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가족’이 있다. 딱 봐도 ‘정상’ 가족이 아닌 것 같은 이 가족은 할머니(키키 키린 분)의 연금과 물건을 훔치는 것으로 먹고 산다. 부부로 추정되는 오사무(릴리 프랭키 분), 노부요(안도 사쿠라 분)와 할머니에게 얹혀사는 아키(마츠오카 마유 분) 또한 돈을 벌고 있지만, 일용직을 전전하는 이들의 벌이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려워 보인다.
마트에서 생필품을 훔쳐 귀가하던 중 오사무와 쇼타(죠 카이리 분)는 낡은 아파트에 홀로 방치되어 있던 유리(사사키 미유 분)를 집에 데리고 온다. 가족들은 반대했지만, 어느 순간 유리에게 린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이며 딸처럼 대한다. 가난하지만 너무나도 행복해보였던 어느 가족의 삶. 하지만 예상된 공식처럼 이 가족의 행복은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올해 열린 제71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어느 가족>(2018)은 가족 영화의 장인 고레에다 히로카즈 영화세계가 집약된 영화다. <환상의 빛>(1995)로 데뷔한 고레에다 감독은 그의 이름을 세계 영화팬들에게 각인시킨 <아무도 모른다>(2004) 이후 줄곧 가족 영화를 만들어왔다. 지난해 발표한 법정 서스펜스물 <세 번째 살인>(2017)으로 잠시 외도를 꾀한다 싶었는데, 다시 고레에다의 장기인 가족 영화로 돌아와 황금종려상의 영예를 안았다.
<어느 가족>은 아파트에 무방비 상태로 방치된 아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아무도 모른다>를 떠올리게 하면서도, 2년 전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한 켄 로치 감독의 <나, 다니엘 블레이크>(2016), 올해 초 국내 개봉하여 화제가 되었던 션 베이커 감독의 <플로리다 프로젝트>(2017)가 오버랩 된다. <어느 가족>, <나, 다니엘 블레이크>, <플로리다 프로젝트> 모두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주변부 사람들을 다루지만, 이들을 빈곤 포르노(가난을 선정적으로 다루는 사진이나 영상물, 모금 방송 등을 이르는 말)적 시선으로 대상화하는 대신 한 인간으로서 이들의 삶을 존중하고 편견 없이 바라보고자 하는 태도 또한 고스란히 느껴진다.
고레에다 가족영화의 집대성이라는 평을 받을 정도로 <어느 가족>은 그간 고레에다의 가족영화가 보여주었던 색채나 인물군상들이 촘촘히 박혀 있다. 아직 어린 소년의 범주에 머물러 있지만, 자기보다 어린 동생의 보호자를 자처하고 나설 정도로 일찍 철이 든 쇼타의 모습에서 <아무도 모른다>의 아키라의 그림자가 느껴진다. 일본을 대표하는 거장 감독의 영화답게 일본의 톱스타 배우들이 앞 다투어 출연하는 고레에다 영화이지만, 마치 오즈 영화의 류 치슈처럼 키키 키린과 릴리 프랭키가 있어야 비로소 고레에다 영화만의 진한 맛이 조화를 이룬다. 극중 인물들을 따뜻하게 바라보는 듯하면서도 서늘한 냉기를 흘리며 이들이 처한 현실을 인식시키는 고레에다 색채 또한 여전하다.
<어느 가족>은 고레에다가 기존에 해왔던 가족영화의 연장선에 머물러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고레에다는 언제나 그래왔듯, 따뜻하고 평온해 보이는 소소한 일상 속에 검버섯처럼 숨어있는 잔혹한 현실을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가족영화로 풀어내 왔고, <어느 가족> 역시 이상해 보이는 가족의 형태를 통해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이면에 숨겨진 모순과 부조리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데 성공한다. 고레에다는 다소 이상해 보이는 어느 가족을 쉽게 판단하려 들지 않는다. 그저 그들을 바라보고, 보여줄 뿐이다.
고레에다 가족 영화가 유독 큰 힘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적어도 고레에다는 마주하고 싶지 않는 현실을 회피하지 않고 그만의 부드러우면서도 올곧은 시선으로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다. ‘어느 가족’은 단지 누군가가 버린 것을 주워왔을 뿐이다. 가히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에 이견이 없을 법한 필견의 영화다.
첫댓글 따뜻함은 느끼긴 했는데 개인적으로 일본영화답게 성매매 미화하는 부분이 참 좆같았음
삭제된 댓글 입니다.
3국적이 단점이라는거 공감이다 ㅋㅋㅋㅋㅋㅋ
안도 사쿠라 연기 존나 대박이고 생각많이 하게 해주는 영화임 ㅠ 존나 좋음
사회고발적이면서 가족의 의미가 뭔지 생각해볼 수 있고... 나는 좋았음
진짜 좋았음. 가족의 의미에 대해서 존나 생각해 봄. 유일하게 좋아하는 일본 감독.
삭제된 댓글 입니다.
음 전체적으로 잔잔한데 가벼운 분위기는 아니야..ㅠㅠ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도 이 감독 작품인가 둘 다 봐야지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괜찮더라
일본은 혐오하지만 이 감독 영화 좋아함
'진짜로일어날지도몰라기적' 진짜 재밌게봤음 보면서 내맘도 순수해지는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