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최근 구룡마을
도시개발구역 지정·개발계획 수립 및 경관심의를 놓고 논의하는 과정에서
시 도시계획위원들 사이에서 공급 가구 수가 너무 많은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제시됐다.
구룡마을 개발계획은
무허가 판자촌 1100가구가 들어선
강남구 개포동 567-1 일대 26만 6304㎡ 부지에
공동주택과 도시기반시설, 의료·연구시설 등을 짓는 사업이다.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토지를 전면 수용한 뒤
이곳에 영구·국민임대주택과 일반분양아파트 등 공동주택 2692가구를
2020년까지 짓는다.
서울시와 강남구청은 구역 내 주상복합 용지와 공공주택 용지 등
2개 단지를 민간에 매각하고 얻은 사업비로
영구·국민임대 아파트 1107가구를 지어
구룡마을 거주민에게 우선 공급하기로 했다.
토지를 매입한 민간 기업은
이곳에 전용면적 85㎡ 이하의 중소형 아파트 1585가구를 지어
민간에 일반분양할 계획이다.
이렇다 보니 도시계획위원회 사이에서는
“1100가구가 살던 이곳에 이보다 두 배가 넘는 2600가구가 들어서면
교통난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자
도시계획위원회 소위원회 위원들은 직접 현장답사에 나서기도 했다.
서울시는 분양가구 수 조정은 어렵다는 입장이다.

부동산 투자 상담 및 클럽 문의
02-557-0272
부동산 투자 1등 기업 주)제일종합부동산
http://cafe.daum.net/ohyungsa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