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국가채무 규모가 늘어날 뿐 아니라 '채무의 질'이 악화되고 있다. 국민 부담으로 이어지는 적자성 채무가 급증하면서다.
국가채무는 금융성 채무와 적자성 채무로 구분된다. 금융성 채무가 늘어날 때는 외화 구입 등으로 자산도 늘어나기 때문에 상환을 위한 재정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적자성 채무는 대응할 자산이 없어 국민 세금으로 상환해야 하는 채무다.
29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적자성 채무는 2019년 413조 2000억원(현 환율로 약 44조 8600억엔)에서 2023년 726조 4000억원으로 313조 20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금융성 채무가 90조 3000억원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은 3.5배가 된다.
적자성 채무가 계속 증가한 것은 한국 정부가 지난해 56조 4000억원에 달하는 역대급 세수충실 과정에서 실시한 '내부거래'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건전재정 기조'를 강조하는 현행 정부가 지난해 국가채무 전체 규모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회계'와 '기금' 간 거래를 통해 돈을 가져와 사용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금융성 채무가 돼야 할 돈이 적자성 채무로 바뀌었다.
구체적으로는 공공목적자금을 모아둔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이 외환시장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에 빌려준 돈을 미리 받고(14조 4000억원) 빌려준 돈도 줄이면서(5조 5000억원 축소) 이를 일반회계에 예탁(9조 6000억원)했다.
내부거래를 통해 재원을 충당했기 때문에 내년에는 국고채 발행 외에는 여력이 남지 않은 상황이다. 기획재정부는 내년 국고채 발행을 역대 최대 수준인 201조 3000억원으로 계획했다. 올해 본예산과 비교해 42조 8000원(27%) 급증했다. 일반회계 세입 부족분을 보전하기 위한 적자국채가 86조 7000억원으로 대부분을 순증분(83조 7000억원)으로 충당할 전망이다.
정부 기금이 민간 자금에 가까운 우체국 보험 적립금에까지 손을 댄 점도 지적을 받는다.
지난해 정보통신진흥기금(정진기금)이 수입이 부족해지자 우체국보험 적립금 2500억원을 차입했지만 국회 예산정책처는 정진기금 차입이 가능한지는 명확하지 않다며 우체국보험 적립금의 조성 목적 운용 원칙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세수보전 대책으로 국고채를 발행하면 재정지표가 나빠지기 때문에 기금에서 빌려 쓴 것이라며 재정지표가 건전한 것처럼 꾸미지만 실제로는 건전하지 못하고 이는 국민이 재정상태를 알기 어렵게 했기 때문에 분식이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