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심리학은 인간의 이성적 판단을 경시한다는 비판도 받지만, 인간 행동의 근원적 원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경제 분야에 응용하려는 시도들도 나타나고 있다.
Q. 진화심리학을 간단히 설명하면?
A. "한마디로 진화론을 통해서 인간의 심리를 설명하는 학문이다. 인간의 심리를 생존과 번식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유리한 쪽으로 형성된 심리적 메커니즘의 집합으로 본다는 뜻이다. 여기서 말하는 '문제'란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나오는 것들이다. 예를 들면 배우자 구하기, 자손 번식, 양육 같은 것들이다."
Q. 경제 분야에 접목시킨다면.
A. "남녀 심리의 근원을 잘 이해한다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가령 내가 어떤 사람에게 '지금 당신에게 10달러를 주겠다. 한데 만일 지금 10달러를 받지 않고 일주일을 기다리면 20달러를 주겠다'고 한다면 그 사람은 어떤 선택을 할까. 남자라면 대부분 10달러를 바로 받는 쪽을 선택한다. 이는 남녀 간의 수명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남자의 평균 수명이 여자보다 7년 정도 짧으니까. 이런 차이를 이해하면 마케팅에서 타깃 고객에 대한 접근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잘 아는, 남녀 간 백화점 내 쇼핑 행태와 체류 시간의 차이 역시 마찬가지다. 원시 시대부터 남자는 특정 목표를 겨냥해 목적을 완수하는 사냥(hunting)에 집중했던 반면, 여자는 주로 채집(gathering)을 했던 데서 비롯된 것이다."
Q. 또 어떤 차이가 있나?
A. "남녀는 공간 인지 능력에서 각자 차별화된 강점을 갖고 있다. 여성은 어떤 특정한 위치에 대한 기억 능력이 남성보다 뛰어나다. 가령 쇼핑몰의 어떤 코너를 방문하면 전에 그 자리에 어떤 매장이 있었는지와 같은 것을 잘 기억해낸다. 오래전 숲 속에서 원하던 과일이 전에 어디에 많이 열려 있었는지 기억했듯 말이다. 반면 남성은 전반적으로 공간 감각이 뛰어나다. 어떤 낯선 곳에 가 있더라도 집에 돌아올 수 있는 능력, 즉 자신이 어디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Q. 선호 상품에도 차이가 큰데?
A. "남성이 선호하는 상품은 대개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것들이다. 남성은 명망 있는 사회적 지위에 대해 여성보다 훨씬 갈망하기 때문이다. 남성이 비싼 고급차에 돈을 쓰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공작새의 멋진 장식이 이성에게 건강과 지위, 능력을 상징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이런 것들을 가리켜 '값비싼 신호(costly signal)'라고 하는데, 남성은 이에 좀 더 예민하게 반응하는 성향을 갖고 있다."
Q. 남녀 간 소비 행태 차이가 생기는 근본적 이유는?
A. "진화 측면에서 보자면 과거에 일부다처(一夫多妻) 현상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남성의 경우 어떤 사람은 다수의 짝짓기 상대를 가졌던 반면, 어떤 남성은 한 명도 갖지 못했다. 결국 남성들은 짝짓기 게임에서 완전한 패배자가 되지 않기 위해 다른 남성들과 많은 경쟁을 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