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에 흰가루병(백강잠)
▶ 진경작용, 억균작용, 항암작용, 부신피질자극작용, 당뇨병, 경풍(驚風), 경간(驚癎), 중풍(中風)으로 말을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반신을 쓰지 못하는 데, 후두염, 얼굴의 기미와 모든 상처의 흔적, 피부가 가려운 증상을 감소시킴, 대하, 두통, 치통, 안통, 피부소양증, 연주창(連珠瘡), 자궁출혈에 효험
누에는 나비목 누에나방과에 속하는 누에나방(Bombyx mori L.)의 애벌레를 말한다. 누에나방은 전세계에 분포되어 있다. 누에나방은 몸과 날개가 회백색이다. 때로는 어두운색의 내외횡선(內外橫線)이 있는 개체도 있다. 촉각은 빗살모양이다. 편 날개 39~43mm이다.
백강잠(白殭蠶)은 누에나방과 곤충 누에 유충이 백강균(白殭菌)에 감염되어 강직되어 죽은 것을 말린 전충을 말한다.
백강잠의 여러 가지 이름은 백강잠[白殭蠶: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강잠잠[殭蠶蠶: 천금방(千金方)], 천충[天蟲: 약재자료휘편(藥材資料彙編)], 강충[殭蟲: 하북약재(河北藥材)], 흰가루병누에 등으로 부른다.
[사육]
백강병균포자(白殭病菌胞子)를 누에 유충의 피부에 접종하여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포자를 발아시켜서 누에의 체내에 침입시키면 발병하여 강직되어 죽어서 강잠(殭蠶)이 된다.
1, 준비작업
접종하기 4~6일 전에 잠실(蠶室)이나 잠구(蠶具)를 2% 포르말린으로 소독하는데 온도를 24℃ 이상으로 하고 1㎡당 포르말린을 15ml 분무하여 24시간 밀봉한다. 또 0.2% 세레산이나 0.5~1%의 석회유(石灰乳) 혼합제를 1㎡
당 25ml를 분무한다.
2, 접종(接種)
누에 유충의 큰잠(4번잠) 후, 다섯 번 자고 난 누에가 아침을 먹기 전에 강잠세액(殭蠶洗液) 또는 인공 재배한 백강균을 충분히 섞은 현탁액(찰 때에는 온수를 사용하는데, 그 온도는 32℃를 넘지 말아야 하고 날씨가 더울 때에는 찬물을 쓴다)을 만들어, 단관식(單管式) 분무기로 누에에 분사하여 습기를 알 수 있을 정도로 한다. 균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가는 강잠(殭蠶)을 생산할 때의 한 포인트가 되므로 균의 종류나 수량은 기후 조건과 사육하는 품종에 따라 정해야 한다. 중국의 광동성(廣東省) 증성(增城)지역에서는 1㎣의 균액(菌液) 당 약 8~10만 개의 포자가 함유되어 있으며 강소성(江蘇省) 무석(無錫)지구에서는 일반적으로 1㎣의 균액에 5~6만개의 포자(胞子)를 함유하게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3, 관리
접종 시에 사육실은 습도와 온도를 보존하고 건조의 교차는 0~1℃를 기준으로 하며 실내 온도는 25℃ 정도가 좋다. 접종 후 15~20분이 되면 첫 뽕잎을 주며 그 후 5~6시간 마다 1회씩 양질의 뽕을 충분히 먹인다. 온도와 습도는 누에의 생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로서 습도와 온도를 잘 조절하고 죽은 누에는 제때에 집어 내어 다른 방에 옮겨 잘 굳어지게 한다.
[채집]
죽은 누에를 모은다. 석회 속에 넣고 잘 섞어서 수분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불에 쬐어 말린다.
[약재]
원기둥 모양이며 대부분 만곡되고 주름이 져서 쪼그라들어 있다. 길이는 2~5cm, 지름은 4~7mm이다. 표면은 회백색이거나 담갈색이고 대부분 흰 가루로 덮여 있다. 머리, 발 및 각 마디는 모두 분명하여 식별 할 수가 있다. 체외에는 흔히 실이 휘감겨져 있다. 두부는 황갈색이며 대체로 원형이다. 발은 8쌍이고 돌기되어 있다. 질은 단단하고 취약하여 부러지기 쉽다. 단면은 평탄하고 갈색, 흑색 등 여러 가지이고 대부분 윤기가 돌며 외층은 백색의 가루 성질이고 안에는 갈색의 밝은 고이가 4개 있다. 약간 부패한 냄새가 나고 맛은 약간 짜다. 곧고 굵으며 탄탄해 보이고 질이 단단하며 백색이고 단면이 반들거리는 것이 상품이다.
이밖에 백강균을 번데기에 접종하여 발병시킨 강용(殭蛹)도 백강잠 대신으로 약용한다.
[성분]
백강잠의 몸 표면의 흰 가루에는 ammonium oxalate가 함유되어 있다. 백강균을 배양하면 대량의 oxalic acid, pyridin-2.6-dicabonis acid, carbonic acid, 대량의 지방을 생성한다. 지방 중의 지방산의 조성은 주로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소량의 stearic acid, palmitoleic acid 및 α-linoenic acid이다. 백강균은 3 종류의 가수분해효소, 즉 lipase, protease, chitinase를 분비하여 유충의 표피를 통해서 감염을 촉진시킨다. 그리고 glutamic acid, asparagic acid, ammonium oxalate, ammonium citrate, ammonium tartarate 등을 질소원으로 하여 이용하는데, 무기질소 화합물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는 없다. 백강균은 또 백강균 황색소(bassianins)를 함유하여 배양 중인 질소원이 고갈되었을 때에는 이 색소를 신속하게 축적한다. 또한 fibrino olysin 용해효소(plasmin)를 만들 수 있다 백강균은 누에의 유충에 감염하는 외에 옥미명(玉米螟: Pyrausta nubialis), 납아(蠟蛾: Galleria mellonella)의 유충에도 침입한다. 또 이 중에서는 고분자의 곤충독소와 고리 모양 peptide인 곤충독물질인 백강균소(白殭菌素: beauverician)가 분리 추출된다. 백강균은 또 steroid의 11α-수산화효소계를 함유하여 corticoids의 합성에 사용한다. [중약대사전]
[약리작용]
알코올의 물 추출액은 마우스의 토끼에 대하여 최면작용이 있다. 마우스에게 0.5g/20g을 경구 투여하거나 0.25g/20g을 피하 주사하면 거의 phenobarbital 50mg/kg을 피하 주사했을 때의 최면 효과에 상당한다. 시판하는 백강잠, 선태(蟬蛻: 매미허물) 등을 배합한 제제[즉 오호추풍산(五虎追風散)의 탕제]는 pentetrazol, strychnine, cocaine, nicotine 등이 일으키는 마우스의 경련에 의한 사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인공 백강잠 탕제에도 strychnine이 일으키는 마우스의 경련에 길항하는 작용이 있으며 그 유효 성분은 옥살산 암모늄이며 주로 암모늄이온의 작용에 의한다. 강용(殭蛹)에도 상술한 작용이 있는데, 그 작용은 백강잠보다 약간 우수하다. 그 외에 강용(殭蛹)은 마우스의 sarcoma 180을 억제할 수가 있다(그러나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황색 포도상 구균, 대장균, 녹농균 등에 대해서도 억제 작용이 있으나 효과는 뚜렷하지 않다. 강용(殭蛹)은 얻기 쉬우므로 그것을 백강잠의 대용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중약대사전]
[법제]
백강잠(白殭蠶): 사모(絲毛)를 제거하고 회토(灰土)를 깨끗이 씻은 후 햇볕에 말린다.
초강잠(炒殭蠶): 뜨거운 냄비에 밀기울을 산포하고 연기가 나기 시작하면 강잠(殭蠶)을 넣어서 누렇게 될 때까지 초(초)한 다음 꺼내어 체로 쳐서 밀기울을 제거한다. 서늘한 곳에 둔다[강잠(僵蠶) 100근에 밀기울 10근을 쓴다).
1, <뇌공포구론>: "백강잠을 먼저 찹쌀 뜨물에 하룻동안 담가, 잠상(蠶桑)이 달팽이의 침처럼 흘러 나와서 물 위에 뜨기를 기다렸다가 걸러내어 약한 불에 배건(焙乾)하고 헝겊으로 누에의 황육모(黃肉毛)와 검은 구갑(口甲)을 닦아서 깨끗이 한 다음, 찧어 체로 쳐서 가루내어 쓴다."
2, <일화자제가본초>: "약으로 쓰려면 면사(綿絲)와 자(子)를 모두 제거하고 고루 초(炒)하여 사용한다."
[성미]
맛은 맵고 짜며 성질은 평하다.
1, <신농본초경>: "맛은 짜고 성질은 평하다."
2, <명의별록>: "맛은 맵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3, <약성론>: "약간 따뜻하고 독이 조금 있다."
[귀경]
간(肝), 폐(肺), 위경(胃經)에 작용한다.
1, <본초강목>: "궐음(厥陰), 양명경(陽明經)에 들어간다."
2, <뇌공포제약성해>: "심(心), 간(肝), 비(脾), 폐경(肺經)에 들어간다."
[약의 효능과 주된 치료]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경련을 진정시키며 담(痰)을 삭이고 울결을 푸는 효능이 있다. 중풍실음(中風失音: 중풍으로 인한 언어 장애), 경간(驚癎), 두풍(頭風), 후풍(喉風), 후비(喉痺), 나력(瘰癧), 결핵, 풍창은진(風瘡癮疹), 단독, 유선염을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 "소아의 경간(驚癎)이나 밤에 우는 병을 치료하고 삼충(三蟲)을 제거하며 흑간(黑 : 검은 기미)을 없애고 남자 음부의 양병(瘍病: 종기)을 치료한다."
2, <명의별록>: "여자의 붕중적백(崩中赤白: 자궁 출혈이나 백대), 산후 여통(餘痛)을 치료한다. 각종 창반흔(瘡瘢痕)을 제거한다. 가루내어 정종(疔腫)을 봉(봉)하면 뿌리가 저절로 빠져 나온다."
3, <약성론>: "구금(口噤: 언어장애)을 치료하고 발한(發汗)하게 하며 부인의 붕중(崩中) 하혈이 멎지 않는 증세를 치료한다."
4, <일화자제가본초>: "중풍으로 인한 언어 장애 및 모든 풍질(風疾), 소아의 객오(客忤), 남자 음부의 양통(양통), 여자의 대하를 치료한다."
5, <본초도경>: "중풍, 급성 인후 마비의 치료에는 짓찧어 체로 쳐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생강의 자연즙을 조합하여 주입한다."
6, <의학계몽>: "피부 간의 각종 풍(風)을 제거한다."
7, <본초강목>: "풍담결핵(風痰結核), 나력, 두풍, 풍치통, 피부 풍창(風瘡), 단독으로 인한 가려움, 담학징결(痰瘧癥結), 부인이 젖이 나지 않는 경우, 붕중하혈(崩中下血), 소아 감식인체(疳蝕鱗體), 모든 금창, 정종풍치(疔腫風痔) 등을 치료한다."
8, <본초정>: "소아 감식(疳蝕), 치은 궤란, 혀의 부종, 혀의 마비를 치료한다."
9, <옥추약해>: "경락을 잘 통하게 하고 풍(風)을 구축하며 비(痺)를 제거하고 두통, 흉통, 언어 장애, 치통, 은진풍소(癮疹風瘙)를 치료한다. 태워 갈아서 술로 복용하면 궤옹파정(潰癰破頂)을 치료하고 또 혈림붕중(血淋崩中)도 치료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1.5~3돈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 가루내어 산포하거나 개어서 바른다.
[배합과 주의사항]
1, <약성론>: "상표초(桑螵帩), 길경(桔梗), 복령(茯笭), 복신(茯神), 비해(萆薢)등을 꺼린다."
2, <신농본초경소>: "중풍구금(中風口噤), 소아의 경간야제(驚癎夜啼)는 정신이 불안정하거나 혈허(血虛)와 경락의 경직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표층에 병이 없는 환자는 이 약을 복용하여서는 안된다. 여자의 붕중(崩中), 산후 여통(餘痛)으로 풍한(風寒)이 없는 환자도 쓰면 안 된다."
백강잠에 대해서 허준이 쓴 <동의보감>에서는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백강잠(白殭蠶)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짜면서 매우며, 독이 없다(일설에는 독이 조금 있다고 하였다). 어린이의 경간(驚癎)을 치료하고 삼시충(三尸蟲)을 죽이며, 주근깨와 여러 가지 헌데의 자국과 일체의 풍병(風病), 피부가 가렵고 쥐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부인이 붕루(崩漏)로 피를 쏟는 것을 멎게 한다.
○ 누에가 저절로 죽어서 빛이 허옇고 꼿꼿한 것이 좋다. 음력 4월에 취해서 쓰는데, 습기가 차지 않게 해야 하지 습기가 차면 독이 생긴다.
○ 찹쌀 씻은 물에 담가 두었다가 침[涎: 침연, 점액연, 끈끈한 액체연] 같은 것과 주둥이는 버리고 생강즙에 볶아서 쓴다[본초].]
백강잠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동물성동약>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록하고 있다.
[흰가루병누에(백강잠)
라틴어: Bombyx Batryticatus 영어: Chinese silkworm of batryticatus 러시아어: Шелковидный лервь, зараженный Ваtryticatus 중국어: 백강잠(白殭蚕), 강잠(殭蚕) 일본어: 뱌츠쿄우상(びゃつきょうさん)
기원: 누에밤나비과(Bombycidae)에 속하는 누에나비(Bombyxmori Linnaeus)의 유충이 흰가루병균(Beauvenia bassiana Batrytis Bassiana)에 감염되어 죽은 것을 말린 것이다. 흰가루병균은 누에나비밖에 명밤나비과(Pyralidae)에 속하는 들명밤나비(Pyraustanubialis Hubner), 방적밤나비과(Galleriidae)에 속하는 꿀밤나비(Galleria mellohella Linne)의 유충에도 기생한다.
우리나라에는 누에밤나비과에 3속 3종이 알려졌다.
세계적으로 70여종이 알려졌는데 그중 60여종은 아시아에 분포되어있다.
동물형태: 몸길이 1.2~2.2cm, 날개쪽너비는 3.2~4.5cm이다. 대가리는 비교적 작고 아래입식이며 빠는 관이 퇴화되었다. 대가리등쪽에 한쌍의 깃모양으로 된 짧은 촉각이 있다. 촉각의 양옆에 있는 한쌍의 복안은 크다. 단안은 2개인데 긴 털로 덮여 감추어져있다. 몸은 원통형이며 밤색 또는 흰 가슴판을 이룬다. 가슴등쪽에 비늘조각과 털로 덮인 막질의 2쌍의 날개가 있다. 날개끝은 아주 진한 밤색을 띤다. 앞날개는 뒤날개보다 크다. 가슴밑에 3쌍의 다리가 있고 다리는 5마디로 되어 있다. 배는 10마디인데 암컷에서는 제 9~10배마디가 합쳐져 생식기를 이루며 배끝은 둔하다. 수컷에서는 제 9배 마디가 생식기를 이루고 배끝은 좁고 뾰족하다.
사육: 누에에서 흰가루병균의 인공배양(흰가루병누에): 4령생누에가 허물을 벗고 5령생이 된 다음 뽕잎을 먹기시작할 때 흰가루병균을 접종한다. 흰가루병균접종액은 1㎣당 8,012만개의 포자가 들어가도록 만든다. 접종액을 분무기로 누에몸겉면에 뿌리는데 이때 사육실온도는 28℃, 습도 90% 이상을 보장한다. 접종액은 차거나 32℃이상을 넘지 말아야 한다. 접종한 다음 15~20분 지나서 뽕잎을 주기시작하여 5~6시간마다 뽕잎을 준다. 이때 사육실온도는 24~26℃를 보장한다.
누에번데기가루에서 흰가병균의 인공배양(흰가루병번데기):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는 누에번데기성분의 분해산물에 흰가루병균을 배양하여 만든 균대사산물이 들어 있는 발효제제이다.
채취 및 가공: 봄과 가을에 흰가루병에 감염되어 죽은 누에를 모으거나 흰가루병을 인공배양하여 죽은 누에를 모아서 말린다.
가공: 햇볕에 말리거나 석회가루속에 파묻고 물기를 흡수시킨 다음 물로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법제: ① 부착물을 골라 버리고 0.5~1cm 길이로 잘라서 그대로 또는 누렇게 볶아서 쓴다. ② 미기울과 함께 볶아서 냄새를 없애고 쓴다.
동약형태: 흰가루병누에: 길이 2~5cm, 직경 0.5cm인 기둥모양이며 구부러지고 주름이 잡혀 있다. 대가리는 비교적 둥글고 누르스름한 색을 띤다. 몸뚱이는 마디가 뚜렷하며 아래쪽에 8쌍의 짧은 다리가 있다. 몸뚱이끝은 두부분으로 갈라져 있다. 겉면은 흰가루병균인 흰색 이슬모양의 균사와 분생포자로 덮여있다. 흰색 혹은 흰잿빛을 띤다. 꺽은면은 매끈하고 바깥층은 흰색, 가운데층은 밤색, 풀색 또는 밤색, 검은색 등의 4개의 유리빛이 나는 작은점이 있다. 약간 불쾌한 냄새가 나며 맛은 약간 짜다. 질은 굳고 부스러지기 쉽다.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 불규칙적인 덩어리이며 겉면은 누른색이거나 희누른색을 띤다. 특이한 냄새가 나며 곰팡이맛이 난다. 질은 굳고 부스러지기 쉽다.
성분: 흰가루병누에에는 고형물질 15~20%, 단백질 67.44%, 지방 4.38%, 회분 11.31% 들어 있다. 불소, 비타민 B12 75mg/1,000마리 들어 있다. 진경작용의 유효성분은 싱아산암모니움이다. 흰가루병균을 배양하여 많은양의 싱아산, 피리딘-2, 6-디카르본산, 지방을 합성할 수 있다. 누에의 단백질에서 17가지 아미노산이 확인되었는데 염기성아미노산이 가장 많으며 그중 아르기닌, 리진, 아스파라긴산의 순서로 많았다. 피부색소에 있는 입자는 리보솜이며 지질성분에서 14c-메발론산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이 들어 있는데 뽕잎으로부터 생긴것이다.
분석: 확인: ① 동약가루의 더운물 우린액 5ml에 닌히드린시액 1~2방울을 떨구고 5분 동안 끓이면 용액은 진한 푸른보라색으로 변한다.
② 동약가루 또는 꺽은면에서 풀색 또는 밤색을 띠는 부분만 골라서 투명처리한 다음 현미경으로 보면 탄산칼슘이 들어있는 털(뽕나무잎의 조직 요소들)이 나타나며 이것은 희염산에 의하여 거품을 내면서 풀린다. 그밖에 싱아산칼슘의 족정이 들어 있는 잎살조직요소들이 나타난다.
순도: 건조감량 10% 아래, 산불용성회분 1.0아래
약리작용: 진경작용: 흰가루병누에(또는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 10% 우린액 2g/kg을 흰생쥐에게 관위법으로 주었을 때 초산스트리키닌으로 일으킨 경련에 대하여 뚜렷한 억제작용을 나타냈다. 흰가루병누에와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 및 싱아산나트륨은 흰생쥐에 대하여 스티리크닌에 길항하는 작용을 나타냈으며 코페인으로 일으킨 강직성경련에 길항작용을 나타냈으며 바르비탈나트륨과의 협력작용을 나타냈다.
부신피질자극작용: 흰가루병누에단백질을 부신피질을 자극하는 작용을 나타냈다.
억균작용: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는 황금색포도알균, 대장균, 녹농균 등에 대한 억균작용을 한다.
항암작용: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 50% 우린액 2g(0.2ml)/마리씩을 흰생쥐에게 관위법으로 매일 주었을 때 사르코마-180에 대하여 억제율이 71.4%(p>0.05)였으며 30% 우린액을 0.18ml/마리씩 매일 피하주사하였을 때에도 p>0.05로서 뚜렷한 효과를 나타냈다.
독성: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우린액을 흰생쥐에게 매일 2g/kg씩 20일 동안 관위법으로 주었을 때 죽거나 쇠약해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비장, 콩팥, 간에 대한 병리해부검사에서도 특이한 변화가 없었다.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우린액의 독성은 관위법일 때 LD50 44.5±1.4g/kg였다. 흰가루병누에에타놀우린액은 흰쥐, 흰생쥐에게 배안주사할 대 0.5~5g/kg에서 아무런 독성반응도 없었다.
응용: 흰가루병누에는 진정약, 진경약으로서 후두염, 얼굴신경통, 머리아픔, 이쏘기, 눈아픔에 쓰며 외용으로서 습진, 가려움증, 헌데 등에도 쓴다. 3~9g 또는 6~12g을 쓴다. 인공흰가루병누에번데기는 열내림, 가래삭임, 진정 및 진경, 항염증, 신경조절과 지방대사개선목적으로 쓰며 간질, 고열경련, 유행성이하선염, 숨길막염, 만성기관지염, 유뇨증, 두드러기,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에 쓰인다. 한알이 0.3g되게 알약을 만들어 하루에 20~30알씩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처방: ① 견정산: 흰가루병누에, 흰 바꽃덩이뿌리, 전갈 각각 5.0g을 가루내어 섞는다. 얼굴신경마비때에 하루에 2~3번 한번에 1~2g씩을 더운물로 먹는다.
② 청상백강잠환: 흰가루병누에, 궁궁이(천궁), 단국화꽃, 노랑돌쩌귀뿌리를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알이 0.2g되게 만든다. 가슴과 명치끝이 그득하고 메스꺼우며 머리가 무겁고 아픈데 하루 3번, 한번에 3~4g 먹는다.
③ 오약순기산: 마황, 귤껍질, 오약나무 각각 2.0g을 물에 넣고 달여 만든다. 얼굴신경마비, 뇌수연화증, 뼈마디관절염, 뇌출혈후유증초기에 하루에 2첩을 쓰되 재탕까지 하여 3번 먹는다.]
누에와 관련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러한 기사가 실려 있다.
[백강잠(白殭蠶) [본초] ]
누에나비과에 속하는 누에나비 곧 누에나방(Bombyx mori L.)의 새끼벌레가 흰가루병에 걸려 죽은 것을 말린 것이다.
누에를 치는 모든 곳에서 생산할 수 있다. 흰가루병으로 죽은 누에를 건조실에서 말린다. 맛은 짜고 매우며 성질은 평하다. 폐경, 비경, 간경에 작용한다. 경련을 멈추고 담(痰)을 삭인다.
약리실험에서 진경작용, 억균작용, 항암작용이 밝혀졌다. 경풍(驚風), 경간(驚癎), 중풍(中風)으로 말을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반신을 쓰지 못하는 데, 후두염, 두통, 치통, 안통, 피부소양증, 연주창(連珠瘡), 자궁출혈 등에 쓴다.
그대로 볶거나 생강즙에 불려 볶아서 하루 6~9g을 물로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거나 환을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내어 뿌리거나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누에와 관련해서 박영준의 <한방동물보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누에]
한약명: 백강잠
생태: 누에는 어느 시기가 되면 뽕잎을 먹지 않고 머리를 든 채로 잠을 자는데, 보통 4회의 잠을 자면 종령 애벌레가 된다. 누에가 병이 들어 스스로 죽은 것을 약으로 사용한다. 희고 곧은 것이 좋다.
성미: 맛이 짜고 성질이 평이하며 독이 없다.
성분: 누에의 소화관 양쪽에 있는 견사선 속에는 젤라틴 같은 액상의 단백질이 들어 있다. 이것은 피브로인과 세리딘이라는 단백질이다.
약효: 소아가 무섭고 놀라서 경련을 일으키는 것과 밤에 우는 것을 치료한다. 담을 제거하고 단단한 것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어서 젖이 나오지 않는 유선염과 결핵성 임파절염에 효과를 볼 수 있다.
약리실험에서 경련을 멎게 하는 작용과 암을 치료하는 항암작용이 밝혀졌다. 중풍으로 말을 못하고 입과 눈이 비뚤어지며 몸의 한쪽을 잘 쓰지 못할 때 사용한다.
누에를 먹으면 얼굴이 고와지는데, 얼굴의 기미와 모든 상처의 흔적, 그리고 피부가 가려운 증상을 감소시킨다. 그 외 부인의 자궁출혈과 대하, 후두염, 두통, 눈이 아픈 경우에도 사용한다.
누에에 함유된 아연은 인슐린 활동을 도와주기 때문에 당뇨에 효과가 있다.
법제: 찹쌀을 씻은 물에 담가서 주둥이는 버리고 생강즙에 볶아서 사용한다.
관절통: 백강잠, 남성, 백개자 각 100g을 곱게 갈아서 환을 지어 술과 함께 하루에 3번 5g씩 먹는다. 관절이 붓고 아픈 증상에 사용한다.
◆ 백강잠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당뇨병(임상보고)
당뇨병 치료에 백강잠을 환을 만들어 먹는데, 당뇨병의 경증에는 1회 1그램씩 1일 3회, 중증 및 심한 당뇨에는 1회 2그램씩 1일 3~4회 복용한다. 9례의 관찰에서는 병력이 가장 오래된 경우가 15년, 가장 짧은 경우가 8개월이었는데, 2~5개월의 치료로 전원의 요당, 혈당이 모두 정도는 다르지만 하강하고 자각 증상도 소실되었으며 식욕과 체중이 증가 하여 전신에 힘이 나고 정신 상태도 뚜렷하게 호전되었다. 약의 복용을 중지하거나, 식사량을 너무 늘이거나 과로하면, 재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치료 후에는 일정한 양 1일 2그램을 복용해야 한다. 장기간의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관찰이 필요하다. [중약대사전]
2, 급성 유선염(임상보고)
신선한 백강잠 5돈을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묵은 식초로 고루 잘 개어서 염증 부분과 그 주위에 1일 수 회 바르고 종괴(腫塊)가 소산(消散)하여 일반 증상이 완화될 때까지 습윤하게 유지한다. 또 금은화와 민들레 각 2냥을 몇번에 나누어 달여서 복용하거나 차 대용으로 한다. 17례를 치료한 결과, 대부분 초기 염증이었고 1례가 발병 5일째에 진찰을 받고 화농했던 외는 16례 모두가 소산(消散)하여 완치되었으며 그 중 2례는 그 이전에 penicilline을 사용했던 적이 있었다. 보통 약을 써서 2~3일이면 증상은 완화되고 종괴(腫塊)도 부드러워지며 5~8일이면 소실되었다. [중약대사전]
3, 중풍으로 입과 눈이 한쪽으로 틀어지는 증세, 반신 불수의 치료
백부자(白附子), 백강잠(白殭蠶), 전갈(全蝎)을 각 같은 양 미세한 분말로 갈아 1회 1돈을 뜨거운 술로 수시로 복용한다. [양씨가장방(楊氏家藏方), 견정산(牽正散)]
4, 소아의 경간(驚癎)
백강잠(白殭蠶)과 갈초(蝎梢) 같은 양을 천웅첨(天雄尖)과 부자첨(附子尖) 각 1돈을 종이에 싸서 약간 구워 미세한 분말로 하여, 1회 2.5~5푼을 따뜻한 생강수(生薑水)로 입 안에 주입한다. [본초연의(本草衍義)]
5, 소아의 촬구(撮口: 입을 다물고 열지 못함)나 발금(發噤: 언어장애)의 치료
백강잠(白殭蠶) 2개를 가루내어 꿀에 섞어서 소아의 입술이나 입안에 바른다. [소아궁기방(小兒宮氣方)]
6, 두풍(頭風)의 치료
백강잠(白殭蠶: 실과 주둥이를 제거한 것), 양강(良薑) 같은 양을 미세한 분말로 갈아 1회 5푼을 백매차(白梅茶)의 웃물로 조합하여 두통이 일어났을 때 복용한다. [백일선방(百一選方)]
7, 전후풍(纏喉風)과 급후폐종통(急喉閉腫痛)을 병발하는 증상의 치료
새 기와 위에 숯불로 약간 노랗게 볶은 백강잠(白殭蠶) 1냥, 종이에 싸어 파열시켜 조피(粗皮)를 벗겨서 썬 천남성(天南星) 1냥을 함께 미세한 분말로 갈아 1회 2.5푼을 생강의 자연즙 소량으로 조합하여 한번 비등시킨 물로 복용하고 담(痰)을 토하면 시간에 관계없이 이를 복용한다. [위씨가장방(魏氏家藏方), 백강잠산(白殭蠶散)]
8, 후폐아관(喉閉牙關)으로 열리지 않는 증상의 치료백강잠(白殭蠶)을 약간 볶아서 가루내어 생강의 자연즙으로 1돈을 조합하여 복용한다. [중장경(中藏經)]
9, 나력(瘰癧)
백강잠(白殭蠶)을 가루내어 1일 3회 물로 0.5전비(錢匕)를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10, 공동성 폐결핵의 치료
백강잠(白殭蠶)과 백급(白芨) 같은 양을 갈아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1회 2돈, 1일 2회 복용한다.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11, 풍(風), 편신은진(遍身癮疹), 동통이 창(瘡)이 된 증상의 치료
백강잠(白殭蠶)을 황색이 되게 불에 구워서 미세한 분말로 하여 술로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12, 야화단(野火丹)이 등으로부터 팔꿈치까지 퍼진 증상
강잠(殭蠶) 14개를 신화초(愼火草)와 함께 짓찧어서 바른다. [산유집험방(産乳集驗方)]
13, 부인의 붕중(崩中)으로 하혈이 멎지 않는 증상
의중백어(衣中百魚), 강잠(殭蠶) 같은 양을 가루내어 우물물로 1일 3회 복용한다. [천금방(千金方)]
14, 장풍(腸風) 하혈
볶아서 주둥이와 발을 떼어 버린 강잠(殭蠶), 배건(焙乾)한 오매과육(烏梅果肉) 각 1냥을 가루내어 쌀죽으로 벽오동씨 크기의 환제를 만든다. 1회 100알을 2일 3회 식전에 더운물로 복용한다. [위생잡여(衛生雜與)]
15, 중설(重舌), 목설(木舌)의 치료
강잠(殭蠶) 1돈, 꿀로 볶은 황련(黃連) 2돈을 가루내어 섞어서 바르면 침을 흘리는 증세에 효과가 있다. [적덕당경험방(積德堂經驗方)]
16, 젖이 잘 나오게 하는 처방
백강잠(白殭蠶)의 분말 2돈을 술로 조합하여 복용하고 잠시 후에 지마차(脂麻茶) 1돈을 뜨겁게 하여 마신다. [경험후방(經驗後方)]
|
위에 자료를 올려주신 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이자료를 보고계시는 님께 부탁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