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지: 제봉산(325.5m),월선봉(241),큰월선봉(323.3),철마봉(282.9),봉형산(314.4)
* 제봉 고경명 장군 유적지(신도비,제봉각,묘소),영천리 방울샘
◇ 소재지: 전남 장성군
◇ 산행코스: 못재육교-<병풍지맥>-철마봉-<지맥이탈>-큰월선봉-월선봉-장성IC2교-봉형산-제봉산-제봉정-정수장-고경명신도비·제봉각·묘소-영천마을회관(4.5h)
◇ 산행일시: 2023년 8월 23일(수) 07:30
◇ 출발지: 지하철 교대역 8번출구 한양아파트 앞(07:30)~만덕 경유~덕천동 부민병원(07:50)
※산행 신청시 탑승지를 밝혀주시고, 자리 배정을 받으시기 바람.
◇ 회 비: 35,000원(떡 및 뒷풀이)
◇ 준비물: 도시락,식수 등 계절에 맞는 산행준비.
◇ 산행예약: 총무 010-2320-7996, 대장 010-9208-0812 ※ 댓글 예약 환영
◇ 산행문의: 회장 010-3247-7551
◇ 전용버스: 신우고속(부산 70바 8275) 임부장 010-7669-6999
병풍지맥 '못재육교'에서 철마봉을 오른 뒤 지맥을 벗어나 북진, 큰월선봉·월선봉을 지나 호남고속도로 아래를 통해 다시 봉형산과 제봉산을 오른다.
‘철마봉(鐵馬峰 282.9)’은 철마와 관련된 이름이고, ‘큰월선봉(323.3)’은 지형도에는 보이지 않으나 지역민들이 부르는 이름.
‘월선봉(月仙峰 241)’은 아주 운치있는 이름으로 달이 뜬 봉우리에 신선이 노니는 듯하다.
카카오맵에서 보이는 ‘봉형산(鳳形山 314.1)’은 ‘봉황산’으로도 불리며 봉황이 날개를 핀 형세여서 부르는 이름.
‘제봉산(霽峰山 325.5)’은 예전에 ‘啼鳳山’으로도 불렸다고하니 “봉황이 울어(제啼) 장성이 안녕하다”는 이야기로, 장성의 수호신인 셈.
제봉산 아래에는 임진왜란 때 의병장인 충렬공 ‘제봉 고경명(霽峯 高敬命 1533~1592) 장군’의 ‘신도비’와 장흥고씨제각인 ‘제봉각(霽峯閣)’이 있고, 그 바로 뒤 제봉산 자락에 그의 무덤이 있다.
‘장성 고경명 신도비’는 그의 생애와 행적을 기록한 비로 ‘윤근수(1537~1616)’가 비문을 썼다.
그가 순국하자 시신은 임시로 금산 산중에 매장했다가 화순군 흑토평에 모셔진 뒤 1609년 장성읍 영천리 오동마을 뒷산으로 이장한다.
그가 사망한 이후 이곳 제봉산 자락 사방 10㎞의 땅을 하사받는다.
그의 무덤이 그가 태어난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이 아닌 이곳에 있는 이유다.
그런데 그가 태어난 남구 압촌동 뒷산의 이름도, 그가 묻힌 장성읍 영천리 뒷산의 이름도 ‘제봉산(霽峰山)’이다.
참고로 역시 임란 때 진주성에서 순절한 그의 아들 ‘준봉 고종후(隼峰 高從厚)’의 묘소는 창원 준봉산 아래 ‘발산재’에 있다. <☞ 효열공 고종후 묘소>
제봉산에서 내려가면 장성읍으로, 대형버스 주차공간이 마땅치가 않다.
그래서 안내판의 트랙을 따라 정수장으로 내려가 고경명 장군의 유적이 있는 ‘영천마을회관’에 도착할 것이다.
<'bbury'님의 지도를 일부 편집하였음>
처음 데크계단에서 지하통로를 건너기전 1번국도를 따라 6~700m가다 영천마을회관으로 들어갈려고 하였다.
그러다가 안내판의 트랙을 따라 1번국도 지하통로로 내려가지 않고 '제봉정'에서 안내판의 트랙을 따라 정수장으로 변경하였다.
<※ 제봉정에서 정수장으로 내려가는 트랙은 임의로 그은 것임>
참고한 안내판. <바른 정치(正置)를 위하여 180도 돌렸음>
안내도.
제봉산 정상석.
월선봉 정상석.
큰월선봉.
제봉산에서 장성읍 조망.
고경명 신도비각.
고경명신도비.
제봉각
제봉각.
제봉각 뒷편에 있는 고경명 장군 묘.
장군 묘.
비석.
방울샘.
안내판.
그 밖에 영천리에는 '오천정(梧泉亭)’이 있다.
<자료는 모두 임의로 차용하였습니다. 잘 쓰겠습니다>
아래 좌석표는 8월 22일 현재입니다.
첫댓글 권형님 & 한덤 / 부민
참석합니다/부민병원
참석합니다 교대
(장상룓)참석합니다.-교대
참석합니다 (교대)
김해 졸음쉼터/(35 or 39번 중ᆢ)
참석합니다.
참석(교대) 합니다,
부민 탑승합니다
참석 교대
산행 취소 합니다. 최송 합니다.
이상호 씨 참석 합이다
참석
일광 참석 합니다 ㅡ교대
예, 환영합니다.
36번 좌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