 내외의 구매 상담 실시 |
기획재정부는 1월18일(목) 잠재력 있는 중소기업을 적극 발굴·육성하기 위하여 기술마켓 운영기관(한국도로공사, 한국전력공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공동으로 ‘「중소기업 기술마켓」 정책 설명 및 구매상담회’를 최초로 개최하였다.
| < 중소기업 기술마켓 > | |
| |
◇ (개요) 공공기관이 혁신 중소기업의 기술·제품을 심의·인증 → 우수 중소기업 기술·제품을 구매 → 기술개발·정책금융·해외진출 등 성장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플랫폼 ◇ (구매실적) (‘20년) 256억원 → (‘21년) 892억원 → (‘22년) 1,579억원 → (‘23년) 2,206억원 |
기획재정부 김윤상 제2차관은 축사에서 역동경제 구현을 위해 기술마켓을 통한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우수한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에 판로확대 등 기회의 사다리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SOC·에너지·ICT 3개 분야로 분리 운영된 기술마켓 플랫폼을 「중소기업기술마켓(http://www.techmarket.kr)」으로 통합하고, 기술 등록을 위한 심사제도가 없는 공공기관이 기술마켓을 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적용 분야를 확대하였다. 이러한 제도 개편을 기반으로 금년에는 공공기관의 중소기업 기술마켓을 통한 구매 실적을 작년 2,206억원보다 2배 이상 증가한 5천억+α로 대폭 확대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마켓 참여 공공기관(현재 62개)을 확대하고,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공기업까지도 기술마켓에 참여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24년도 경영평가 편람에 기술마켓 지원실적 지표를 구체화하고, 배점규모를 상향 조정하였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기재부, 조달청, 기술마켓 운영기관과 우수 중소기업이 참여한 간담회에서는 기술마켓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또한, 기술마켓 심의를 통해 인증을 받은 52개 우수 중소기업이 기업 홍보부스를 마련해 공공기관 구매담당자 등을 상대로 약 420건의 구매 상담회를 개최하여 기술과 제품 판매를 진행하였다.
담당 부서 | 공공정책국 | 책임자 | 과장 | 박성주 | (044-215-5610) |
<기술마켓 총괄> | 공공혁신기획과 | 담당자 | 사무관 | 정효상 | (jeongx@korea.kr) |
황성호 | (hwang0501@korea.kr) |
김근호 | (kimroot@korea.kr) |
한국도로공사 | 통합기술마켓추진단 | 책임자 | 단장 | 조성찬 | (054-811-2401) |
<SOC> | SOC기술마켓팀 | 담당자 | 팀장 | 김형무 | (hyougmoo@ex.co.kr) |
한국전력공사 | 에너지생태계조성처 | 책임자 | 처장 | 문일주 | (061-345-7700) |
<에너지> | 산학연협력실 | 담당자 | 부장 | 권세현 | (k.pro0507@kepco.co.kr)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클라우드플랫폼기술단 | 책임자 | 본부장 | 김은주 | (053-230-1760) |
<ICT> | 클라우드혁신팀 | 담당자 | 팀장 | 나성욱 | (surha@nia.or.kr) |
□ 개 요
◦ 행 사 명 : 「중소기업기술마켓」 정책 설명회 및 구매상담회 개최
◦ 일 시 : ’24. 1. 18.(목)
◦ 장 소 : 정부세종청사 컨벤션센터
◦ 주최 / 주관 : 기획재정부 / 중소기업기술마켓(도공, 한전, NIA)
◦ 참 석 : 138개社 (400여명)
구 분 | 참 가 자 | 비 고 |
공공기관 (86개社, 240여명) | 공공기관, 주무부처, 지자체 등 | 구매상담회, 기술마켓 정책 홍보 부스 운영, 간담회 참석 |
중소기업 (52개社, 160여명) | 기술마켓 인증 50여개 중소기업 | 제품전시 및 구매상담회 참여, 간담회 참석 |
□ 주요 내용
◦ (정책설명회) 기술마켓 정책 소개, 우수사례 발표(2개 기업) 등
◦ (간 담 회) 중소기업 현장 애로사항 의견 수렴 및 토론 (기재부, 조달청, 운영기관, 중소기업)
◦ (제품전시) 우수기술・제품 보유 52개 중소기업 전시부스 운영
◦ (구매상담회) 공공기관과 중소기업 담당자간 구매상담회* 진행
* 중소기업과 예비 구매 공공기관 담당자 등이 사전 예약 시간대 별로 약 420건의 1:1 구매 상담을 통한 판로 확대 지원
□ 참석 규모 : 138개 공공기관 및 중소기업 내외 (400여명)
◦ 공공기관 : 86개 기관 (240여명)
◦ 중소기업 : 52개 기업 (160여명)
□ 상담 매칭 : 총 420건 내외 상담 매칭
* 예비 구매 공공기관 담당자와 기술마켓 인증 중소기업 사전 맞춤형 매칭을 통해 실제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1 : 1 상담 실시
□ 진행 방법
◦ 공공기관별 1개 테이블 조성, 기관당 8회 이내 구매 상담 진행
* 상담 종료 후, 상담일지 작성을 통해 예상 상담 금액 파악
□ 상담시간 : 30분/1회
□ 상담 운영 시간표
시 간 | 내 용 | 시 간 | 내 용 |
13:00~13:30 | 1회차 상담 | 15:00~15:30 | 5회차 상담 |
13:30~14:00 | 2회차 상담 | 15:30~16:00 | 6회차 상담 |
14:00~14:30 | 3회차 상담 | 16:00~16:30 | 7회차 상담 |
14:30~15:00 | 4회차 상담 | 16:30~17:00 | 8회차 상담 |
□ (도입배경) 혁신 중소기업 육성을 위해 공공기관 기술마켓 도입 (‘19.6.)
* ('19.6.) SOC 기술마켓 → (’20.10.) 에너지 기술마켓 → (‘21.12.) ICT 기술마켓 → (‘23.11.) 플랫폼 통합 및 AI 활용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제공 등 기능 고도화
ㅇ 혁신 기술·제품 보유 중소기업은 납품실적, 신인도 등 낮은 영업력으로 판로확보 및 성장에 한계
⇨ 정부와 공공기관의 협력으로 혁신 기술·제품을 보유한 중소기업의 시장진입 기회제공 등을 위해 「공공기관 기술마켓」 도입 |
□ (내용) 혁신 기술・제품 구매 + 기업 성장 지원 플랫폼
ㅇ 공공기관은 기술마켓을 통해 혁신적인 기술·제품을 평가·구매
▪ 중소기업 기술·제품을 전문가가 심의·인증하고 기술마켓에 등록하면 공공기관이 구매
* 수요 발굴 및 공모(공공기관) → 제안(중소기업) → 전문가 심의 및 인증
(기술마켓 : 공공기관) → 혁신기술 등록(기술마켓 플랫폼) → 구매(공공기관)
ㅇ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공공기관의 R&D, 정책금융, 디자인, 인력, 해외진출 등 분야별 지원 프로그램을 맞춤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