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방송대 국문과 국어연구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묻고 답하기 질문 '스럽다'의 쓰임
전영복4(서울1) 추천 0 조회 1,223 07.04.04 13:17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7.04.04 16:40

    첫댓글 1.송구는 명사,죄송은 아니니 틀린걸까요? 하지만 '-스럽다'는 사전의 의미는 나중엔 약간 바뀌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사실 현재의 쓰임으로 봐선 '일부 명사'가 아니라 '일부 명사나 명사성 어근(?)'정도로 범위가 넓게 쓰이는 것이 보편적인 쓰임같고, 그게 의미적으로 이상하다고 생각되지 않는걸요..(그냥 제 생각;) 명사성 어근-이라는 말을 돌아다니다 발견했는데요.. 흔히 형용사냐 동사냐를 구별하지 못하는 단계에서 헷갈리게 되는 이유가 이 명사성격을 지닌 어근때문인 것으로 보이더군요. 결국 형태로는 접미사 '-하','-되' 등의 형태만으로는 동사인지 형용사인지 알려면 상태,동작여부를 따져야 하겠구요.

  • 07.04.04 16:25

    2. 죄송, 깨끗-의 경우에는 앞서 말한 명사성격(따로 떼어놓아도 상태나 동작의 뜻이 명확하게 전달되는)을 가진 것이라 그런 것 같아요. 용언 어근의 품사는 명사, (의성의태어 포함) 일부 부사, 형용사 등으로 다양한 것 같은데요. 용언의 어근중 명사이거나 명사형 어근인 것이 굉장히 많아서 그런 것을 계속 보다보면, 역으로 용언의 어근이 어떤 품사(들)로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 07.04.04 18:26

    '국어학 파고들기'에서 34번 '비롯하다(되다)'의 어근 '비롯'의 경우에 문장을 만들어보니 '이','을'이 붙기도 하는데, 어근인데도 마치 명사로 취급하는 것처럼 격조사가 붙는 경우는 무엇인가요?

  • 07.04.04 16:34

    3.헉..'치다'의 쓰임이 이리 많은 줄은 몰랐네요. (무려 15가지..) 그렇다치더라도->그렇다고 치더라도, 그렇다손 치더라도, 그런 것으로 치더라도...정도의 뜻과 비슷한 것 같아요. ///표준국어대사전 '치다'(동사)의 10번째중 2번 쓰임【…을 -고】【…으로】【-고】('…으로'나 '-고' 대신에 '-다손, -ㄴ다손, -라손' 따위가 쓰이기도 한다) 인정하거나 가정하다.

  • 07.04.04 19:24

    1.사전의 예문에 '걱정스럽다'가 있고 '미안스럽다, 송구스럽다, 죄송스럽다'가 다 사전에 올라 있습니다. 그리고 '송구'나 '죄송'의 정체는 단독으로 쓰이지 못하여서 품사의 지위를 갖지 못하니 어근이고 예리한 지연 후배의 검색대로 '명사성 어근'이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전에서 '명사에 붙어'의 명사는 엄밀히 말하면 '명사'뿐 아니라 '체언' 또는 '체언 상당어구(체언의 지위를 갖는 둘 이상의 단어)' 또는 어근까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접미사 '-하다'의 풀이엔 '일부 어근'을 따로 두고 있는 것에 비하면 형평성이 어긋난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 07.04.04 19:07

    1-2.그런데 '-하다'류 중 일부가 형용사인지 동사인지 헷갈리는 것은 어근의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제 생각은 동사 '하다'에 고정해서 생각하려는 품사의식 때문에다가 동사 형용사를 구별하는 직관력이 떨어진 결과가 아닐까요? '송구한다, 죄송한다, 미안한다'가 말이 안 되는 걸 보면 이들이 형용사인 건 당연합니다.

  • 07.04.04 19:12

    2.죄송하다가 형용사라 하여 '죄송'이 형용사일 순 없습니다. '죄송'이나 '깨끗'이 자립해서 쓰일 수 없다면 이는 품사의 자격을 줄 수 없습니다. 다만 '죄송'은 아주 친한 형제나 선후배 사이에 약간 가볍게 미안한 마음을 표시하는 뜻으로 '죄송!' 하며 어근만을 쓸 수 있습니다. 이럴 땐 현실언어에서 '명사(독립어)'의 지위를 가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규범문법대로라면 비문이지요. 아무튼 사전에 품사 정보가 없이 '어근'이라고 나온 것은 품사(단어)일 수 없습니다.

  • 07.04.04 19:13

    3.지연 후배가 찾아 온 게 정확히 맞습니다. 띄어써야 합니다.

  • 작성자 07.04.05 09:19

    1. 사전을 보면서 아래 ◀1/2/3▶ 표시를 놓치고 5가지 뜻만 보고 이상한 사전이라고 오해해버린 바보가 되었고요.(그래서 3번 질문은 우문이 되어 버렸고) 2. 2번 질문의 '송구'나 '깨끗' 등의 어근은 단어가 아니니 품사라고 할 순 없겠군요. 3. 1번 질문은 사전 풀이와 곁들이면 '송구스럽다=송구스러운 성질이 있습니다'(송구스러운 마음이 듭니다 )가 되어 '송구합니다'가 더 적당한 대답이 되겠군요. 두 분의 답변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