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 그리고 까치와 까마귀
한국에선 까치는 길조인 반면 까마귀는 흉조로 사람들이 좋아하
지 않는다. 그런가 하면 유럽에서는 까마귀를 길조로 까치를 흉조도 한국과는 정반대다. 한편 황새는 한국과 유럽뿐만 아니라 세계 거의 모든 나라 등에서 길조로 여긴다.
사람들이 황새를 좋아하는 이유다. 황새 또한 사람들을 두려워하
지 않는다. 그런 황새는 미꾸라지 붕어 개구리 뱀 들쥐들이 많은 청정한 곳에 모여 산다.
1945년까지만 해도 한국에선 충청도 습지나 바닷가 갯벌 등지에 집단서식을 한 텃새였다. 그러던 것이 1950년 6·25전쟁과 1960년 밀렵꾼에 의해 독살 그리고 벼를 심은
논에 화학비료 및 제초제 살포와 산업화로 수질이 오염 먹잇감인 우렁이가 없어지자 점점 그 개체수가 줄어지다 1994년 이후 멸종됐다. 황새는 생태계에서 환경오염의 지표로 삼을 정도로 공해에 민감하다. 프랑스와 독일에서는'황새가 아이를 물어온다.'는 속담이 있다.
황새가 사는 곳은 생태적으로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다. 생물다양성은 젊은이들에게 맞는 일자리를 만들고 그 일자리를 따라 젊은이들이 많이 모여 산다. 그렇게 되자 아이들을 많이 낳는다. 그래서 아이를 물어온다고 한다.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으로 인류가 빈곤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으며 한국은 1960년대 경제개발로 식량을 비롯한 각종물질이 풍부해졌다. 반면 지구온난화 등으로 환경 질이 극도로 악화 인류의 삶이 더욱 힘들어졌다.
이제 인류에게 풍부한 재화도 중요하지만, 재화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보다 쾌적한 환경이다. 때문에 황새가 살 수 있는 곳, 숲이 있는 곳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 텃새로 사는 까치 또한 길조다. 까치는 새끼들과 일정기간 함께 지내며 겨울이 되면 무리를 이뤄 함께 생활을 한다.그들은 머리가 매우 좋아 주변에 대한 학습능력이 아주 뛰어나다.뿐만 아니라 사람들과 가까이서 산다.
까마귀는 시베리아 등에서 살다 겨울이 되면 한반도 남쪽지방으
로 이동 겨울을 지내다 3월 초쯤이면 다시 북쪽으로 떠나는 철새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는 흉조다. 그도 그럴 것이 사람의 시체를 뜯어 먹기도 하는 잡식성 동물이다. 까마귀는 머리가 영리해 학습능력이 좋아 까치와 다를 바가 없다.
문제는 환경오염 때문에 기후변화 그리고 수질악화와 피폐된 토양 때문에 황새, 까치, 까마귀와 같은 동물들의 삶터가 없어져 가고 있는 점이다.
안타까운 일이다. 무엇보다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전국 어느 곳에 서나 황새가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까치와 까마귀가 즐거움을 선사하도록 해야 한다.
그를 위해 인간들도 친환경 농업기술이 필요하고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소비를 절제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여 수질 보전은 물론 토양오염을 막고 대기를 청정하게 하여야 한다.
그리고 실내에 녹색식물을 길러 알파파를 증가 심리적 안정과 두뇌의 인지력 자극은 물론 산소와 향을 발생 왼쪽 뇌의 활동력을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