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부터 시행된 공무원 시험의 '양성평등 채용목표제'(목표제)로 인해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은 혜택을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5년까지 6년간 지방공무원 7ㆍ9급 공개경쟁채용 시험에서 목표제 적용을 받아 추가 합격한 사람은 616명인데 이중 남성이 458명(74.35%)으로 여성 158명(25.64%)보다 3배 가량 많았다.
특히 최근 들어 추가 합격자 중 남성의 비율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과 2011년의 경우 추가 합격자 중 남성의 비율은 각각 25명 중 14명, 42명 중 22명 등으로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에 그쳤다.
그러나 2012년 이후로는 추가 합격자의 대부분을 남성이 차지하기 시작했다. 2012년의 추가 합격자 108명 중 78명(72.2%)이 남성으로 여성(30명)의 2.5배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이었다.
2013년에도 105명 중 75명(71.4%)이 남성으로 여성(30명)보다 훨씬 많았다. 2014~2015년 들어서는 이같은 추세가 한층 강화돼 추가합격자의 80% 이상을 남성이 차지하고 있다. 2014년엔 123명 중 96명(78.04%), 2015년엔 213명 중 173명(81.2%)가 남성이었다.
이같은 추세는 국가직 공무원 시험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 2일 발표된 올해 국가공무원 9급 최종합격자 중 목표제 적용 합격자는 48명이었는데, 남성이 32명으로 여성 16명보다 정확히 두 배가 많았다. 지난해 11월 끝난 2015년 국가공무원 7급 시험에서도 총 5명의 목표제 적용 합격자 중 남성이 3명으로 여성 2명보다 많았다. 지난해 8월 발표된 2015년 국가공무원 8급 공채 결과에서도 목표제 적용 추가 합격자 26명 중 남성이 16명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는 기본적으로 공무원 시험 전반에서 강하게 불고 있는 여성 우위 현상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당초 정부는 1996년 여성 채용 우대를 위해 여성채용목표제를 실시하다가 2000년 군 가산점 폐지 후 일반행정직, 교육행정직 등에서 여성 합격자 수가 70%를 넘는 등 성비 불균형이 심각해지자 양성평등채용목표제로 전환한 바 있다.
특히 여성들이 선호하는 간호직 등 일부 직종에선 남성들이 목표제 적용으로 인해 낮은 필기 성적에도 불구하고 정원외 합격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제도는 공무원 내 성비 균형을 목적으로 5명 이상을 뽑는 공무원 시험에서 최종합격자 중 남녀 어느 한 성의 비율이 30%를 넘지 못할 경우 해당 성의 수험생을 정원 외로 추가 합격시켜 30%를 채우도록 하고 있다.
첫댓글 그니까 누가 공부못하래 이게무슨 남녀평등이야 그리고 상위권에 여자가 몰리는건 여자들이 점수가 높아서지 애초부터 이게 여성들에 대한 자리를 깔아준게 아니지 하여튼 한자리라도 뺏기면 물어뜯는다니까
시발 진짜 짜증남;; 이래놓고 여경비율 늘리면 또 웅앵거리고
삭제된 댓글 입니다.
공무원이 비 엘리트 그룹이라고 말하는걸로 들리는데 내 오해야?
멍청한 남자새끼 왜 더 뽑아주냐고 개빡쳐
얼마나 멍청하면
뒷목 혈압 씨발아
그럼 경찰도 여자 반 뽑아 경찰은 여자 쥐꼬리 만큼 뽑으면서 여초만 ㅈㄴ 잡지 ㅈ같은 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