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미술관
문원 김경미전
묵향 길
명제 : 不得我慢貢高
(부득아만공고)
서체 : 전서
크기 : 35x140cm
본문
不得我慢貢高
독음
부득아만공고
해설
교만한 마음을 품고
잘난 척을 하거나
자신을 높여서는 안 된다
명제 : 獨坐觀心 (독좌관심)
크기 : 140x55cm
본문
獨坐觀心
독음
독좌관심
해설
홀로 앉아 마음을 보네
명제 : 法古創新(법고창신)
서체 : 예서
크기 : 70x40cm
본문
法古創新
독음
법고창신
해설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創造)함
발문
與其創新而巧也
無寧法古而陋也
독음
여기창신이교야
무녕법고이루야
해설
'창신' 을 한답시고
재주 부릴진댄
차라리 '법고' 를 하다가
고루해지는 편이
낫다고 생각한다
명제 : 법구경(法句經) 구절
서체 : 판본체
크기 : 80x23cm
명제 : 인격을 이루는 것
서체 : 한글 정자
크기 : 45X118cm
명제 : 산에서 밤을 보내며
우물 속의 달을 읊다
서체 : 행서
크기 : 47x160cm
본문
山僧貪月色
并汲一瓶中
到寺方應覺
瓶傾月亦空
독음
산승탐월색
병급일병중
도사방응각
병경월역공
해설
산승이 달빛을 탐하여
물과 함께 한병 속에 담았네
절에 이르면 응당 깨달으리
병 기울이면 달빛 또한 빈 것을
명제 : 물
서체 : 흘림
명제 : 국화
크기 : 29X135cm
명제 : 난초
크기 : 46cm
난초 화제(蘭草 花題)
與善人居如入芝蘭之室
久而不聞其香即與之化矣...
是以君子必愼
其所與處者焉
해설
선인과 거처하는 것은
난초 향기 가득한 방에
들어가는 것과 같아서,
그 향기는 못 맡더라도
오래 지나면 동화된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더불어
사는 자를 삼가야 한다.
작품은
대칭
중심 맞추기
윗줄 맞추기
같은 크기는 모아서
게시하였다.
~^^~
첫댓글
오늘은
2025년 6월 25일 수요일이다.
저녁 7시 30분
명지서법 강습회 있다.
오바!
~^^~