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를 받는 사람.
-------------------------------------------------------
1. 준비 자세.
a. 양발은 넓게 벌려라. (어깨넚이보다 넓게 약 2배)
b. 양발 모양은 일자형 유지 (ㅗ 자형은 순간 반응에 장해가 되고, 느리게 된다.)
c. 몸의 중심은 양발의 중앙.
- 일부 동호회인들은 앞발의 무릎은 구부리고 뒷발의 무릅은 펴며,
뒷발을 바닥에 살며시 대는.. 즉, 몸의 중심측이 앞쪽을 향하고 있는데.
이는 순간반응에 상당히 지장을 주는 자세이다.
(예. 늑대의 자세. 아~~ 울고 싶당..ㅠ.ㅠ)
2. 롱서비스 리턴을 위해 뒤로 이동시.
a. 처음 스타트는 양발 이동 스텝으로 짧게 1~2차례 이동후 차츰 큰걸음으로 위치를 찾는다.
- 처음엔 짧게 차츰 큰걸음으로 이동해야 가속도를 높일수 잇다.
- 처음부터 큰걸음으로 이동하면 목적지 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느리다.
b. 여유가 조금 있을때는 스매싱의 스텝과 같이 발을 바꾸면서 때린다.
(오른발 중심 디디고 →점프 발바꾸며 → 때린다)
c. 뒤로 이동하는 시간이 늦을때(여유가 없을때) 뒤로 점프하며 때린다.
-------------------------------------------------------
● 서버를 받는 사람의 파트너의 행동.
-------------------------------------------------------
1. 서비스를 받는 선수의 파트너의 발의모양.
a. 서비스를 우측(짝수)에서 받을땐..
- 파트너는 서비스의 좌측에 있으므로 중앙 전위 또는 중앙 후위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우측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 즉, 그렇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오른발이 항상 앞쪽을 향한 수비형태를 취하고 있어야
전위 또는 후위로 이동시 원스텝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b. 서비스를 좌측(홀수)에서 받을땐..
- a항의 반대 이다. 즉, 왼발이 앞쪽에 가 있는편이 유리 할것같음.
(이건 강의 내용에는 없었는데.. 글 쓴이 추정.. -_-)
2. 파트너는 언제 어떻게 이동??
a. 롱서비스 리턴시는 파트너는 무조건 일단, 전위로 이동.
b. 리턴시(우리편) 스매싱 또는 드롭을 하면 무조건 전위를 사수.
c. 리턴시(우리편) 클리어로 상대편 진영으로 높이 뛰우면 전위에서 다시 옆으로 빠져서,
두사라은 모두 수비 형태로 취한다.
3. 전위이동 위치는 어느정도??
a. 숏스비스라인에서 두발정도 후위 중앙에 위치.
- 너무 앞쪽으로 이동하면(숏서비스라인:T) 전위가 커버해야 할 범위가 너무 좁아진다.
배드민턴 이론/전술 배드민턴 국대동영상
http://cafe.daum.net/liy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